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1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1

이바도, 정희연, 강이룬, 김희진, 위예진, 정성훈, 최치영, 구경모, 박용락, 안수형, 박현석, 한석진, 김기조, 김유민, 임은지, 김영선, 심규하, 이두희, 정기영 (지은이)
홍디자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1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6198742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1-09-20

책 소개

디자인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16팀이 ‘디지털’과 ‘타이포그래피’를 화두로 진행했던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T/SCHOOL 2021: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온라인 강연을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목차

기획의 글 | 석재원(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부회장)

DAY1 2021.1.29.
클로바 AI 손글씨
이바도·네이버
UI 타이포그래피의 특성
정희연·토스
디자인 도구 비평
강이룬·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디자인
김희진·스튜디오 룰루랄라
T/TIME | 이바도·정희연·강이룬·김희진

DAY2 2021.2.5.
디지털 환경에서 함께 폰트 만들기
위예진·산돌
다이글로시아 타이포그래피
정성훈·페이스북
텍스트가 텍스처가 되는 순간
최치영·윤디자인그룹 엉뚱상상
타이포그래피가 코드를 만났을 때
구경모·디자인피버
T/TIME | 위예진·정성훈·최치영·구경모

DAY3 2021.2.19.
믹스폰트
박용락·폰트릭스
헐굿멋짱캬
안수형, 박현석·우아한형제들
경제학 관점에서의 폰트마켓 분석
한석진·브리스톨대학교
다큐멘터리와 레터링
김기조·기조측면
T/TIME | 박용락·안수형, 박현석·한석진·김기조

DAY4 2021.2.26.
만약 카카오가 만드는 서체라면?
김유민, 임은지·카카오
디지털 프로덕트 안에서의 실용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우리의 방법
김영선·바이널씨
컴퓨테이셔널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의 미래
심규하·카네기멜론대학교
디지털 환경의 브랜딩과 타이포그래피
이두희, 정기영·허스키폭스
T/TIME | 김유민, 임은지·김영선·심규하·이두희, 정기영

마치는 글 | 김경선(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회장)
INDEX

저자소개

이바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고 인공지능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네이버 클로바 비주얼 AI OCR 팀에서 리더를 맡고 있으며 이전 회사인 삼성 무선사업부에서는 빅스비 비전 쇼핑을 포함한 다양한 비전 솔루션 개발을 했다. 네이버에서 OCR 엔진, 손글씨 폰트 생성, 캡차Captcha 엔진과 관련한 다양한 기반 기술을 개발 중으로, 최신 기술이 다양한 사용자 서비스로 연결되는 과정에 재미를 느낀다.
펼치기
정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 문화가 제품 디자인과 디자이너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깊다. 현재는 토스의 헤드 오브 UX로서 더욱 건강한 디자인 문화를 만들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아울러 총체적 디자인 경험을 설계하고, 일관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펼치기
강이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에서 디자인 스튜디오 매스 프랙티스를 운영하며, 최근 문화와 예술을 위한 디자인 도구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908A를 공동 설립했다. 예일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고, MIT의 도시 계획과 산하 센서블 시티 랩에서 특별 연구원으로 일했다. 독일 바우하우스 바이마르대학교, 뉴욕대학교 ITP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파슨스디자인스쿨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이에이치큐를 거쳐 딩고 스튜디오에서 영상 OAP 디자이너로 일하며 방송 채널 디자인 기획 및 영상 제작과 웹,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 작업을 했다. 현재 스튜디오 룰루랄라에서 콘텐츠 디자이너로 일하며 채널 브랜딩과 다양한 콘텐츠의 비주얼 기획, 디자인 가이드 제작을 맡고 있다.
펼치기
위예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 학사 학위를 받았다. 산돌에서 서체 제작자 겸 다국어 제작팀의 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산돌의 서체 제작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본명조 한글 제작에 참여했으며, 그레타 산스 한글을 제작했다.
펼치기
정성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삼성전자와 SK플래닛을 거쳐 현재는 실리콘밸리 페이스북 본사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한다. 성장 시장에서의 페이스북 신규 사용자를 위해 디자인하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부터 VR까지 새로운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데 즐거움을 느끼고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과 소통하며 디자이너의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 노력 중이다.
펼치기
최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2년부터 타이포그래피 기반의 편집 디자이너로 활동하다 2017년부터 윤디자인에 합류해 폰트를 브랜딩하기 시작했다. 2019년부터는 윤디자인그룹의 엉뚱상상을 운영하면서 폰트를 음악, 만화처럼 대중문화로 만들기 위해 고삐 풀린 폰트를 기획하고 있다.
펼치기
구경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피버에서 9년째 근무 중이다. 웹사이트, GUI, 쇼잉 콘텐츠Showing Contents 등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결과물을 만들어 왔다. 현재는 삼성 디자인(design.samsung.com) 콘텐츠 디렉터로서 웹을 통해 삼성의 디자인을 소개하는 일을 하고 있다.
펼치기
박용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공동 설립한 폰트 디자인 전문 회사 ㈜폰트릭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25년 넘게 폰트 디자인을 해온 대한민국 대표 폰트 디자이너 중 하나로 꼽힌다. 삼성, 카카오, 네이버, 현대카드, 넥슨, 한국출판인회의, MBC, KBS, YTN 뉴스, 동아일보, 롯데마트, 대신증권, LINE일본어 등의 전용 서체를 개발하고 상업용 서체 윤고딕과 윤명조, Rix고딕과 명조, Rix도로명 시리즈, Rix락 시리즈와 Rix락 베리어블, Rak고딕과 명조 베리어블을 비롯한 다수의 Rak 폰트 등 지금까지 약 1,000여 종의 폰트 개발 및 디렉팅을 진행했다. IF디자인어워드 타입페이스 디자인, 레드닷디자인어워드, 굿디자인어워드, 아시아디자인프라이즈 위너, 독일 국제유니버셜디자인어워드, K디자인어워드 그랑프리 등 국내·외 유수의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펼치기
안수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배민(우아한형제들)의 창의노동자 영상 디자이너 듀오. 배민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에 생기를 불어넣는 모든 모션 그래픽과 다이내믹한 스토리텔링을 창출하고 있다. 서비스 브랜딩이 유별난 만큼 우리만의 때깔과 느낌이 영상을 통해 드러나게 하려고 무진장 애쓰는 중이다. 밖에서 얼핏 보던 배민 작업들 때깔의 숨은 속살과 뼈대를 볼 수 있지 않을까.
펼치기
박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배민(우아한형제들)의 창의노동자 영상 디자이너 듀오. 배민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에 생기를 불어넣는 모든 모션 그래픽과 다이내믹한 스토리텔링을 창출하고 있다. 서비스 브랜딩이 유별난 만큼 우리만의 때깔과 느낌이 영상을 통해 드러나게 하려고 무진장 애쓰는 중이다. 밖에서 얼핏 보던 배민 작업들 때깔의 숨은 속살과 뼈대를 볼 수 있지 않을까.
펼치기
한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경제학과 정교수.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일했고, 예일대학교에서 석박사, 서울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연구 주제는 기존 경제학 연구에서 간과했던 텍스트나 디자인 정보를 머신러닝을 활용해 수치화하고 다양한 경제학·통계학적 분석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론으로 각종 디자인 산업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한다. 평소 예술과 건축,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협업하며 소통을 이어가는 중이다.
펼치기
김기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해 온 그래픽 디자이너. 대학 재학시절, 독립음반사 붕가붕가레코드BGBG Records.의 설립에 동참하며 디자이너로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인디밴드 ‘브로콜리너마저’, ‘장기하와 얼굴들’ 등의 음반 커버 아트워크와 타이틀 디자인을 담당했고, 이들 밴드의 성장과 함께 주목을 받았다. 그중 한글 활용에 대한 과감한 시도와 메시지를 결합하는 작업이 널리 알려졌으며 현재까지 이를 근간 삼아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1년 개인 스튜디오 기조측면을 설립 후, 이를 보금자리 삼아 공연, 전시 및 방송 등 필요한 자리에서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유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튜디오 텍스트, 제이오에이치, 볼드피리어드 등에서 다양한 브랜드디자인 실무를 경험했다. 현재는 카카오 브랜드 센터에서 브랜드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펼치기
임은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 스튜디오를 공동으로 운영하며 그래픽과 타이포그래피를 기반으로 한 작업을 했고, 이후 IT 분야로 영역을 넓혀 현재 카카오 브랜드 센터에서 기업 및 서비스 브랜드를 만들고 있다.
펼치기
김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바이널씨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이전에는 디파이와 이모션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KB국민카드, SK브로드밴드, 기아자동차, 삼성생명, 현대카드 등의 기업과 일했으며, 다수의 프로젝트로 &어워드, 웹어워드, IF어워드 등에서 수상했다.
펼치기
심규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디자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알고리즘과 인공 지능 기반의 컴퓨테이셔널 디자인 방법론으로 창의적인 실천과 사용자 경험의 혁신 그리고 미래를 탐구한다. 뉴욕에 위치한 쿠퍼 휴이트 스미스소니언 디자인 박물관(Cooper Hewitt, Smithsonian Design Museum), LA 카운티 미술관(LACMA) 등의 세계적인 전시관에서 작업이 소개되었고, 레드닷(Red Dot), iF Award 등의 국제 공모전에서 다수 수상하였다. 영국왕립예술학회 석학회원(FRSA)이자 CMU의 디자인과 교수, CMU 창의융합연구소 디렉터, MIT 센서블시티랩(MIT Senseable City Lab) 정보시각화 전문 연구원,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 얀 반 에이크 아카데미(Jan van Eyck Academie) 연구원, Meta(구 Facebook) Designer-in-Residence, RISD, RCA 겸임/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GRAPHIC 37: Introduction to Computation》(2016, 프로파간다)(편저),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2021, 홍디자인)(공저)가 있다. 홈페이지 kyuhashim.com
펼치기
이두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허스키폭스 공동대표이사. 다양한 기업과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브랜드 경험 디자인을 하고 있다. 이전에는 네이버와 SK 플래닛에 재직했다.
펼치기
정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허스키폭스 공동대표이사. 1세대 브랜드 에이전시인 디자인파크와 네이버에 재직했다. 다양한 브랜딩 영역에 올곧은 브랜드 가치와 경험을 실현하고자 정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보면 어도비의 경쟁자들은 대부분 사라지거나 인수되었고, 미국에서 일하는 지금의 제 주변에는 워드보다 구글 독스, 슬라이드, 시트를 쓰는 사람이 훨씬 많아졌어요. 저는 이런 식으로 시장 독점적인 대기업에 의존하는 디자인 도구와 이를 둘러싼 환경이, 결국 디자인 도구의 성격을 규정하고 더 나아가서는 디자이너들의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강이룬·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 조교수


“디지털 환경과 한자 문화권의 맥락 안에서 그리고 라틴 알파벳 서체와 이웃하고 있는 문자로서 한글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는 현재진행형의 문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이웃 문자권과 공통된 그리고 차이가 있는 조형 언어를 지속해서 발견하고 정리해야 합니다. 원론적인 이야기일 수 있지만 각 문자의 공통된 또는 특수한 조형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체한 뒤 재조합하는 것 역시 한글 시각 문화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위예진·산돌 서체 제작자 겸 다국어 제작팀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