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벤처/스타트업/인터넷창업
· ISBN : 9791186345276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7-05-17
목차
■ 프롤로그_ 박항준 4
박현정 12
■ 패러독스 20
■ ‘맹인모상 [盲人摸象]’ 24
^^| chapter 1 | 스타트업과 대기업 ^^
1. 밤송이 패러독스 | 29 2. 경영학 패러독스 | 33
3. 경쟁기술 패러독스 | 48 4. 소비자 패러독스 | 54
5. 프로선수 패러독스 | 57 6. 감동스토리 패러독스 | 61
7. M&A 패러독스 | 64 8. 브랜드 패러독스 | 68
9. 투자 패러독스 | 74 10. 혁신 패러독스 | 78
^^| chapter 2 | 생존능력과 경쟁기술^^
1. 성공기술 패러독스 | 83 2. 성공의 역설 | 86
3. 성공스토리 패러독스 | 88 4. 스타트업 1년의 역설 | 95
5. 데스밸리(Death Valley)의 역설 | 98 6. 비전의 역설 | 104
7. 피벗 패러독스 | 105
^^| chapter 3 | BM과 BI ^^
1. 비즈니스모델의 역설 | 111 2. 성공의 역설 | 115
3. 비즈니스아이디어(BI)의 역설 | 120 4. 단세포 패러독스 | 124
5. BI의 수정 패러독스 | 126 6. BI 사업화 시점의 역설 | 128
^^| chapter 4 | 리스크와 지속가능성 ^^
1. 플랫폼 비즈니스의 역설 | 133
2. 같은 아이디어, 다른 시장 패러독스 | 135
3. BI 성과보상 역설 | 138
4. 검은 경영학의 패러독스 | 141
5. 제조 스타트업 패러독스 | 144
6. BI 설계의 역설 | 146
7. 대한민국 패러독스 | 148
^^| chapter 5 | 가치와 성공 ^^
1. 기업가치 패러독스 | 157 2. 장사 패러독스 | 161
3. 반대자 패러독스 | 163 4. 실패의 역설 | 167
5. 성공신화의 역설 | 171 6. 생존전략의 역설 | 175
7. 특허의 역설 | 177
^^| chapter 6 | 교육과 리더십 ^^
1. 히든챔피언의 역설 | 183 2. 창업교육의 패러독스 | 185
3. 경영분석의 역설 | 188 4. 착한 사마리아인 패러독스 | 192
5. 리더십의 패러독스 | 196 6. 창업교육 패러독스 2 | 200
^^| chapter 7 | 창업과 창직
1. 홀로 창업의 역설 | 205 2. 100회 IR의 역설 | 207
3. 깨진 유리창 법칙의 역설 | 209 4. 파괴적 혁신의 역설 | 211
5. 이미 있다 패러독스 | 213 6. 확률 패러독스 | 215
7. 공모전 패러독스 | 219 8. 생존전략 패러독스 | 223
9. 성공률의 패러독스 | 225 10. 노다지 패러독스 | 227
^^| chapter 8 |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
1. 사피엔스 패러독스 | 231 2. 창업아이템 패러독스 | 233
3. 임시면허 패러독스 | 236 4. 블루오션의 역설 | 238
5. 경영권 51%의 패러독스 | 240 6. 관상과 궁합 패러독스 | 242
7. 동업 패러독스 | 243 8. 리더십의 패러독스 | 245
■ 에필로그 248
■ 저자 소개 250
■ 협력기관 추천사 254
책속에서
‘가르치는 것’과 ‘알려주는 것’은 다르다
스타트업 입문서의 역할은 “가르치지 말고 알려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바른 진실을, 올바른 정보를, 실제 경험을 바로 알려주어야 한다. 스타트업과 관련된 역설들로 엉켜있는 매듭을 푸는 것이 바로 이 책의 역할이다.
이 책은 창업자에게 힘이 되지 않는다. 무조건 힘내라하고 파이팅을 외치지도 않는다. 성공사례를 분석해 성공팁을 주지도, 스타트업의 생존을 위한 처세술도 공개하지 않는다. 복잡한 경영학을 쉽게 풀어주지도 않을 것이다. 성공신화를 아름답게 미화하여 환상적인 창업의 세계로 유혹하지도 않을 것이다.
미국의 모 대학졸업생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난 아무 것도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말이다. 결국 그는 아무 곳에나 갈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준 것이다. 이 얼마나 멋진 말인가? 그러나 이 말을 다시 생각해보면 “나는 20대 중반, 대학 4년 졸업할 때까지 특별한 목표도 없었고, 내일부터 갈 곳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난 내일부터 실업자다”라는 의미였다. -본문 중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