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86478523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Ⅰ. 문장의 읽기관점과 주제 구성
1. 읽기관점_15
1) 제한.한정 전제어(구.문) 읽기관점_23
2) 조건.동기 전제어(구.문) 읽기관점_24
3) 원인.조건.가정.지정 종속절 읽기관점_25
4) 주체적(주어, 주어부) 읽기관점_27
2. 중심문의 위치_29
1) 주장예시.환언.상술의 문장_30
2) 전제(이유)주장의 문장_32
3) 점층적 전개의 문장_36
4) 변증적 문장(전제반론주장)_40
5) 문제원인해결의 문장_43
6) 연쇄적 문단의 전개_45
7) 병렬의 문장_48
8) 직서적 전제와 비유적 주장_50
9) 문장의 전개 유형_53
3. 중심문의 정리_57
4. 요지와 주제의 구성_61
1) 요지와 주제의 구성방법_61
2) 요지와 주제의 구성연습_66
5. 중심문의 재구성과 요지.주제_70
1) 주어부 읽기관점_72
2) 서술부 읽기관점_73
3) 지정 전제문 읽기관점_74
4) 병렬된 읽기관점_75
5) 제한.한정 전제문 읽기관점_76
6) 결과문 읽기관점_76
7) 부정문의 긍정적 전환_77
8) [관형어+명사]형의 읽기관점_78
9) 설의문의 평서문 전환_79
10) 수식어구의 삭제_80
11) 환언의 삭제_81
12) 어구나 문장의 간소화_81
Ⅱ. 생각 키우기와 글쓰기 연습
1. 글의 내용과 쓰기의 방법_85
2. 정보 수집과 자기 의견의 개발_88
3. 인간의 행위와 상대적 가치관_89
4. 생각 키우기 : 새로운 가치관의 생산방법_94
1) 알고 있는 정보 분석_95
2) 관습에 대한 반대.부정_95
3) 역지사지(易地思之)_96
4) 안팎의 뒤집기_97
5) 브레인스토밍_98
6) 직관_99
7) 수직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의 상호전환_100
8) 회색논리_100
9) 비유와 유추_101
10) 더하기.빼기.바꾸기_103
11) 중간과정의 복원_103
12) 확대와 축소_104
5. 글쓰기 연습_105
1) 자료의 수집_105
2) 개요의 작성과 자료의 정리_108
3) 글쓰기의 실제 _114
Ⅲ. 논술문 쓰기의 유형
1. 화제에 대한 의미부여_126
1) 화제제시와 의미부여→논거.예시.상세화→화제의 의미 재확인 및 요약_128
2) 화제제시→ 논거(주장의 전제)→ 주장_131
3) 화제제시→화제의 특수화1.화제의 특수화2.화제의 특수화3 ……→특수화한 화제들의 일반화_134
2. 문제의 발견과 해결_142
1) 문제적 상황(일반적문제)→일반적 문제의 특수화→문제의 해결 방안→희망사항 또는 기대_142
2) 문제적 상황의 경험적 진술→문제적 상황의 일반화→문제적 상황의
이해 →문제적 상황의 핵심과 필자의 태도_146
3. 서로 다른 의견에 대한 비판과 주장_151
1) 화제 제시→(화제에 대한)긍정적 견해→(화제에 대한)부정적 견해→의견의 종합_152
2) (화제와 관계된) 문제적 상황→화제의 문제성에 대한 논란→화제에 대한 부정적 사례들→해결방향 암시_158
Ⅳ. 논술문의 도입.전개.결말 쓰기
1. 도입 부분의 첫 문장.첫 단락의 유형_167
1) 화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_168
2) 화제와 관계된 사회적 관심거리_169
3) 규정이나 제도에 대한 비판_170
4) 사건적 상황_171
5) 남의 말.작품인용.일화.속담.경구_171
6) 통계 및 조사의 결과_175
7) 개념의 정의나 용어의 해설_176
8) 문제적 상황 또는 현상_177
9) 경험적 사실_180
10) 학설이나 사상적 담화_182
11) 물음과 답변_183
12) 사회의 경향_184
13) 현실적 가정이나 상상_187
14) 새 소식_189
15) 가치판단의 기준제시_190
16) 주장_191
2. 전개부분의 유형_192
1) 예시.상술_194
2) 원인_196
3) 논거_197
4) 지향하는 가치나 진실_198
5) 긍정과 부정_199
6) 비교.대조_201
7) 유래.기원_202
8) 기능.역할.목적.용도.형태.성질_203
9) 통계적 자료나 현황분석_205
10) 중요한 가치와 특징_206
11) 이야기.일화_207
12) 주장(주지문, 소주제문)_208
3. 결말의 유형_210
1) 화제에 대한 전개내용의 요약 또는 일반화_210
2) 화제.문제의 분석에 따른 주장_211
3) 논거에 따른 주장과 기대_211
4) 깨달음의 촉구_212
5) 인용으로 주장 암시_213
Ⅴ. 시의 읽기관점과 표현기술
1. 시의 읽기관점과 심상_218
2. 시의 정감.분위기.어조.느낌_224
3. 시의 운율_226
4. 시의 언어적 표현기술_227
1) 진술과 설명_228
2) 묘사와 서사_230
3) 비유와 상징의 위상적 해석_233
4) 역설과 아이러니_247
5) 직관_250
Ⅵ. 시 읽기의 실제적 방법
1. 직서적 읽기_271
2. 비유적 읽기_273
3. 상징적 읽기_277
4. 상황적 읽기_286
5. 직관적 읽기_288
Ⅶ. 시의 구성과 전개방법
1. 서사적 전개_300
2. 화제.제재의 심상화_316
3. 공간 이동과 화제.제재.상황의 전개_331
4. 시간 진행과 정황의 전개_346
5. 문제와 해결에 의한 전개_352
Ⅷ. 수필문 쓰기의 유형
0. 수필문의 구성에 대한 이해_367
1) 수필의 화제와 화자의 태도_367
2) 화자의 서술시점과 시간 구조_369
3) 수필의 구성과 전개방법_369
1. 서사적 상황의 정감과 의미화_373
2. 인물.화제.제재에 대한 감성적 성찰_380
3. 문제적 상황과 해결_391
4. 시간의 진행과 공간이동_395
5. 화제.제재에 대한 지성적 사색_401
6. 화제.제재에 대한 관조적 성찰_405
7. 사물.관념에 대한 직관적 소통_409
찾아보기_417
참고문헌_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