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8643076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8-08-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육체적 활동과 건강
1. 근육이 할 일이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
2. 근육은 어디서 어떻게 에너지를 얻을까?
3. 산소를 미리 빌려 쓸 수 있을까?
4. 강도 높은 운동을 방해하는 것
5. 힘과 지구력
6. 피로가 몸에 좋지 않은 이유
7. 운동 선수에게는 심리학자가 필요하다
8. 체형의 유지와 개선
9. 걷기와 달리기
10. 올바른 숨쉬기
11. 운동량 조절
12. 근육이 주는 기쁨
13. 게으름뱅이를 위한 운동
제2장: 산소와 오거니즘
1. 방 안의 산소량은 충분할까? 지구의 산소량은 전 인류가 호흡하는 데 충분할까?
2. 고산병
3. 산에 오르면 숨이 가빠지는 이유
4. 고원지대의 사람들이 일하며 살아가는 법
5. 급격한 산소결핍
6. 알피니스트를 돕고 비행사를 구하는 법
7. 산소 없이 얼마나 살 수 있을까?
8. 사람은 얼마나 오래 숨을 참을 수 있을까?
9. 산소가 해로울 수도 있을까?
10. 산소호흡기가 환자에게 도움이 될까?
11. <산소 칵테일>에 맛이 있을까?
12.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을까?
제3장: 더위도 추위도 두려워할 필요 없다.
1. 오거니즘의 열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사라질까?
2. 건강한 사람과 체온 변화
3. 온열중성대란?
4.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추위의 한계
5. 몸이 얼었을 때 움직이면 안 되는 이유
6. 추위에 익숙해질 수 있을까?
7. 영하 90도에서 사람이 살 수 있을까?
8. 추위에 몸을 단련하는 방법
9. 더위를 먹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10. 사막에서 살아남기
11. 땀을 내는 것이 몸에 좋을까?
12. 더울 때는 물을 얼마나 마셔야 할까?
제4장: 굶주림과 비만 사이
1. 무엇이 우리를 먹게 만드는가?
2. 어떻게 굶주림이 세상을 지배할까?
3. 음식을 먹지 않고 얼마나 견딜 수 있을까?
4. 단식이 오거니즘을 청소해준다?
5. 오거니즘을 청소할 필요가 있을까?
6. 폴 브래그의 실수
7. 살 빼기
8. 어떤 몸무게가 평균이고 어떤 몸무게가 비만일까?
9. 과체중이 생기는 이유
10. 과식만이 비만의 원인일까?
11. 과체중의 대가
12. 필요 없는 살 빼기
13. 사람은 하루에 몇 번을 먹어야 할까?
14. 건강한 사람에게도 다이어트가 필요할까?
제5장: 알 수 없는 세계 - 뇌
1. 천재, 그들은 누구인가?
2. 지적 능력 측정하기
3. 인간 복제는 위험한 것인가?
4. 천재족(族)을 만들 수 있을까?
5. 지능은 어디에 있고 생각은 어떻게 나는 걸까?
6. 천재의 뇌는 어떻게 다를까?
7. 건강한 신체에만 건강한 정신이 있을까?
8. 원숭이를 사고하는 사람으로 만들 수 있을까?
9. 인간의 기억에 한계가 있을까?
10. 기억은 어떤 식으로 작동할까?
11. <유전적 기억>이란 것이 존재할까?
12. 아픔을 참을 필요가 있을까?
13. 스트레스는 불필요한 것인가?
14. 남자와 여자 중 누가 더 머리가 좋을까?
제6장: 우리의 인생은 짧은가 아니면 긴가?
1. 장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2. <병에 대한 집착>이 위험한 이유
3. 건강한 정신을 어떻게 보존할 수 있을까?
4.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이 있는데 달리기를 해도 될까?
5. 경색(梗塞)이 오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6. 얼마나 자야 할까? 코를 고는 것은 위험할까?
7. 성생활이 해로운 것일까?
8. 나이 든 사람은 어떻게 다이어트를 해야 할까?
9. 와인이 생명을 연장시켜 줄까?
10. 영원한 삶이 있을까?
독자들에게 드리는 몇 가지 당부 또는 무병장수 오계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많이 움직이지 않는 생활 형태는 심장, 근육 등 우리 몸의 예비력의 양을 적게 만들고 뼈를 약하게 만든다. 그리고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약화시킨다. <근육이 더 이상 할 일이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 중에서
시간을 갖고 이루어지는 육체적 운동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은 전혀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을 유산소 호흡 부하aerobic loading 라고 한다(흔히 이야기하는 에어로빅은 여기서 시작된 것이다). 걷기와 중장거리 달리기, 자전거타기, 스키, 수영, 노 젓기 그리고 춤추기까지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근육에 지속적으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의 오거니즘에는 산소의 리저브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혈관에 산소가 완전하게 채워졌을 때 그것의 양은 일 리터 정도 된다. 하지만 운동을 할 때 필요한 산소량은 1분에 1리터이다. <산소를 미리 빌려 쓸 수 있을까?> 중에서
물리적 강도가 세면 셀수록 인간이 그것을 버틸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든다. 이러한 관계를 가지고 임계 파워를 계산할 수 있다. 임계 파워는 피로를 느끼지 않고 계속 운동을 하려고 할 때 근육이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강도를 나타낸다. 즉 그림처럼 임계파워 라인 아래에 있을 때 인간은 피로를 느끼지 않고 계속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운동의 강도 밖에서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운동을 할 수 있다. <피로가 몸에 좋지 않은 이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