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87488989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제1부 예술가곡의 발현과 한국 전래
1. 인트로 015
2. 예술가곡이란 무엇인가? 018
2.1 슈베르트 이전 독일의 가곡 018
2.2 독일 예술가곡의 효시 슈베르트의 ‘실 잣는 그레첸’ 026
2.3 독일 예술가곡의 형식완성 괴테의 담시 마왕과 슈베르트 049
3. 독일 예술가곡의 한국 전래와 한국예술가곡의 발현 065
3.1 창가의 시대 065
3.2 홍난파의 봉선화 069
3.3 문화융합 결과물로서 예술가곡의 필요충분조건 074
3.4 한국예술가곡 효시 작품에 대한 논란과 한국예술가곡
효시 작품의 비정 077
3.5 초기 한국예술가곡의 작곡자들이 시인 정지용의 시에 주목한 이유 083
4. 박목월 서정시의 모태공간으로서 동요의 세계 092
4.1 <문장>지 데뷔 이전 박목월의 동요 092
4.2 <어린이>지 윤석중을 매개로 한 박목월과 정지용의 조우 102
4.3 정지용 동시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 108
4.4 <문장>지 데뷔 이전 박목월의 습작시대 116
4.5 문학잡지 <문장>의 문학사적 위상과 등단제 122
4.6 문학잡지 <문장>의 신인 추천제도를 통한 박목월의
등단작품과 정지용의 선후평 128
4.7 소월의 민요시와 목월의 서정시의 변별 131
제2부 박목월 서정시의 예술가곡화
1. 인트로 145
1.1 일제하 암흑기, 해방공간의 혼란 6ㆍ25 한국동란 145
1.2 박목월서정시의 예술가곡화 연구를 위한 전제 156
2. 예술가곡의 가사로서 박목월 서정시의 최적성 168
2.1 분석대상 작품의 범위 168
2.2 한국예술가곡의 창작에서 <김소월>과 <박목월>의 시가
주목 받는 이유 169
3. 예술가곡의 가사로서 박목월 시의 최적성에 대한
언어학적 증명 186
4. 예술가곡의 가사로서 박목월 시의 최적성에 대한
성악적 관점 198
5. 박목월서정시 예술가곡화의 총아로서 <나그네>의 분석 203
5.1 작곡가별 <나그네> 도입부 분석 204
5.2 박목월 <나그네>의 창작 배경과 언어 기호론적 분석 219
6. 아트콜라보레이션과 문화융합의 원리 <김연준과 박목월의
예술적 교감과 협업> 223
6.1 김연준 가곡의 특성 226
6.2 서정성을 기반으로 한 예술적 교감 예술가곡 233
6.3 문화융합 측면에서 본 박목월의 시와 김연준 가곡의 융합 원리 244
7. 맺음말 250
부 록 257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