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7357423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5-08-0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다시 위기에 내몰리지 않으려면
1부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한국 민주주의의 서막
1987년, 민주화는 어떻게 이루어졌나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되다
Q/A 묻고 답하기
2부 민주주의 공고화를 이끈 리더십의 재발견
전환의 시대 : 타협과 합의의 정치
개혁의 시대 : 군사정치 문화의 청산
화합의 시대 : 화해와 통합의 정치
Q/A 묻고 답하기
3부 민주주의는 언제나 도전받는다
전 지구적으로 위협받는 민주주의
선동과 배제가 정치를 주도했을 때
분열로 치닫는 양극화 정치
Q/A 묻고 답하기
4부 벼랑 끝 민주주의를 회복할 시간
그날 민주주의는 왜 위기에 빠졌는가
우리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한계를 경험했다
혐오의 정치를 넘어 다시 설계하는 질서
Q/A 묻고 답하기
나가는 글 지금은 민주주의를 위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4년 말, 터져 나온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는 힘겹고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지만, 동시에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다시 일깨워준 시간이기도 했다. 민주주의가 어떻게 무너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새삼 깊이 생각해볼 수 있었다.
【들어가는 글 | 다시 위기에 내몰리지 않으려면】
1987년 한국의 민주화는 이 가운데 ‘타협에 의한 민주화’에 해당한다. 6·29 선언은 권위주의 세력이 민주화운동 세력의 요구를 수용하여 정치적 타협을 이룬 결과였으며, 이는 이후의 헌정 질서가 급진적 붕괴나 변혁이 아닌 체제의 연속성을 바탕으로 정착되는 배경이 되었다.
【1부 |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