책 이미지
![[큰글자책] 영상 아카이브](/img_thumb2/979117307850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73078507
· 쪽수 : 111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문화유산 보존 체계로서 영상 아카이브
01 영상 아카이브의 개념
02 공공 영상 문화유산 보존과 보호
03 영상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활용
04 영상 아카이브 해외 사례 ① 공공 주도형
05 영상 아카이브 해외 사례 ② 민관 협력형
06 영상 아카이브 국제기구
07 영상 아카이브 국내 사례 ① 방송사
08 영상 아카이브 국내 사례 ② 공공 기관
09 인공지능과 영상 아카이브의 만남
10 영상 아카이브의 이슈와 전망
책속에서
과거에는 하나의 비디오테이프 자료를 한 대의 재생 장비(데크)에 재생시켜 한 명의 이용자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가 도입되면서 디지털화된 과거 방송 프로그램을 여러 이용자가 한 번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제작 기획에서 ‘원 소스 멀티 유즈(one-source multi-use: OSMU)’를 가능하게 하는 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었다. OSMU는 하나의 콘텐츠나 원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재가공하거나 변형해 여러 플랫폼이나 매체에서 활용하는 전략을 말하는데, 콘텐츠의 수명을 연장하고, 잠재적인 가치를 최대화하며, 다양한 이용자층에 도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전략이다.
- “문화유산 보존 체계로서 영상 아카이브” 중에서
생산자 측면에서 영상 콘텐츠는 문자, 소리, 영상, 이미지 등 다양한 기술적 코드를 활용해 제작한 특정한 사회 문화적 의미와 가치의 산물이다. 또한 이용자 혹은 수용자 집단이 수행하는 창조적 해독과 수용, 개입을 통해 사회의 문화적 성과를 창출한다. 방송, 영화, 온라인, 모바일 등을 통해 생산한 영상 콘텐츠는 사회적 집단 기억(collective memory)을 형성하고 해당 공동체를 유지하는 문화적 정체성(identity)을 표현한다.
- 01_“영상 아카이브의 개념” 중에서
문서 외에 사진·포스터·녹음 자료·동영상 등 시청각 기록물을 공공 차원에서 관리하는 체계에 관한 논의는 1980년 유네스코 ?동영상 보호와 보존에 관한 권고문?이 발표된 이후부터 본격화되었다. 이 권고문은 문화유산으로서 동영상의 가치를 최초로 언급한 공식 문서다. 국가 차원의 보호·보존이 필요한 공공 영상 문화유산으로 상영, 방영, 발매 등 공중에 공개된 이미지와 소리로 이루어진 시청각 기록물과 이를 재생하게 하는 장비와 무형의 기술 등이 있다.
- 02_“공공 영상 문화유산 보존과 보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