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91185890128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5-02-26
책 소개
목차
1장 소개 1
왜 이 책이 중요한가? 2
우리는 누구인가? 3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4
2장 제품 관리자의 역할 6
PM이란 무엇인가? 6
PM이 하는 일 7
제품 관리의 흔한 허구들 17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그램 관리자 22
3장 회사 25
각양각색의 PM 25
구글 29
마이크로소프트 31
애플 34
페이스북 36
아마존 38
야후 40
트위터 42
스타트업 44
4장 적절한 경험 쌓기 52
신규 대졸자 53
취업박람회 최대한 활용하기 54
MBA는 필수인가? 56
기술 경험은 왜 중요한가? 58
엔지니어에서 PM으로 전향하기 59
디자이너에서 PM으로 전향하기 67
다른 역할에서 PM으로 전향하기 69
사이드 프로젝트를 제대로 수행하는 방법 71
5장 승진 73
승진을 위한 조언 73
Q&A 페르난도 델가도, 야후의 제품 관리 이사 81
Q&A 애슐리 캐럴, 도큐사인의 제품 관리 이사 87
Q&A 브랜든 브레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수석 그룹 프로그램 관리자 90
Q&A 토마스 어렌드, 에어비앤비의 국제 제품 선임 94
Q&A 요한나 라이트, 구글의 VP 97
Q&A 리사 코스토바 오가타, 브라이트닷컴의 제품 VP 101
6장 면접 현장 뒤에서는 107
구글 107
마이크로소프트 110
페이스북 112
애플 114
아마존 115
야후 117
트위터 118
드롭박스 120
7장 이력서 122
15초 규칙 123
법칙 123
훌륭한 PM 이력서의 특성 130
무엇을 포함해야 하나? 131
8장 이력서 실전: 비포 & 애프터 138
리처드 왕 139
폴 운터버그 146
아미트 아가왈 152
애덤 카즈웰 157
9장 커버레터 166
훌륭한 PM 커버레터의 요건 166
커버레터 템플릿 168
훌륭한 커버레터 170
10장 회사 조사 173
제품 173
전략 175
문화 176
역할 177
질문들 178
11장 자신을 정의하라 181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자기광고) 181
왜 여기서 일하고 싶습니까? 184
왜 우리가 지원자를 채용해야 하나요? 187
현재 직장은 왜 그만두려고 합니까? 189
여가 시간에는 무엇을 즐겨 하나요? 190
5년 뒤에는 어떤 곳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요? 193
자신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가요? 194
12장 행동 질문 198
이런 질문을 하는 이유 198
준비 204
후속 질문 212
행동 질문의 유형 212
13장 추산 질문 220
접근 방법 221
참고용 수치들 227
조언과 요령 228
면접 리허설 234
예시 질문 238
14장 제품 질문 267
제품 질문에 대해서 268
유형 1: 제품 디자인하기 268
유형 2: 제품 개선하기 281
유형 3: 가장 좋아하는 제품 284
준비 288
조언과 요령 291
예시 질문 293
15장 사례 질문 294
사례 질문: 컨설턴트 vs. PM 294
면접관이 찾는 것 295
유용한 프레임워크 297
제품 지표 303
면접 질문 306
16장 코딩 질문 336
누구에게 코딩이 필요한가 336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337
지원자를 평가하는 방식 357
접근 방법 358
알고리즘 풀어내기 359
추가 문제 361
정답 362
부록 409
이안 매컬리스터: 상위 1% PM vs. 상위 10% PM 410
애덤 내시: 훌륭한 제품 리더가 돼라 412
사친 레키: 뛰어난 제품 로드맵의 입력들 416
켄 노턴: 제품 관리자를 채용하는 방법 418
아마존의 리더십 원칙 427
책속에서
제품 관리자는 권위 의식 없이 팀을 이끌 수 있어야 하고, 자신의 비전과 통찰력을 팀원에게 전파해야 한다. 제품 관리자는 어느 회사에서나 크게 존중받는 사람이지만 엔지니어만큼은 아니다. PM이랍시고 팀원들에게 높은 사람 대접을 받으며 이래라저래라 한다면 그 팀은 삐걱대기 십상일 것이다. 어찌 됐든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사람은 엔지니어가 아닌가? 제품 관리자는 엔지니어를 적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기능을 개발할 때 사용자 시나리오를 스토리처럼 작성하는 것도 고객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된다. 이 기능이 고객의 삶에 어떻게 어울리는지 시나리오를 통해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상상하는 것이다. 다소 엉뚱해 보이기는 해도 고객의 사고방식에 대해 속속들이 이해하게 되면 고객의 삶에 어우러지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샐리(Sally)가 오늘 컴퓨터를 켠 것은 플래시 플레이어를 업데이트하려는 마음 때문이었을까? 아마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플래시 플레이어의 업데이트는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진행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사실, 자질은 출중한데 이력서가 엉망인 사람이 부지기수다. 그들은 자신이 쌓은 경험에 대한 균형감이 부족하고, 직업상담사에게 받은 한물간 조언 때문에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그들은 구체적으로 파고드는 질문에 속절없이 무너지고, 이력서를 심사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을 문장에 공을 들이기도 한다. 형편없는 이력서는 어느 직업에나 달갑지 않겠지만, 제품 관리 역할에서는 더욱더 푸대접을 받는다. 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한 PM에게 이력서는 이 소통 능력을 입증하는 대단히 명료한 방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