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8595413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6-01-30
책 소개
목차
서론
1장 디자인의 존재이유
1. 몇 가지 방법론
2. 디자인에 대한 직관적 생각들
3. 디자인과 예술, 디자인과 공예
3.a. 대상으로서의 예술과 형태주의
3.b. 행위로서의 예술과 표현
4. 디자인에 대한 정의
2장 미와 취미판단
1. 규범성의 문제
1.a. 미적 실재론
1.b. 미적 주관론
2. 미감적 판단
3. 칸트적 설명
3.a. 판단능력
3.b. 미의 주관적 측면
3.c. 미의 객관적 측면
4. 규범적인 미
3장 디자인과 부수미
1. 자유미
2. 부수미
2.a. 아름다운 사물들
2.b. 순수한 취미판단과 비순수한 취미판단
3. 기능에 대한 평가
4. 미술과 공예
5. 디자인의 미
4장 디자인과 일상미학
1. 미학에 대한 비판
2. 미학의 범위 확장
2.a. 사이토: 행위, 즐거움, 불확정성
2.b. 하팔라: 낯섦, 친숙함 그리고 장소의 의미
3. 디자인과 일상적인 것
결론: 디자인의 의미
역자 후기
참고문헌
사항색인
인명색인
책속에서
지금까지 디자인은 너무 평범하고 익숙해서 우리의 이론적 관심에서 비켜나 있었다. 이번 과제는 그것을 볼 수 있게 하는 일이다. 디자인을 그저 (미술이라는 모델에 대한) 또 다른 대상으로 보고 비슷한 방식으로 떠받들면, 디자인의 미적 가치는 더욱 무시되고 만다. … 비트겐슈타인은 마지막에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이미 본 것이 사실 가장 놀랍고 강한 것임을 미처 깨닫지 못한다.” 나는 이러한 평범하고 친숙한 것의 미적 의미를 부각시키는 정도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으려고 한다.
- 서론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은 생각보다 훨씬 많은 인공 제조물들로 채워졌으며, 자연적이라고 부를 만한 것들은 점점 더 사라지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주택, 가구, 의복 그리고 도구는 모두 디자인된 것이며, 요즘에는 자연 생물들까지도 디자인되고 있다. … 애완동물은 순종으로서의 특징이나 성질을 유지하도록 유전자 공학으로 조작되고, 과일이나 채소 같은 경우에도 보존 처리되거나 유전자 조작이 가해지고 있다. 심지어는 우리의 몸도 치아교정, 성형, 장기이식, 피어싱, 문신 등을 하면서, 순수하게 “자연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 1장 디자인의 존재이유
요즘에는 특정 가구들을 “스웨덴 디자인”이라고 지칭하거나 주방용 냄비나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탈리아 디자인”이라고 말하곤 한다. 정작 제품을 만든 개인이나 기업에 대해서는 모르면서도 이 물건들을 찬사를 보낼 만한 디자인 작품으로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디자이너는 아무 의미도 없는 존재일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은 어떻게 디자이너의 “작품”이 될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가 접하는 물건이 유일한 원작이 아니라면 디자이너가 만들어내는 것은 과연 무엇이라고 해야 할까?
- 1장 디자인의 존재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