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마이크로프로세서
· ISBN : 9791187497134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7-12-19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사물인터넷과 개발 툴킷
1.1. 사물인터넷의 개념
1.2. 사물인터넷 개발 툴킷
1.3. NodeMCU와 ESP8266
CHAPTER 02 NodeMCU 개발 환경
2.1. Lua 개발 환경
2.2. NodeMCU를 위한 아두이노 IDE 환경 설정
CHAPTER 03 LED 제어하기
3.1. LED 깜박이기
3.2. 원격에서 LED 제어하기
3.3. 여러 개의 LED 제어하기
CHAPTER 04 무선 제어장치 만들기
4.1. 스마트 플러그 만들기
4.2. 버튼과 부저를 이용해 보자
4.3. 스마트 부저 만들기
4.4. 스마트 버튼 만들기
CHAPTER 05 다양한 센서 이용하기
5.1. 온습도 센서 이용하기
5.2. 미세먼지 센서
5.3. I2C 기반 OLED에 표시하기
CHAPTER 06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한 온습도 측정 장치
6.1. 웹서버 기반의 온습도 측정장치
6.2.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센서 데이터 보내기
CHAPTER 07 와이파이 관련 기능
7.1. 와이파이 네트워크 검색하기
7.2. 네트워크 시계
7.3. 와이파이 관련 함수 정리
CHAPTER 08 집 밖에서 제어하기
8.1.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
8.2. 블링크(Blynk) 애플리케이션
CHAPTER 09 NodeMCU를 위한 회로도 그리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아쉬운 점은 커리큘럼에 인터넷을 이용하는 내용들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소개 자료에는 사물인터넷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라고 하면서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기능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다보니, 교육 과정이 끝나는 것과 동시에 개발 툴킷은 어딘가에 쳐박히고, 개발 툴킷을 이용해 무엇인가를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도 함께 사라져 버린다. 이러한 교육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과 이런 상황을 개선해보고자 하는 고민은 이 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이 책에도 아두이노 IDE와 같은 개발환경을 소개하는 내용이나 LED를 켜고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처럼 기본적인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LED를 켜더라도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LED를 켜게하고 있으며, 온습도 센서 데이터도 컴퓨터 화면에만 표시하지 않고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혹은 ThingSpeak 같은 클라우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사용한 것과 다른 센서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어떻게 이용해야 하며 이 책에서 실습한 내용들을 어떻게 활용해 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 하도록 함으로써, 실습한 내용들을 실 생활이나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