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505714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5-03-17
책 소개
목차
제1장 독서교육의 이해
독서교육의 개념 - 013
독서교육의 목적 - 016
독서교육의 원리와 방법 - 020
독서교육의 영역 - 031
제2장 독서교육 이론
1. 독서의 역사
1) 한국의 독서 역사 - 037
2) 서양의 독서 역사 - 049
2. 독서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텍스트 분석 이론 - 060
2) 스키마 이론 - 063
3) 독자반응 이론 - 072
4) 구성주의 이론 - 075
5) 다중지능 이론 - 079
3. 독서교육의 발달
1) 아동.청소년의 발달 단계 - 083
2) 발달 단계와 독서교육 - 099
4. 독서 방법론
1) 일번적 독서 방법 - 117
2) 영역별 독서 방법 - 119
제3장 독서교육의 자료와 매체
1. 책의 역사 - 127
2. 책의 구성요소
1) 외형적 준텍스트 - 130
2) 내질적 준텍스트 - 141
3. 독서교육 자료
1) 그림책 - 145
2) 환상동화 - 160
3) 사실동화 - 177
4) 전래동화 - 191
5) 지식정보책 - 201
6) 인물전 - 208
4. 독서교육 매체
1) 그림 - 219
2) 사진 - 221
3) 광고 - 224
4) 만화 - 227
5) 영화 - 230
6) 신문 - 232
7) 다큐멘터리 - 237
제4장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독서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 245
2. 독서지도 계획
1) 독서수업의 종류 - 247
2) 독서지도 계획안 - 274
3. 독서교육 평가
1) 독서교육 평가의 개념과 의의 - 284
2) 독서 평가 방법 - 28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펴내는 글]
독서교육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어
독서는 인간의 행복한 특권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디지털 문명이 발달하고, 사회가 다변화하는 가운데 책을 통한 지식과 정보의 수용, 인성 함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덕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독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문화 저변화가 점진적으로 형성되었고 독서운동 및 독서문화 활동이 더욱더 활발해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정책적으로 독서를 장려하는 상황이다.
필자는 30년 가까이 독서교육 및 독서문화운동의 일선에서 소신을 갖고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교재를 연구하고 개발해왔으며, 이를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일을 해 오고 있다. 좋은 책을 골라 널리 권하는 일을 하는 시민단체를 시작으로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 독서교육의 본질 및 이론, 그리고 이를 현장에 효율적으로 접목하기 위해 학문적 바탕을 마련해 줄 길라잡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 책은 그동안 필자의 교육현장 경험을 학문적 바탕위에 정리한 것이다. 책을 쓰면서 학식과 소양의 부족함으로 초심고려하엿고, 한정된 시간과 환경에 아쉬움을 느껴야 했다.
부족한 대로, 이 책이 독서교육으로 이 땅의 어린이와 청소년이 꿈을 펼이는 것을 돕고자 애쓰는 사람들에게 독서교육의 기본을 잡아주고 활성화하는 마중물이 되어주었으면 좋겠다. 독서지도가 실제 상황에서는 여러 가지로 복잡하고 다양하여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이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으나 이는 다음 책에서 탐색하기로 하고 미루어둔다.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1부에서는 독서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념 및 목적, 원리와 방법, 그리고 독서영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독서교육 이론을 다루었다. 서양의 독서역사와 우리나라 독서역사를 살폈고, 독서교육의 배경이 되는 이론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 독서교육의 대상이 되는 독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발달이론을 실었다. 아울러 일반적인 독서방법과 영역별 독서방법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독서교육의 자료와 매체에 대해 다루었다. 책의 역사, 책의 구성요소, 그리고 독서교육의 자료가 되는 여러 장르의 책들, 또 다양한 독서교육 매체들에 대한 것이 그 내용이다. 4부는 현장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독서지도 계획, 독서교육 평가 등으로 구성하였고, 실제 활용의 예들을 수록하여 그 현장 활용성을 돕고자 하였다.
2014년 12월 소석기념관 연구실에서 오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