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8720109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4-25
책 소개
목차
1 책 쓰기와 대학입시
• 청소년 책 쓰기 프로젝트
고등학교 시절 책 쓰기 경험
문학동아리 활동
청소년의 책 쓰기
• 대입 주요전형에서 책 쓰기 영향력
내신·서술형 문제가 대세를 이룬다
생활기록부의 독서활동
논술 전형이 줄어도 논술은 중요하다
수학능력시험
자기소개서
생활기록부의 동아리 활동
시험의 중요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진다
학생부 종합전형의 의미
2 청소년 책 쓰기 프로젝트
• 학생이 책을 쓸 수 있을까?
학생은 책을 쓰기 어렵다?
학생이 책을 쓰는 데 방해요인이 너무 많아요
어휘력이 부족해요
유년기만 지나도 책 쓸 거리가 있다
책 쓰기는 마라톤, 글쓰기는 조깅이다
글쓰기 원칙을 세워라
청소년이 쓴 책
반성문에서 시작한 책 쓰기
관심은 한정되어 있다
책을 쓰는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
책 쓰기는 꿈을 자극한다
쓰고 싶은 책을 쓰는 게 아니라 쓸 수 있는 책을 쓴다
늦은 때는 없다
책을 쓰면 전문가가 된다
• 책 쓰기가 공부에 도움이 될까?
책 쓰기와 자기주도 학습
구공 법칙
책 쓰기와 퍼스널 브랜딩
미래사회를 표현하는 세 단어
책 쓰기는 적성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내 스토리가 책이 되면 자존감이 올라간다
독서토론과 책 쓰기 토론
• 왜 책을 써야하지?
탈스펙은 ‘차별화 스펙’의 다른 말이다
책을 백 권 읽기보다 한 권 쓰는 게 낫다
유명 강사가 되고 싶다면 꼭 책을 써야 한다
책 쓰기는 행복한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
책을 쓴 사람은 그에 어울리게 행동한다
미래를 살아가려면 어떤 능력을 갖추어야 할까?
학교는 학생을 제대로 평가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나?
책 쓰는 인공지능(AI)도 나오지 않을까?
알파고가 남긴 메시지
베스트셀러는 인기 드라마다
인세는 학생에게 살아있는 경제공부다
BOOK3하라
여러 개의 직업을 갖는 세상
• 학생이 책을 쓸 수 있는 소재
경험을 책으로 쓴다
책을 쓸 수 있는 학생의 조건
3 지혜롭고 현명한 학생들의 책 쓰기
• 쓰기 위한 독서와 읽기 위한 독서
책은 단지 한 사람의 생각일 뿐이다
글을 쓰기 위해 읽는 것과 읽기 위해 읽는 것은 다르다
내 책의 롤 모델을 찾아라
읽은 책의 핵심은 필사한다
• 책을 쓰기 위한 자료수집
모든 일에 의문을 품어라
메모는 글쓰기의 시작이다
통계자료를 절대적으로 믿지 말자
자료를 보관하는 방법
최신 자료를 근거로 제시한다
글을 인용할 때 출처만 밝히면 문제없을까?
• 책의 구상과 콘셉트
저자의 시각으로 해석하기
모방하라
글쓰기 스킬보다 콘텐츠가 먼저다
독자들은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에 집중한다
차례 만들기
콘셉트를 잡아라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라
• 집필
하나의 단원에 하나의 메시지를 담는다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로 쓴다
워드 프로그램을 잘 다루는 것도 글쓰기 능력이다
일기는 매일 쓰기보다 해프닝 쓰기를 하자
마감기한을 정한다
꼭지 원고는 언제든 OK! 무작정 글쓰기는 NO!
‘내로남불’ 하지 말라
글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공동저술로 책을 쓴다
• 퇴고
주제와 관련 없는 글, 중복되는 글은 삭제한다
맞춤법 교정
예비 독자에게 읽혀라
• 출판사에 제안하기
기획출판과 자비출판
출판기획서에 반드시 써야 하는 내용
저자에게 도서관과 서점은 특별한 공간이다
출판사에서 원고를 보는 관점
• 홍보하기 226
홍보는 반드시 필요한가?
독자와 소통하면 작가의 힘은 커진다
내 책에 추천사를 써줄 사람은 누구일까?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학능력시험 화법과 작문 영역에서는 독자의 반응을 고려한 글쓰기와 글의 구조를 조정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책 쓰기에 도전하는 학생이라면 글을 쓰는 동안 작문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일기 쓰기는 독자의 반응보다 자아성찰에 목적을 둔다. 하지만 책 쓰기를 통해 출간을 계획 중인 학생이라면 예상 독자를 생각해서 어휘를 선정하고 어법과 글의 구조 등을 고려해야 한다.
• 수학능력시험
책 쓰기와 자기소개서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책을 쓸 때,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독자가 공감할 수 있도록 쓰기 위해 노력한다. 대학 입시에 대비해서 자기소개서를 쓸 때도 마찬가지다. 글을 읽는 대상이 다를 뿐이다. 출간을 위해서 글을 쓸 때는 독자를 생각한다. 대입 자기소개서의 독자는 입학사정관이다. 책 쓰기와 자기소개서는 독자를 염두에 둔 글쓰기다.
• 자기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