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품과학자가 바라본 우리음식과 식품산업

식품과학자가 바라본 우리음식과 식품산업

신동화 (지은이)
식안연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식품과학자가 바라본 우리음식과 식품산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품과학자가 바라본 우리음식과 식품산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91186396780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3-09-27

목차

추천의 글 (박상철)
이 책을 출간하면서

제1장 식품으로 건강 챙기기
식품과 인간 / 식품 기능의 재발견 / 음식은 맛으로 먹는데 그 맛의 비밀은? / 음식의 역할은 어디까지 / 거친 음식이 건강을 지켜준다 / 성분과 성질의 차이 / 건강 식단, 더 미룰 수 없다 / 건강과 장수는 우리 근육량에 달렸다 / 똥(糞)은 더 이상 기피의 대상이 아니다 / 맛이 먼저다 / 매운맛 열풍과 우리 수명 / 식물성 단백질 이용제품의 다양화 필요 / 먹는 것이 우리 유전인자에도 관계한다 /
비만의 해법 / 소박하고 단순한 식사 / 소비자의 생각과 지식수준이 바뀌고 있다 / 식물성 단백질의 용도 확대 / 식품성 원료를 이용한 페티의 출현 / 식품의 선택기준 / 외식업체는 고객의 장내 미생물과 친해야 한다

제2장 발효식품의 깊은 이야기
발효식품의 마력 / 발효가 건강 장수식품을 만든다 / 발효식품과 미생물 / 김치 사랑, 세계를 볼 때다 / 발효식품과 장내미생물 / 비 우유 기능성 발효제품의 개발 필요 / 우리가 미처 몰랐던 콩 발효식품의 세계 / 장류산업, 우리 세대가 발전시켜야 한다 / 우리 전통발효식품 두들기기 / 우리 식문화의 뿌리는 발효식품이다 / 우리 전통 발효식품을 지켜야 한다

제3장 식품안전관리는 생명지킴이
100-1=0이 뜻하는 의미 / 식품안전관리와 사물인터넷 / 모든 식품에는 독성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 안전과 안심은 개념이 다르다 / 즉석섭취ㆍ편의식 수요 급증에 따른 안전성 재점검 필요 / 식품관련 사고, 사후조치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 식품 중 방사능 물질 오염 실태와 관리 현황 / 학교급식 사고, 제도를 바꿔야 막을 수 있다 / 밀가루로도 식중독이 일어날 수 있네 / 계란 농약 사태를 안전관리 개선 계기로 /건조, 분말식품의 안전성 확보 필요

제4장 전통식품은 한식문화의 뿌리
융합의 정수는 한식이다 / 전통메주, 새롭게 진화해야 한다 / 전통발효식품의 발전을 위한 제언 / 김치의 숨은 뜻을 정치인이 닮아야 / 지역 전통식품이 스러지고 있다 / 지중해식이 한식보다 좋다? / 김치, 차별화된 품질로 경쟁할 때다 / 김치의 얼은 우리 생활에 배어있다 / 엿기름과 식혜는 지난 옛 영광으로 끝나야 하는가? / 김치를 탐하다 / 우리의 전통음식, 곰탕과 설렁탕의 가치 / 육식 선호문화가 가져온 결과 / 한식은 생각하며 먹는 음식이다 / 한식과 반찬, 다시 생각해 볼 때 / 추석을 지나면서 식혜를 생각한다 / 채식 활성화로 우리건강과 지구환경을 지키자 / 김치는 우리 민족의 자존심, 더 연구가 필요하다 / 김치의 영양성분과 나트륨 함량에 대한 의견 / 추석을 맞아 우리 전통식품을 생각한다 / 외식산업, 홀로 설 수 있는가?

제5장 우리 식량자원, 문제없는가?
국산원료의 선호와 대처 방안 / 우리 주식이 쌀밥인가? / 먹거리 풍요 속에서 보리의 중요성을 다시 본다 / 상상하는 미래 우리 식품산업 / 보리밥 먹고 뀌는 방귀는 건강의 징표이다 / 쌀의 기원과 중요성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량안보와 대처 방안 / 쌀 과잉문제, 입법 전 준비 필요 / 흙과 멀어지는 농업과 식품산업

제6장 식량안보와 식품정책 제안
식량자원 확보는 식품산업과 국가의 운명이 달려 있다 / GMO에 대한 논의는 과학적 사실에 근거해야 / 식품 분야에서의 학계 간 융ㆍ복합은 필수인 시대 / 소비자 분포 변화에 대비하기 / 식품소재은행 육성 필요하다 / 식품산업 분야, 통합 빅데이터(Big data)가 필요하다 / 약용 식물의 식품화 확대 필요 / 외식산업의 위기와 한 고객의 의견 / 외식산업 발전은 신소재 발굴이 답이다 / 우리 식생활 변화와 식품산업의 대응 / 식품분야 생산정보 통합관리 필요 / 원물가공제품의 가치 재조명 / 새만금을 동양 식품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키자 / 2050년 우리 식생활 양상은 어떻게 변할까? / 단백질원을 대체할 때이다 / 당류의 법적 규제는 하수(下手)중 하수다 / 생산 인구감소에 따른 식품산업 대응 전략 / 저염, 설탕 사용제한 등에 대비한 대체물 개발, 보급 필요 / 코로나 사고대비 지역 의료원 증설 필요하다 / 통합식품안전정보망과 더불어 통합물류관리시스템 구축 절실 / 혼밥족과 1인 가구, 아침을 거르는 학생을 위한 배려 / 개정 양곡관리법, 미래를 보자 / 수입식량, 부가가치를 높이자

저자소개

신동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 신동화식품연구소 소장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1943년에 내장산 장군봉을 눈뜨면 볼 수 있는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1958년 정읍농림고등학교에서 농산업과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고 1961년 우리나라 최초 식품분야 교육기관인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에 입학, 1965년 졸업 후 이어서 동 대학 대학원에서 공학석사를 취득하였다. 군복무 후 농어촌개발공사(현 aT) 연구개발부에 입사하여 18년 2개월간 오직 한 길, 식품가공, 발효 및 위생 등 식품연구와 제품개발, 관련 산업지원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동 기간 중 Leed Uni(영국), Cornell Uni(미국)에서 수학하고 UNDP/FAO consultant로 일하였다. 이후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88년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로 전적하여 22년 4개월간 교육, 연구, 그리고 식품산업에 대한 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하였다. 연구 및 교육 활동으로 총 359편의 학술논문 발표, 24편의 전문서 간행, 13건의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약 1000여 명의 학사, 50여 명의 석·박사를 배출하였다. 이 기간에 학술상(한국식품과학회), 농업기술포장(대통령), 자랑스런 전북인대상(전북도)을 수상하였다. 식품산업진흥위원회 위원장(농식품부), 위생심의위원회 위원장(식약청)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학술 활동으로 한국식품과학회회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회장, 한국식품안전협회회장, 한국식품사업진흥포럼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장류기술연구회회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 전북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하며 신동화식품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