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이층 : 청파동 주택 리모델링 기록

나이층 : 청파동 주택 리모델링 기록

정이삭, 지연순, 조재량, 노경 (지은이)
공간서가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240원
21,3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이층 : 청파동 주택 리모델링 기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이층 : 청파동 주택 리모델링 기록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7071389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5-02-24

책 소개

청파동 주택은 1930년 일본인에 의해 용산구 청파동에 지어진 지상 2층, 지하 1층의 목조주택이다. 2017년 리모델링 의뢰를 받고 청파동 주택을 방문한 정이삭은 이 주택의 문화재적, 주택문화사적 가치를 알아보고 이에 공감하는 협업자들을 불러 모았다.

목차

청파동 주택에 들어서다
이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정이삭

건축을 기록하다
미완의 통로, 소멸과 지속의 균형 - 정이삭

구축을 기록하다
열 세 달의 기록을 시작하며 - 지연순
청파동 주택에 사용된 목재, 그리고 건축주 - 조재량

삶을 기록하다
함께 나이 드는 집 - 지연순×신은주

포럼과 전시로 남기다
일본과 서구 건축을 절충한 한반도 집: ‘청파동 주택, 1930~2024’ 포럼 - 박지윤

저자소개

지연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공간디자이너, 전시기획자, 변역가이며 공간모색연구소 대표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건축 잡지 「플러스」와 「월간 디자인」에서 기자와 편집자로 일했다. 전통 건축에 기반을 둔 미학의 순수성을 현대에 적용하는 디자인 해법을 추구한다. 주요 공간 작업으로는 제주도 차농부집, 광주 갤러리 혜윰, 광주 DM홀 등이 있으며, 서울 청파동 주택(현 킷테)의 공사 관리 및 설계 협조를 했다. 건축과 예술의 연결과 다양한 확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 <가정방문 전시프로젝트, 송씨할아버지댁>(2016), <셋방살이 내집마련>(2023), <나이층>(2023)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번역서로는 『근대건축론집』(공역, 1986), 『세계도시사』(공역, 1998), 『색채-명화이야기 시리즈』(2002), 편저로는 『미술공예운동과 건축』(1995), 『구성주의 건축』(1995) 등이 있다. @longlife_design_lab
펼치기
정이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대학교 교수며, 에이코랩건축사사무소 대표 건축가다. 주요 건축 작업으로 철원 선전마을 예술가 창작소, DMZ 평화공원 마스터플랜, 연평도 도서관, 서울시 전통시장 공간개선 연구, 연남동 적벽돌 집, 노란 평상, 씨타델 카&페, 청파동 아흔살 집(킷테), 있기에 앞서, N작가 주택 등이 있다. 다양한 건축 작업과 연구를 하며, 건축 및 현대 미술 전시에 기획자나 작가로 참여했다.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한국관 큐레이터 및 작가), ‘2016 베이징디자인위크’(한국관 큐레이터), ‘캠프2020’(총감독), ‘서울은미술관’(작가), ‘한강예술공원’(작가), ‘MMCA 예술버스쉼터’(작가)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의 작업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아르코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수원시립미술관, 두산아트센터 등에 전시되었다. 저서로는 『예술이 말하는 도시미시사』, 『하이퍼폴리스』, 『동시대 예술과 변이하는 계획들』, 『할 수 있을 때까지, 원인동』 등이 있다. @a.co.lab @isakchung
펼치기
조재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이수자이며, 현재 송련재 대표다. 1996년 경복궁 동궁 복원공사를 시작으로 경회루, 근정전 중수, 광화문 복원 등 20년 남짓한 시간을 경복궁과 창덕궁, 창경궁 복원 및 보수공사 현장에서 보냈다. 2002년부터는 부편수로 일했고, 2016년 시작된 경복궁 흥복전 권역 복원공사에서 도편수를 맡았다. 2011년, 구룡포에 있는 근대문화역사관을 시작으로 옛 서울시장 공관(2015),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2021) 등을 수리하면서 근대건축물의 구조적인 합리성과 목조 구법의 변화, 재료와 디자인의 시대성에 주목해 왔다. 전통 목구조 외에 조적조, 철골조와 목조의 결합 등 서로 다른 재료와 구조를 조합하는 프로젝트에 관심이 많다. @jaeryang.jo
펼치기
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으로 사진을 전공했다. 도시 속 변화하고 멈춰 있는 것들과 동시대 건축가들의 작업을 기록한다. 로스페이스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SPACE(공간)」의 전속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rohspace
펼치기

책속에서

청파동 주택에 들어서다
이 집은 무엇인가. 이 집은 일본의 것인가, 한국의 것인가, 일본도 한국도 아닌 서구 문명의 편린인가. 서구화가 곧 근대화라고 여긴 동아시아 3국의 근대화 사상을 동시대 건축가는 어ᄄᅠᇂ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한반도 건축의 근대성은 무엇인가. 아무것도 온전히 대답할 수 없다. 그래서 다시 질문해본다. 이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이 집은 우리에게 그 끝없는 공상적 탐험의 질문들을 하나의 실천적 과제로 전환해준 선물이자 장소다. - 정이삭,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건축을 기록하다
청파동 주택을 ‘한반도 화양절충식 주택’이라고 정의했다. 주택의 준공 당시 원형은 1930년대 일본에서 유행한 화양절충의 건축양식이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반도의 풍토에 순화되어 지어진 건축물이다. 한반도 주택임을 강조하며 정의한 태도는 건축이 행위자 중심이 아닌 지어진 장소를 중심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특정 지역성이 국가의 경계로만 형성된다고 보기는 어렵기에 ‘한국’이 아닌 ‘한반도’라는 용어를 선택했다. 따라서 이 주택은 일본인이 한반도 지역에서 전통 일식 건축에 서구의 주택 문화를 더해 한반도 지역의 풍토를 반영해 설계 및 시공한 주택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다. 전통 일식 목조 가옥에 서구 주택 양식을 일부 반영한 문화주택의 일종이면서,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듯 여러 시기 주거문화의 혼종성이 두드러지는 주택이다. - 정이삭, ‘미완의 동로, 소멸과 지속의 균형’


구축을 기록하다
예전부터 주민들은 이 집을 노란 집이라고 불렀다고 했다. 보수 당시 철거한 외벽 주변이나 목구조재를 바로잡은 이후 외벽 크랙이 발견됐다. 벽체가 누락된 부분을 통해 외벽의 재료 구성이 목재와 자연 미장인 점을 알게 됐다. 같은 재료로 재현해 시공할 수 없는 여건으로 인해 와이어메시를 기존 목재에 고정시키고 자연 미장으로 메꾼 후, 기존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을 결정하고, 남측 외벽 일부에 색상 점검을 위해 도색을 했다. 예상과 달리 기존 벽과 다른 색상으로 표현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다시 2회 테스트한 후 시공할 범위와 색상을 결정했다. 외벽 전체를 새로운 색상으로 바꾸는 것도 검토했으나, 비용 부담과 기존 건물의 독특한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도 좋겠다는 의견으로 결론 짓고, 기존의 노란색을 적용했다. - 지연순, ‘열 세 달의 기록을 시작하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