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엔터테인먼트 산업 혁명

엔터테인먼트 산업 혁명

김동하 (지은이)
웰북(WellBook)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7,3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2,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엔터테인먼트 산업 혁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엔터테인먼트 산업 혁명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86296561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8-12-15

책 소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태동기부터 성장기 그리고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까지, 성공가도를 달려 온 사람들에게서는 듣기 어려운, 직접 부딪치고 깨지면서 배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교훈이 오롯이 담겨 있다.

목차

1장_엔터테인먼트로 돈 벌기, 성격부터 알자
1. 한국의 신성장 동력,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가 산업이라고?
돈과 함께 성장한 자본 친화적, 융합적 산업
OSMU는 만능열쇠? 확장성과 휘발성

2. 엔터테인먼트는 ‘담아야’ 돈을 버는 ‘콘텐츠’랍니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멀티미디어와 콘텐츠, E&M의 시대로
TV 위에 셋톱, 셋톱 위에 OTT
쥐꼬리의 변신, 롱 테일을 잡아라
한국으로 열린 OTT 시장, 잘 만들면 오래 번다
+자투리 생각_한국 엔터테인먼트가 강한 이유는 뭘까

2장_엔터테인먼트로 어떻게 돈을 벌까
1. 놀면서 돈 버는 엔터테인먼트
‘그들만의 리그’라는 진입 장벽
돈 싸움, 돈의 효율 싸움… ‘경영 전략’만으론 한계

2. 엔터테인먼트는 사람으로 돈을 법니다
사람이 핵심 자산이자 최고 리스크
매니지먼트와 에이전시, 장단점이 뭐기에
1인 기획사와 대형 기획사 사이의 줄타기
스타의 가치, 사람이 어떻게 숫자가 될까
사람에 대한 투자가 자산이 되려면
누가 진짜 대빵이니?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지배 구조
연예인과 매니저는 근로자일까 사업자일까
+자투리 생각_회사와 연예인은 왜 싸울까

3. 영화와 드라마가 돈을 버는 법
영화 제작, 배급, 투자의 생태계
영화 티켓 1만 원, 돈은 어디로 갈까
극장과 제작 진영의 수익 불균형
+자투리 생각_‘마에킹’, 한국 엔터테인먼트 특유의 고질적 구조
블록버스터, 텐트폴이 한국에서도 대세인 이유
영화 수입업이나 한번 해 볼까
흥행을 좌우하는 입도선매식 예매 시스템
드라마는 어떻게 돈을 벌까
+자투리 생각_한류 드라마, 홍콩 느와르의 전철 밟을까

4. ‘뭉치면 더 번다’ 엔터테인먼트의 시너지
엔터테인먼트와 부동산의 환상적인 궁합
부가 가치를 노린 엔테터인먼트의 부동산 전략
캐릭터 비즈니스와 엔터테인먼트의 결합
게임과 영화의 위험한 이종 교배
마블과 디즈니가 불러온 나비효과
강하지만 인간적인, 마블의 캐릭터와 세계관
+자투리 생각_비주류에서 절대 주류로, 마블 회장의 삶과 철학

3장_K팝으로 엿본 한국 엔터테인먼트의 성공 방정식
1. 한국식 자본주의가 만든 K팝
회전율 높은 한국 증시, 엔터테인먼트의 ‘텃밭’
K팝 기획사 빅3의 그룹화 전략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통한 제휴와 분산 전략
국적을 초월하는 하이브리드 전략

2. K팝은 어떻게 전 세계로 확산됐나
K팝의 시작, 아이돌 본고장 일본을 삼키다
K팝, 유럽을 어떻게 뚫었나
K팝과 유튜브는 어떻게 서로를 배불렸나
K팝 전성시대, 누가 가장 많이 벌었나
한국 최초 빌보드 1위, 방탄소년단의 ‘빅히트’ 비결은?

3. K팝의 성공과 이면
아이돌을 선택한 아이들
오디션과 연습생, ‘값싼’ 노동력의 바다
무한 경쟁 생태계와 남겨진 과제
+자투리 생각_연습생 시스템은 현대판 ‘노예제’일까

4장_4차 산업 혁명 시대, 엔터테인먼트가 정답일까
1. 일과 놀이를 결합한 미래 직업
인공 지능 시대, 일자리는 줄지만 또 생긴다
놀면서 돈 버는 엔터테인먼트 전성시대

2. 영상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전성시대
콘텐츠와 플랫폼의 세대 교체
한국 미디어 콘텐츠의 위기와 기회

3. 미래는 기술보다 상상력
팬덤과 AU, 엔터테인먼트의 메인 스트림
기술보다 상상력을 선택한 사람들
취미에서 산업으로, 그렇게 주류가 된다
+자투리 생각_‘비극의 역사’에 갇힌 한국 영화의 세계

저자소개

김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KDI국제정책대학원에서 MBA, 홍익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머니투데이 기자/팀장, IHQ 경영전략실장, HQ인베스트먼트 부사장,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겸임 교수 등을 지냈다.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상장사, 문화 콘텐츠 펀드 운용사(벤처캐피털),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해 온 집필 활동이 이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코스닥 비밀 노트』, 『투자 플랜 B』, 『대한민국 공시의 비밀(공저)』, 웹툰 소설 『명동』, 소설 『무지개아파트』와 몇몇 시나리오를 썼고, 영화 〈밀정〉, 〈뚜르〉, 〈군함도〉, 〈그것만이 내 세상〉, 〈공작〉, 〈협상〉, <국가부도의 날>, <PMC> 등에 투자자로 참여했다. 현재 한성대학교 융복합교양교육과정 교수, 중기벤처부 산하 성북구?한성대 벤처창업지원(BI)센터장, 리틀빅픽처스 사외 이사, 팍스넷뉴스 뉴미디어연구소장을 겸직하면서 꾸준히 주식, 문화 콘텐츠, 투자, 창업 등과 관련해 지식 노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OTT의 등장은 콘텐츠 소비 흐름을 바꾸어 놓았다. 과거 '안방 극장'에서 '본방 사수'하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저장 또는 다운로드 해 TV와 PC, 스마트폰을 오가며 다시 보기, 이어 보기 등으로 원하는 때 원하는 장소에서 볼 수 있게 했다. N스크린뿐 아니라 미국에서 회자되는 '코드 커팅Cord-Cutting'이라는 용어는 케이블 등 유료 방송 가입 서비스를 해지한 뒤 OTT 플랫폼으로 갈아타는 트렌드를 묘사하는 말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TV나 컴퓨터의 코드를 잘라도 우리의 콘텐츠 소비는 계속된다. OTT를 통해서 말이다.


엔터테인먼트는 본질적으로 사람의 심리에 호소하는 영역이다. 음악, 영화, 드라마, 스타 매니지먼트, 게임 등 대개의 분야가 그렇다. 실제로 매니지먼트 업종의 창업자나 경영자는 사람과의 관계를 정립하고 그것을 계약이라는 형태로 풀어내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다. 시장에 내놓는 엔터테인먼트 상품 역시 사람들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미지와 소리, 사진, 영상 등으로 어떻게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아서 널리 확산시킬지, 그것으로 어떻게 사람들이 주머니를 열게 할지 고민하고 연구하고 실행하는 것이 엔터테인먼트업의 본질이다.


엔터테인먼트 기업에서 직접 발굴해 스타가 된 경우 아무리 수익력이 높아도 기업 장부에 남아 있지 않다. 다시 말해 SM엔터테인먼트나 엑소의 브랜드 가치를 회사 자산으로 담을 수는 없다는 얘기다. 다만 외부에서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당 연예인을 영입할 경우 기업에 지급한 영업권이나 연예인에게 지급된 전속 계약금은 무형 자산으로 분류된다. 실제 장부에 있는 무형 자산은 계약금 형태로 회사가 지급한 금액이 대부분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