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율의 이해와 예측

환율의 이해와 예측

(개정판)

이승호 (지은이)
삶과지식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1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환율의 이해와 예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율의 이해와 예측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91185324500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0-09-25

책 소개

저자가 오랜 기간 한국은행 및 IMF 이코노미스트로서 쌓은 환율 지식과 외환당국자로서의 실무 경험을 모두 담아서 쓴 책으로 독자들이 환율변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종합적인 직관력을 키워 합리적으로 환율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목차

개정판 서문

제1부 외환시장과 국제수지

제1장 외환시장과 환율
외환시장은 두 통화간의 매매가 일어나는 시장 / 15
외환시장은 은행간시장 및 대고객시장으로 구성 / 21
외환시장거래는 현물환 및 외환파생상품 거래로 구분 / 29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결정되는 두 통화간 교환비율 / 33
환율은 장단기요인에 의해 수시로 변동 / 38

제2장 국제수지와 환율
환율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 45
국제수지 흑자는 외환시장으로의 외환순공급을 의미 / 48
국제수지와 은행간 외환순공급 간에는 괴리도 발생 / 56
국제수지의 환율 영향은 단기적으로 불명확 / 61
순국제투자 증가는 장기적 환율하락요인 / 64

제3장 외환파생상품거래와 환율
외환파생상품거래는 외환포지션변동을 통해 환율에 영향 / 71
선물환거래는 국제수지와 무관한 환율변동요인 / 74
역외 NDF거래는 환율변동성 확대를 초래 / 78
외환스왑거래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 84
통화스왑금리는 장기외자조달 수요를 반영 / 90
옵션거래는 델타헤징을 통해 환율에 영향 / 92

제2부 거시경제정책과 환율

제4장 물가와 환율
통화의 상대적 구매력이 환율을 결정 / 101
환율은 국내물가와 상대국물가의 비율 / 102
구매력평가는 단기보다 장기에서 잘 성립 / 109
구매력평가는 실물변화를 반영하는데 미흡 / 114

제5장 통화정책과 환율
환율은 두 나라 통화의 상대가격 / 121
통화공급은 물가상승을 통한 환율상승요인 / 122
통화공급은 금리하락을 통한 환율상승요인 / 125
통화정책은 채권수요변화를 통해 환율에 영향 / 130
주요국 정책금리변화는 국제자본이동을 초래 / 131
비전통적 통화정책은 환율변동성 확대 요인 / 137

제6장 재정정책과 환율
재정정책이 단기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불명확 / 147
자본이동성이 클수록 재정정책의 환율 영향이 증대 / 149
지속적인 국채발행 증가는 장기환율 상승 요인 / 153
재정건전성 악화는 통화약세 요인 / 158

제3부 환율제도와 환율정책

제7장 환율제도
환율제도는 고정, 변동 및 중간형태의 제도로 구분 / 171
세계경제의 개방화로 변동환율제 채택국이 증가 / 181
환율제도 선택시 정책목표가 상충 / 184
거시경제정책과의 부조화시 환율제도가 변경 / 187

제8장 균형환율
균형환율은 기초경제여건에 부합하는 환율 / 197
환율은 시차를 두고 균형수준에 수렴 / 198
균형환율의 추정방법은 매우 다양 / 201
IMF는 회원국의 균형환율 수준을 평가 / 211

제9장 외환시장개입
외환시장개입은 환율안정이 주목적 / 219
외환시장개입은 통화정책 수행에 영향 / 233
시장개입효과는 정책신뢰성에 좌우 / 237
외환시장개입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공동 수행 / 242
외환시장개입자료의 공개는 투명성 제고 목적 / 245

제4부 외환위기와 정책대응

제10장 외환 · 금융위기와 환율
외환 · 금융위기시 환율은 비정상적으로 급등 / 253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은 국별 및 시기별로 다양 / 256
2008년 금융위기는 범세계적 외화유동성위기 / 267
금융위기시 위험지표들이 환율과 동반 상승 / 274

제11장 자본유출입관리정책
국가간 급격한 자본이동은 금융안정성을 저해 / 287
신흥국은 자본유출입관리정책으로 대응 / 294
자본통제는 장기비용이 단기효과를 상회 / 297
외환건전성정책은 금융안정 및 위기대응력 강화에 기여 / 302

제12장 글로벌 금융안전망
글로벌 금융안전망은 제2선 위기방어막 / 321
IMF 긴급융자제도의 위기예방 목적이 강화 / 323
지역 금융안전망은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보완 / 327
국가간 통화스왑은 탄력적 외화유동성 공급수단 / 329
위기예방 및 대응에는 다층적 방어막 구축이 중요 / 335
국가간 환율갈등은 신흥국환율 상승을 초래 / 337

<찾아보기> 344

저자소개

이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9년에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곧바로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2010년까지 22년간 재직하였다. 1996년에는 미국 American Univ.에서 환율에 관한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은행에서는 조사제2부 금융통계과, 금융경제연구소 국제금융팀, 조사부 국제경제실을 두루 거친 이후 1999년부터는 국제국에서 우리나라의 외환정책 기획, 환율 및 외환시장 운용 등을 직접 담당하였다. 2006~2009년에는 국제통화기금(IMF)에서 senior economist로 근무하면서 연례 경제정책협의 및 FSAP 등을 수행하였다. 2011년부터는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환율 및 외환시장과 글로벌 자본시장에 관한 통합적 연구에 힘쓰고 있다. 현재 한국은행 외화자산운용 자문위원 및 국민연금 정책투자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금리·환율의 연관성과 자본이동성”, “Deviation from covered interest rate parity in Korea(제3회 대외경제연구 최우수논문상)”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