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86667194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6-04-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초판본 서문 / 6
제1부 이상 수필과 발굴원고
이상 수필의 문학성에 대한 고찰 / 17
1. 서론 …… 17
2. 수필 정착기와 이상 수필의 문학사적 위치 …… 19
3. 일상의 내면화를 통한 문학성의 확보 …… 24
4. 결론 …… 33
이상 수필의 이중성 연구 ―「早春點描」와 「秋燈雜筆」을 중심으로 / 35
1. 수필의 독자적 위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 35
2. “눈에 띄지 않는 矛盾”을 드러내는 분석의 시선 …… 39
3. 1930년대 경성의 이중적 면모와 체험자의 이중성 …… 47
4. 맺음말 …… 56
‘成川’ 재현의 상이성 연구 ―「山村餘情」과 「倦怠」를 중심으로 / 58
1. 동일 시ㆍ공간에 투사된 내면의 상이함 …… 58
2. 풍요로운 성천과의 동일시 …… 60
3. 과거 공간인 성천과 현재 공간인 東京의 중첩 …… 67
4. 맺음말 …… 80
이상 수필과 조연현 발굴원고 비교 연구 / 81
1. 조연현 발굴원고에 대한 예비적 고찰 …… 81
2. 「倦怠」와 「이 兒孩들에게 장난감을 주라」의 비교 …… 86
3. 「山村餘情」과 「어리석은 夕飯」과 「첫번째 방랑」의 비교 …… 93
4. 「恐怖의 記錄」과 「恐怖의 記錄(서장)」의 비교 …… 98
5. 결론 …… 107
이상 시와 조연현 발굴원고 비교 연구 / 110
1. 추상적 제언의 구체화 …… 110
2. 베드로 모티프 및 사물화의 표현 방식 …… 113
3. 각혈 이미지의 형상화 방식 …… 121
4. 시간 상징 및 육체 인식 …… 127
5. 맺음말 …… 135
조연현 발굴원고의 의식과 형식 연구 / 139
1. 발굴원고의 의식과 형식 검토의 의미 …… 139
2. ‘左右兼備’의 의식과 재생의식 …… 144
3. 시적 요소와 결합된 산문의 내밀한 정서 표출 …… 157
4. 결론 …… 176
제2부 이상 소설과 산문 텍스트
자기 복원의 기록 / 181
1. 의식의 표층과 심층 …… 181
2. 유희와 현실의 경계 …… 183
3. 자기 直視의 의식 …… 186
4. 해독 불가능한 텍스트 …… 192
5. 맺음말 …… 198
이상 소설에 나타난 ‘슬픔’과 ‘진실성’ / 200
1. 현실에 대한 내면적 접근 …… 200
2. 의식행위의 정지 …… 201
3. 믿음의 상실과 생의 충동으로서의 눈물 …… 207
4. 맺음말 …… 214
이상 산문 텍스트 확정을 위한 한 고찰 / 216
1. 원전과 기간된 이상전집류 비교 연구의 필요성 …… 216
2. 소설 「十二月十二日」과 이어령 판ㆍ김윤식 판의 비교 …… 218
3. 소설 텍스트 원전과 임종국 판ㆍ이어령 판ㆍ김윤식 판의 비교 …… 229
4. 이상 수필 텍스트 원전과 임종국 판ㆍ이어령 판ㆍ김윤식 판의 비교 …… 239
5. 이상의 미확정 작품들에 대하여 …… 246
제3부 부록
전후 세대의 이상론 고찰 / 251
1. 전후 세대의 이상 문학 …… 251
2. 절망의식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내재적 해석 …… 254
3. 新人의 정체성 확보와 시대적 위상 …… 261
4. 텍스트로서의 이상문학 …… 265
5. 맺음말 …… 271
▣ 이상 수필 목록과 출전 / 273
▣ 조연현 발굴원고 목록과 출전 / 275
▣ 찾아보기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