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85877259
· 쪽수 : 581쪽
· 출판일 : 2015-03-02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3. 연구의 대상과 방법
제2장 1900년대 이해조 문학의 특질과 의미
1. 근대 잡지와 이해조 소설
1) 1906년 이전의 행적과 문학 활동의 계기
2)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와 한문현토소설 「잠상태(岑上苔)」
2. 근대 신문과 이해조 소설
1) <제국신문(帝國新聞)>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 1907년 <제국신문>의 체제 변화와 소설 배치
(2) 이해조 연재소설의 특질과 의미
2) <대한민보(大韓民報)>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 <대한민보>의 편집 체제와 소설 배치
(2) 현실 비판의 목소리와 개별 주체의 욕망
3. 단행본 소설과 교육.계몽운동
제3장 1910년대 이해조 문학의 특질과 의미
1. <매일신보(每日申報)>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 <매일신보> 국한문판의 독자전략과 초기 이해조 연재소설의 특징
(1) <매일신보>의 소설 기획과 이해조
(2) 남성독자와 보수적 가치의 재현
2) 1912년 체제 변화와 이해조 문학의 두 가지 갈래
(1) 독자 통합과 지면 분할
(2) 식민담론의 삼투(滲透)와 균열
(3) 판소리 산정(刪正)의 특질과 의미
3) <신해음사(辛亥唫社)>에 수록된 이해조의 한시 두 편
2. <매일신보> 이후 이해조 문학의 향방
제4장 결론
보론 ‘정탐소설’ 「박쥐우산」의 작자 문제
1. 머리말
2. <조선일보> 소재 「박쥐우산」과 이해조
3. ‘정탐소설’의 계보와 「박쥐우산」
4. 맺음말
부록 <제국신문> 소재 이해조의 「륜리학」
참고문헌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