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8635504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08-26
책 소개
목차
서 문
역자 서문
제1장 과학적 연구의 철학 - 아는 것보다 이해하는 것 -
1.1 연구자란?
1.2 연구자라는 직업
1.3 장래의 꿈은 과학자
1.4 어떻게 하면 연구자가 될 수 있는가?
1.5 연구자가 된다는 것에 대한 불안
1.6 여성 연구자는 왜 적은 것일까?
1.7 과학적 연구와 과학의 차이
1.8 우연과 필연
1.9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
1.10 과학은 어떻게 진보하는가?
1.11 과학이란 의심하는 것
1.12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1.13 자연계의 퍼즐을 풀다
1.14 이해되지 않는 것을 이해한다
1.15 연구는 인간의 드라마
제2장 모방에서 창조로 - 과학에 왕도는 없다 -
2.1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
2.2 처음에는 모방, 그런 후에 창조
2.3 연구의 시작은 모방으로부터
2.4 언어에 있어서의 모방과 창조
2.5 음악에 있어서의 모방과 창조
2.6 만유인력의 창조적 발상
2.7 선두를 목표로 하여
2.8 연구에 왕도는 없다
2.9 운(運)·둔(鈍)·근(根)
2.10 왜 ‘둔’일까?
2.11 연구자에게 필요한 ‘운·둔·근·감’
2.12 논리를 넘어선 괴로움
제3장 연구자의 철학 - 어떻게 자신을 연마할까? -
3.1 수학·물리와 인식의 관계
3.2 자신에게 철저할 것
3.3 자기 본위
3.4 고독의 괴로움
3.5 대중은 무리를 지어 모이려 한다
3.6 독창성으로부터의 도피
3.7 독창성이라는 철학
3.8 동양과 서양의 차이
3.9 고독의 기쁨
3.10 연구자에게 필요한 능력
3.11 박사에 관하여
3.12 연구실이란?
3.13 공방으로서의 연구실
3.14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붙잡지 않는다
3.15 제약 속에서의 자기표현
제4장 연구의 센스 - 불가사의에 대한 도전 -
4.1 이상야릇하다고 생각하는 것
4.2 호기심은 과학의 시작
4.3 과학과 마술
4.4 의외성이야말로 생명
4.5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 그것이 문제이다
4.6 연구자의 심미안
4.7 완전한 우연에 의한 중대한 발견이나 발명 ? serendipity
4.8 잘 관찰하여 확인하는 것
4.9 가설의 실증에 필요한 기술
4.10 생각하는 것
4.11 문득 떠오르는 영감을 얻기 위하여
4.12 과학은 잘라 버리는 것
4.13 추상화(抽象化)와 이상화(理想化)
4.14 최소성
4.15 시스템·신경과학의 경우
4.16 지속적인 연구는 어떻게 가능할까?
4.17 연구자의 연령
4.18 명장은 군사를 철수시킨다
4.19 그렇게 하여 마침내 수수께끼가 풀린다
제5장 발표의 센스 - 전달하는 힘 -
5.1 연구 발표의 철학
5.2 출판 또는 소멸
5.3 과학적 연구의 발표
5.4 델브뤽과 호리타의 조언
5.5 연구 성과의 발표
5.6 논문이야말로 모든 노력을 대변하는 것
5.7 적절한 인용
5.8 출판물과 인터넷의 차이
5.9 정보의 수동화와 가치의 저하
5.10 ‘동료평가’라는 관문
제6장 연구의 논리 - Fair Play란? -
6.1 연구자간의 경쟁과 도덕성
6.2 이중 나선을 둘러싼 진실
6.3 연구경쟁과 비밀주의
6.4 정직할 것
6.5 해석 오류와 사실 오류의 차이
6.6 과학윤리의 교육
6.7 시험의 부정
6.8 왜 부정행위는 없어지지 않을까?
6.9 역사를 바꿀 수 있었던 화석의 ‘조작’
6.10 상온 핵융합과 고온 초전도
6.11 과학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제7장 연구와 교육의 딜레마 - 연구자를 길러낸다 -
7.1 교육과 연구의 차이
7.2 훈련과 자유
7.3 연구의 동기부여와 교육
7.4 과학교육의 철학
7.5 연구자와 교육자
7.6 좋은 연구자가 반드시 좋은 교육자라고 말할 수 없는 이유는?
7.7 교사와 자기 자신
7.8 학생을 길러낸다는 것
제8장 과학자의 사회 공헌 - 진보를 떠받치는 사람들 -
8.1 과학과 가치관
8.2 과학자와 사회적 책임
8.3 과학기술과 자연의 조화
8.4 기초연구의 사명
8.5 대학의 연구비에 대한 인식
8.6 사회에 열려진 과학으로
인용 원문
《부록》 노벨상
노벨상이란 무엇인가?
노벨상 수상자는 어떻게 선정되는가?
노벨상은 누가 받는가?
노벨 화학상
노벨 물리학상
노벨 생리학·의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