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8649434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7-10-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속청 독서법은 오만 가지 잡생각을 극복하게 한다
Part 1. 내 인생은 속청 전과 속청 후로 나뉜다
01. 속청을 만나고 진로를 바꾸다
02. 공대생이 3달 만에 토익 815점을 돌파하다
03. 월급의 30%를 책에 투자한 신입사원 시절
04. 전자책이 공간의 혁명을 만들다
05. 속청 독서법을 찾아 나선 분투기
06. 속청 독서법으로 정체된 상황을 극복하다
07. 3년간 천 권의 책을 독파하다
Part 2. 뇌과학으로 이해하는 속청의 우수성
08. 정보를 이해하는 두뇌의 원리
09. 낭독의 단점을 해결해준다
10. 두뇌의 총사령관 전두엽을 단련한다
11. 독서 몰입력을 길러준다
12. 반복 학습을 위한 최고의 무기이다
13. 시냅스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강화한다
14. 성취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Part 3. 일상에서 속청 능력을 단련하는 방법
15. 유튜브로 관심 분야를 학습하라
16. 신문으로 시사 상식을 넓혀라
17. 동영상 강의로 전문성을 확보하라
18. 다큐멘터리로 지적 경험을 확장하라
19. 미드 반복 속청으로 영어의 장벽을 허물어라
20. 명품 강연으로 자기계발을 실천하라
21. 최고 속도의 동영상으로 두뇌에 시동을 걸어라
22. 전자책 속청으로 몰입 독서를 실천하라
Part 4. 나만의 속청 도서를 만드는 방법
23. 종이책만 있어도 걱정하지 말자
24. 북스캐너로 종이책을 디지털화하자
25. OCR 프로그램으로 텍스트를 추출하자
26.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본격적으로 속청 독서하기
Part 5. 속청 독서법에 날개 달기
27.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라
28. 의식을 두뇌 후두부에 머물게 하라
29. 낭독으로 두뇌를 예열하라
30. 원노트 어플로 독서 노트를 만들어라
31. 마인드맵으로 지식을 확장하라
32. 키워드 검색으로 지식을 연계하라
33. 명문장 필사와 반복 청취로 내면을 일깨우라
Part 6. 인생 혁명은 독서로부터 시작된다
34. 인문고전으로 대의를 품어라
35. 자기계발서로 요령을 터득하라
36. 희망 도서 목록을 작성하라
37. 독서 고수로부터 끊임없이 자극받아라
38.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라
39. 독서로 일의 미래를 대비하라
40. 책 쓰기를 목표로 하라
에필로그_속청 독서법으로 독서 습관 만들기
Q&A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몰입은커녕 잡생각에 빠지는가? 묵독의 속도보다 생각의 속도가 빠르면 두뇌는 이내 흥미를 잃고 딴청을 부리기 마련이다. 두뇌를 책 속에 묶어놓기 위해서라도 묵독의 속도를 높여야 하지만, 무작정 올리기에는 신체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속청 독서법은 다른 데 정신이 팔릴 겨를도 없이 독서에 몰입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하여 속청 독서의 환경을 갖추어보자. 이제 남은 일은 편하고 자극적인 것만 추구하는 우리의 무의식을 경계하며 오로지 독서에 몰입하도록 의지를 다지는 일뿐이다.
자신의 능력치를 넘어서는 속도로 청취하고 나서, 익숙한 속도로 돌아오면 평소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느껴진다. 이런 식으로 빠르게 두뇌에 시동을 걸었다가 원래로 돌아오는 과정을 반복해보자. 적응력이 굉장히 뛰어난 우리의 두뇌는 빠른 속도에 단기간에 적응하게 될 것이다. 이런 훈련은 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속도가 빠를 때는 듣는 것만으로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영상 자료는 청각과 시각을 동시에 활용하므로 단순 청취보다 정보를 이해하는 채널이 넓어지면서 대략적인 유추가 가능해진다.
낭독의 장점은 살리면서, 수고로움은 줄일 방법은 없을까? 속청을 시작하기 전, 두뇌를 예열하는 역할로 낭독을 해보자. 본인의 음성이 신체 진동을 통해 뇌에 직접 전달되므로 낭독은 어떠한 파동보다 강력하게 두뇌의 주의력을 일깨울 수 있다. 또한, 책의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 책을 읽을 때 보통 목차, 프롤로그, 에필로그를 보면서 주요 내용을 훑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낭독을 단 5분만 활용해보자. 이렇게 충분히 두뇌를 예열한 후로는 입이 만들어내는 진동과 거의 유사한 속청으로 낭독의 역할을 대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