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9118639672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10-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음식역사를 통해 본 한국식품의 비교우위 (손홍석 교수, 고려대 식품공학과)
1.1. 서론
1.2. 한국식품의 뿌리
1.3. 한식 세계화 사례
1.4. 전망 및 결론
제2장 한국 전통음식의 건강기능성 (채수완 교수, 전북대병원 센터장)
2.1. 서 론
2.2. 한식의 식사유형 기준 및 식사유형지수 정립
2.3.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한식 우수성 구명 연구
2.4. 한국 전통음식의 나트륨 패러독스
2.5. 한식(비빔밥&김밥)과 서양식(돈까스&햄버거)의 대사성질환 위험 비교
2.6. 한식 3첩 반상과 비빔밥 한 그릇은 동일한 건강식 가치
2.7. 전통 콩발효식품의 건강기능성
제3장 한국 식품산업의 해외 진출 현황과 전망 (한국식품산업협회 이사)
3.1. 서론
3.2. 식품산업의 해외진출 현황
3.3. 농식품 수출 증진을 위한 기회요인
3.4. 수출확대에 대한 위기/ 제약요인
3.5. 제언
제4장 한국 외식산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부장)
4.1. 서론
4.2.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4.3. 국내 외식산업의 해외 진출 현황
4.4. 한국 외식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제언과 과제
제5장 개발도상국의 식량안보 증진을 위한 협력 방안 (E&S 컨설팅 대표)
5.1. 서론
5.2.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농식품산업
5.3. 농식품분야의 국제개발협력
5.4. 농식품 기업의 국제개발협력 사례
5.5. 농식품 기업의 국제개발협력 참여 방안
5.6. 결론
제6장 북한의 식량 사정과 남북협력의 현재와 미래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연구원장)
6.1. 서론
6.2. 북한의 농업 정책 동향
6.3. 북한의 식량 수급 동향
6.4. 남북한 농업협력 동향과 전망
6.5 요약 및 시사점
부록 : 전문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