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소설론
· ISBN : 9791173182426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자본주의의 소외와 공황
202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심성구조 : <반려빚>, <은의 세계>, <미조의 시대>
1. 시작하며 : 확장되고 지워지는 가난의 심성
2. 죽거나 망하지 않고 채무자로 살아가기 : 김지연의 <반려빚 >
3. 오염을 유발하는 열등 시민으로 살아가기 : 위수정의 <은의 세계 >
4. 선택이 부재한 노동자와 세입자로 살아가기 : 이서수의 <미조의 시대 >
5. 맺으며 :가난한 사회 속의 취약한 개인
'자본주의 리얼리즘'과 한국 소설의 상상력 : 윤고은 소설 세 편 읽기
1. 시작하며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소설적 상상력
2. 투기 욕망을 정당화하는 불가항력의 게임 : <부루마불에 평양이 있다면 >
3. 자본주의의 '중심 없음'과 고갈된 소설의 상상력 :
4. 자본주의의 미로에서 이음새를 상상하기 : <월리를 찾아라 >
5. 맺으며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균열
2부 노동과 사랑
2010년대 후반 소설에 나타난 여성 회사원 생활기 : 김세희와 장류진 소설 읽기
1. 시작하며 : 한국형 '오피스 노블'의 가능성
2. 체념과 불안의 '가만한' 생활감각 : 김세희의 <가만한 나날>과 <드림팀 >
3. '워라밸'과 '소확행'의 손익감각 :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과 <잘 살겠습니다>
4. 맺으며 : 체념과 무능의 심성
세 가지 연애담, 이성애와 나르시시즘 : <무정> 새롭게 다시 읽기
1. 시작하며 : <무정>의 자기애와 나르시시즘
2.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
3. 사제관계와 연애관계에 반영된 형식의 자기애적 욕구와 취약성
4. 인물들의 자기애적 성숙화와 '공감'의 대단원
5. 맺으며 : 자기애가 넘쳐나는 시대에 <무정>을 다시 읽는다는 일
3부 상실과 애도
환대의 존재론과 장소의 윤리 : <첫사랑>, <상류엔 맹금류>, <당신이 그동안 세계를 지키고 있었다는 증거>
1. 시작하며 : '적절한 거리'와 '환대'
2. '목소리'와 '선택권'의 박탈로 이루어지는 박대 : <첫사랑>
3. 규칙 위반을 벌하는 혐오의 자리, <상류엔 맹금류>
4. 극진한 환대의 장소와 돌봄의 상호작용 : <당신이 그동안 세계를 지키고 있었다는 증거>
5. 맺으며 : 환대를 통한 공존과 상생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식
1. 시작하며 : '장소성' 개념과 편혜영 소설의 공간 의식
2. 복제되는 공간과 복사되는 삶 : 집과 일터
3. 목적 없는 배회와 지역성의 박탈 : 길
4. 맺으며 : 지리적 능력의 복원과 공간의 장소화
말할 수 없는 것과 불가능한 것을 말하기 : 4·16 세월호 참사를 다룬 네 편의 소설 읽기
1. 시작하며 : 애도하는 매체로서의 문학
2. 사자(死者)가 돌아오는 특별한 방식 : 최인석의 <조침(弔針)>
3. 수치심과 연루감의 임상 기록 : 윤대녕의 <닥터K 의 경우>
4. 기억으로 공유하는 현재 : 김애란의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
5. 소멸하고 소생(蘇生)하는 기억 : 김연수의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 >
6. 맺으며 : 기억의 윤리
4부 환상과 놀이
실존 배우의 소설적 형상화와 이미지 : <배삼룡 독트린>, <변희봉>, <나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1. 시작하며 : 영화의 캐릭터와 배우의 상관관계
2. 슬픈 바보의 가상 세계로의 체념적 도피 : 박민규의 <배삼룡 독트린 >
3. 현실과 가상의 누락된 틈새 : 이장욱의 <변희봉 >
4. 마초적 영웅과 서부극의 몰락 : 오한기의 <나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
5. 맺으며 : 집단 기억으로서의 배우 이미지
한국 소설에 나타난 카메라와 사진의 상상력 : <빛의 호위>, <댈러웨이의 창>, <이창>
1. 시작하며 : 자동기계 카메라와 사진의 사실성
2. 조해진 <빛의 호위>: 카메라의 빛으로 구원하는 삶과 세계
3. 박성원 <댈러웨이의 창>: 진실을 감금하는 카메라의 흐릿한 창
4. 구병모의 <이창>: 프레임 안과 바깥에서 발생하는 착시
5. 맺으며 : 사진 이미지의 미혹성
소설 속 놀이공간과 '재현의 공간' : 인문지리학과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
1. 시작하며 : 여가공간의 왜곡과 장소상실
2. 장소성의 복원과 공간의 전유
3. 모순의 공간에서 재현의 공간으로
4. 맺으며 : 몸으로 즐기고 생성하는 도시의 가능성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