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86184356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6-05-01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수행 체계
Ⅱ. 국가별 스포츠 정책 개관
1. 미국
2. 영국
3. 프랑스
4. 독일
5. 일본
6. 중국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 미국
가. 미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나. 미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미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미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미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미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2. 영국
가. 영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나 .영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영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영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영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영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3. 프랑스
가. 프랑스 스포츠 정책 기본 철학
나. 프랑스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프랑스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프랑스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프랑스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프랑스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4. 독일
가. 독일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나. 독일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독일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독일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독일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독일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5. 일본
가. 일본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나. 일본의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일본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일본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일본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일본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6. 중국
가. 중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나. 중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다. 중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라. 중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마. 중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바. 중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Ⅳ. 국가별 스포츠 정책과 주요 이슈
1. 스포츠 정책과 양성평등 이슈
2. 스포츠 정책과 민관협력 이슈
Ⅴ. 결론 및 제언
1. 국가별 스포츠 정책 방향성
가. 미국 '모든 국민의 평등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참여'
나. 영국 '전 국민의 생활 속 운동 습관화로 건강 증진'
다. 프랑스 '스포츠의 순기능을 다각적인 공공복지 증진책으로 활용'
라. 독일 '스포츠를 통해 풍요로운 삶'
마. 일본 '국가 및 지역사회 복지차원의 여가스포츠 활성화'
바. 중국 '스포츠를 통한 국민 체질 강화와 사회주의 물질문명의 건설'
2. 스포츠 영역별 거버넌스 비교
가. 엘리트 스포츠
나. 생활 스포츠
다. 학교 스포츠
라. 장애인 스포츠
마.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3. 이론에의 기여 및 한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