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심장병
· ISBN : 9791187313106
· 쪽수 : 225쪽
· 출판일 : 2017-06-2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5
들어가며 9
제1부 심장질환이란 무엇인가 17
제1장 심장을 이해하자 21
심장과 순환계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들 ● 순환계 ● 고대인들은 심장과 순환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 해부학의 대두 ● 순환계 요약 ● 심장이 뛸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심장의 전도계 ● 혈액
제2장 심혈관질환의 유형 43
용어부터 정확히 해두자 ● 심혈관질환 ● 심장질환 ● 관상동맥질환 ● 선천성 심장질환 ● 판막성 심장질환 ● 심근병증 ● 부정맥 ● 뇌졸중 ● 말초동맥질환 ● 대동맥질환
제3장 동맥경화 55
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 동맥경화는 어떻게 생길까 ● 혈전 형성 ● 죽상동맥경화증의 영향 ● 동맥이 막히면 두 가지 문제가 생긴다 ● 해부학적 결과
제4장 고혈압 66
고혈압이란 무엇인가? ● 고혈압의 위험 ● 혈압이란 무엇인가? ● 혈압의 발견 ● 고혈압의 원인 ● 우리 몸은 혈압을 어떻게 조절하나
제5장 관상동맥질환의 증상 86
다양한 발현 양상 ● 흉통 - 가장 흔한 증상 ● 협심증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제6장 심부전 96
심부전의 원인 ● 심부전의 다양한 유형
제7장 선천성 심장질환 107
선천성 심장질환의 원인 ● 유전 ● 임신 중 감염 ● 당뇨병 ● 알코올 ● 약물 ● 선천성 심장질환의 증상들 ● 비청색증성 질환 ● 청색증성 질환
제8장 판막성 심장질환 118
4가지 심장 판막 ● 판막성 심장질환의 원인들 ● 판막성 심장질환의 증상 ● 승모판 질환 ● 대동맥판 질환 ● 심내막염 - 판막성 심장질환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 ● 평가 ● 판막성 심장질환의 치료 ● 심장수술
제9장 기타 심장질환 127
심근병증 ● 심근병증의 유형 ● 심근염 ● 심막염
제2부 심장질환에 대처하기 133
스스로 심장을 돌볼 수 있다
제10장 내게 심장발작이 일어날 위험은 얼마나 될까? 136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 개선할 수 없는 위험인자 ● 개선할 수 있는 위험인자 ● 심혈관 위험평가
제11장 흉통 - 정말 협심증일까? 154
주의해야 할 증상들 ● 협심증 개요 ● 심전도 ● 흉통이 모두 협심증은 아니다 - 흉통의 감별진단 ● 확진을 위한 다양한 검사들 ● 협심증의 치료
제12장 심장발작 176
응급치료 ● 병원에 도착한 후 ● 퇴원 시 처방받는 약물들
제13장 심부전의 치료 193
다양한 증상들 ● 의사들이 주목하는 징후 ● 문제의 원인 찾기 ● 심부전의 치료 ● 심박동조율기 ● 수술적 치료 ● 심장이식
제14장 부정맥 - 불규칙한 심박동 212
부정맥의 증상 ● 부정맥의 원인 ● 진단 ● 부정맥의 유형 ● 항부정맥 약물 ● 부정맥에 사용하는 의료기기
제15장 심장발작을 앓고 난 후 233
심장재활 ● 직장 문제 ● 운전 ● 성생활 ● 정서적 회복
제16장 고혈압 240
고혈압의 진단 ● 특별히 고려할 사항들 ● 검사 ● 고혈압의 관리
제17장 생활주기 249
생활주기 개요 ● 생활주기를 이용하여 삶을 돌아보기 ● 감정 영역 ● 사고 영역 ● 행동 영역 ● 생활습관 영역 ● 신체 영역 ● 전체 요약
제18장 건강한 식단과 운동 268
식단 ● 지중해식 식단 ● 지방과 오일에 관하여 ● 정크푸드를 멀리하라 ● 비만 ● 소금 섭취 ● 항산화 성분 ● 과일과 야채를 하루 5번 - 무지개 식단 ● 운동 ● 그런데 무슨 운동을 하지?
마지막으로 - 심장에 문제가 있더라도 낙담하지 말 것! 283
부록 - 심폐소생술(CPR) 284
용어집 286
책속에서
심근의 근력은 중형차를 들어올릴 정도이며, 혈액을 약 10미터 높이로 분출할 수 있다. 심근은 일생 동안 약 1억 5천 만 리터의 혈액을 박출한다……순환계는 심장과 혈관으로 구성된다. 심장은 순환계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다. 가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왼쪽 폐는 오른쪽 폐보다 약간 작다.
심장은 사실 두 개의 펌프가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왼쪽 펌프는 폐로부터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받아 뇌, 간, 콩팥 등 전신의 장기와 조직에 전달한다. 이러한 혈액의 흐름을 체순환이라고 한다. 한편 오른쪽 심장은 온몸의 조직에 산소를 전달한 후 산소가 부족해진 혈액을 받아 폐로 내보낸다. 이러한 혈액의 흐름을 폐순환이라고 한다.
심장에도 혈액 공급이 필요하다고 하면 놀라는 사람이 많다. 심장은 잠시도 쉬지 않고 일하므로 혈액을 통해 계속 산소와 양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막혀 산소 공급이 차단되면 가슴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것이 바로 협심증이다. 상황이 더 나빠져 심장의 일부가 전혀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5-10분 정도만 공급받지 못해도 그 부위의 심근이 죽어버린다. 이것이 바로 심근경색이다.
심혈관계에 생기는 많은 질병의 근본 원인은 동맥경화다. 동맥경화란 말 그대로 동맥이 딱딱해지는 것이다. 동맥벽이 오랫동안 지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딱딱해지면서 유연성을 잃고 뻣뻣해진다. 따라서 동맥경화는 노화 과정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동맥질환을 일으키는 동맥경화를 특별히 죽상동맥경화증이라고 한다. '죽상'이란 죽 모양이라는 뜻이다. 동맥벽 속에 죽처럼 생긴 물질이 쌓여 딱딱해진다는 뜻인데 실제로 이와 다르지 않다. 혈관 내벽에 군데군데 끈적한 죽을 흘린 것처럼 생긴 플라크들이 오돌토돌하게 솟아올라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