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86396520
· 쪽수 : 233쪽
· 출판일 : 2019-04-03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왜, 식량 비축인가
1.1. 세계의 식량 사정
1.2. 식량비축과 식량안보
1.3. 식량안보를 위한 정부정책과 한계
1.4. 곡물비축의 필요성
Chapter 2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상황
2.1. 한국의 식량안보지수와 식량자급률
2.2. 우리나라 곡물 수급 현황과 변동 추이
2.3.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로드맵
Chapter 3 우리나라 곡물 비축관리 현황
3.1. 곡물 비축제도 개요
3.2. 우리나라 양곡비축 정책의 역사
3.3. 정부의 양곡 비축관리 현황
3.4. 농수산물유통공사의 곡물 비축관리 현황
3.5. 농협의 양곡수매 및 비축관리 현황
3.6. 사료곡물 비축 현황
Chapter 4 곡물비축을 위한 저장능력 현황
4.1. 정부양곡 보관창고 현황
4.2. RPC 및 DSC 보유 저장능력 현황
4.3. 항만 및 하역업체 저장능력 현황
4.4. 곡물 도정 및 가공시설 현황
4.5. 국내 총 곡물 보관능력 추정
Chapter 5 식품산업의 식량비축 현황
5.1. 식품산업의 원료이용실태
5.2. 소맥의 수급체계와 비축현황
5.3. 옥수수 수급체계와 비축현황
5.4. 콩 수급체계와 비축현황
5.5. 식품산업 원료조달의 당면과제
Chapter 6 쌀 재고/저장 관리비용 산출
6.1. 정부양곡 관리비용 분석
6.2. 2018년 쌀 10만 톤 기준 관리비용 산출
6.3. 적정 식량비축량 시나리오 및 관리비용 분석
6.4. 통일비축미 120만 톤 비축비용 추정치와의 비교
Chapter 7 식량안보 위기대응 시스템
7.1. 한국과 일본의 식량안보 위기 대응시스템 비교분석
7.2. 국제 곡물시장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
7.3. 식량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Chapter 8 해외 주요국의 곡물비축제도 사례
8.1. 일본의 공공비축제도
8.2. 중국의 식량비축제도
8.3. 홍콩의 쌀 비축제도
8.4. 싱가포르 쌀 비축제도
8.5. 노르웨이의 공공비축제도
8.6. 해외 주요국 비축 사례에서 얻는 시사점
Chapter 9 정부 식량비축 제도 및 관리 개선을 위한 제언
9.1. 곡물 공공비축제도 개선방안
9.2. 통일을 대비한 한반도 식량정책 및 비축 계획
9.3. 맺는말
부 록 전문가 의견
Ⅰ. 한국의 식량비축 현황과 개선방안/ 전한영
Ⅱ. 식품산업계의 가공식품원료 수급구조와 대응방안/ 조일호
Ⅲ. 사료곡물의 안정적 확보 방안/ 김치영
Ⅳ. 식량비축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 임정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