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91187314455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9-01-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9
《1부》
이기는 대화
1. 이기는 대화란 무엇인가
이기는 대화의 정의 • 15
이기는 대화가 갖는 힘 • 21
먼저 대화의 핵심인 말에 대해 알아야 한다 • 22
말은 내 영혼의 에너지다 • 29
대화의 본질은 • 31
2. 지피지기 대화불태(知彼知己 對話不殆)
지피지기 대화불태(知彼知己 對話不殆) • 37
이기는 대화를 하려면 먼저 나를 알아야 한다 • 39
이기는 대화를 하려면 다음으로 상대를 알아야 한다 • 47
상대를 아는 최고의 방법은 경청이다 • 50
3. 이기는 대화의 시작 - 내 말격 높이기
말에도 격이 있다 - 말격 • 55
말의 질을 떨어뜨리는 단어, 말들 • 59
말의 격을 떨어뜨리지 않는 방법 • 64
말의 품격을 올리는 방법 • 67
4. 이기는 대화 기술
이기는 대화를 위한 의식 훈련 • 73
주장 대신 의논하는 대화 • 77
비판 대신 분별하는 대화 • 79
명령 대신 부탁하는 대화 • 80
참음 대신 이해하는 대화 • 84
자존심 대신 자긍심으로 하는 대화 • 89
5. 이기는 대화의 최고봉
차딱불 따부소 원칙 • 95
감동, 감탄 대화 - 따뜻함 • 97
힐링 대화 - 부드러움 • 101
공감, 동감 대화 - 소통 • 105
내 속에 내가 너무 많아 공감이 힘든 경우 • 111
《2부》
지지 않는 대화
6. 지는 대화의 종류
지지 않는 대화와 지는 대화의 종류 • 121
내성적 대화 • 124
끊어지는 대화 • 130
자신감 없는 대화 • 132
리듬을 깨는 대화 • 134
분위기 파악 못 하는 대화 • 136
발음이 부정확한 대화, 목소리 문제 • 138
뒷담화, 남 탓 대화 • 142
영혼 없는 대화 • 146
7. 지지 않는 대화의 비결
지지 않는 대화의 비결 • 149
불평불만을 쏟아놓을 때의 대처법 • 150
상대의 공격적 비판을 지혜롭게 받아치는 법 • 155
싫은 말을 들어서 마음이 상할 때의 대처법 • 157
상대에게 지혜롭게 충고하는 방법 • 159
부부싸움 후 화해 대화하는 법 • 162
대화 중 오해가 생겼을 때 대처법 • 164
대화 중 스트레스를 받을 때 대처법 • 166
8. 스토리텔링 대화
스토리텔링이란 • 171
대화를 잘하는 사람은 스토리텔링 달인이다 • 175
재미있는 스토리텔링 대화 • 179
감동적인 스토리텔링 대화 • 184
의미 있는 스토리텔링 대화 • 189
9. 유쾌한 대화, 맛깔 나는 대화
유쾌한 대화를 이끄는 방법 • 197
맛깔 나는 대화가 있다 • 200
대화에 맛을 입힐 때 써먹을 수 있는 사투리들 • 204
《3부》
진짜 이기는 대화를 하려면
10.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이긴 게 이긴 게 아니다 • 213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 216
내 중심의 시각이 왜곡을 만들어낸다 • 220
11. 진짜 이기는 대화를 하려면
나를 죽이는 대화를 해야 한다 • 225
상대를 살리는 대화를 해야 한다 • 228
실력이 없이 이기는 대화는 없다 • 234
내 실력이 높은 상태에서 져주는 대화가 이기는 대화다 • 235
실력을 갖춘 자가 져주는 모습은 아름답다 • 236
12. 내 대화 실력을 키우는 방법
내 실력을 키우려면 상대 에너지를 흡수해야 한다 • 239
상대 에너지를 흡수하려면 이기심을 없애야 한다 • 244
최고의 실력은 상대를 알아주고 인정해주고 존중해주는 것이다 • 247
저자소개
책속에서
불화미고잘은 각 단어의 첫 자를 조합한 말로 불평불만, 화내는 것, 미워하는 것, 고집부리는 것, 잘난 체하는 것 등이다. 이것을 발견했을 때 나는 나 자신이 얼마나 모순투성이인지 비로소 알 수 있었다.
물론 발견만으로 이 모순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 문제들을 수정하기 위한 교정의 노력을 지속해야만 한다. 하지만 발견한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비로소 나의 모순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알았다는 것은 이제 수정할 수 있음을 뜻하므로 드디어 희망이 보임을 뜻한다.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 나를 아는 것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 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이 질문은 근원을 파고드는 문제로 중요하다.
컵이 하나 있다고 할 때 컵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 만약 컵에 연필이 담겨 있다면 컵은 자신이 연필꽂이인 줄 착각할 수 있으니 말이다. 컵은 물을 담기 위해 존재한다. 이것을 깨달을 때 컵은 비로소 자기 자신을 제대로 알았다 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나의 존재이유를 발견해야 한다. 잘못하면 위의 컵처럼 엉뚱한 자기로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나는 나의 존재이유를 발견하기 위해 오랫동안 공부해왔다. 내가 깨달은 바를 소개하면 그것은 진리공부 외에 다른 곳에서는 답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진리공부란 단지 세상에 존재하는 학문의 영역을 넘어 자연의 이치, 인생의 근본원리 등을 다루는 지식이다. 이론적 학문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바탕으로 한 경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보이기도 하다. 좀 더 쉽게 진리공부를 이야기하자면 진리공부란 다음과 같은 연필 한 자루를 보는 것과 같다.
즉 누구는 연필심을 보고, 누구는 연필 몸통을, 누구는 연필 지우개를 보겠지만 진리공부란 이 모든 것을 다 보고 심지어 보이지 않는 연필 반대편 부분까지 살피어 연필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공부라 생각하면 쉽다. 이렇게 세상에 나와 있는 것을 두루 접하다 보면 드디어 세상이 보이고 그때 나도 보인다. 그리고 내가 왜 살아야 하는지도 보이기 시작한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