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8751020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6-01
책 소개
목차
PROLOGUE
1부. 좌충우돌, 나의 온라인 프로젝트 실천기
CHAPTER 01.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프로젝트를 펼치다
윤주쌤의 e-꿀팁_구글 사이트 도구, 온라인 프로젝트 수업의 모든 것을 담다
CHAPTER 02. 온라인 I(아이) 전시회 나를 표현해 보아요(feat. 구글)
윤주쌤의 e-꿀팁_구글 맵과 구글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모둠 활동!
2부. 실전! 잼공 온라인 프로젝트
CHAPTER 03. 에코 사피엔스, 지구특공대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➑ 이제 포토샵도 간단하고 빠르게, 내 손에 작은 포토샵 어플 픽스아트 PicsArts
CHAPTER 04. 치킨의 혁명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➒ 온라인에서도 활동지를 해결할 수 있다고? TEACHER MADE
CHAPTER 05. 뻔한 교가는 가라! 우리가 만드는 교가 프로젝트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➓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해봤어! 구글 확장프로그램
CHAPTER 06. 홈 루덴스를 찾아라 - 제대로 놀기 프로젝트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⓫ 나에게 필요한 앱은 내가 만든다. 앱 인벤터 App inventor
CHAPTER 07. 한류 세계를 품다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⓬ 포토샵 없이도 깔끔하게 사진 배경을 지우는, removebg
CHAPTER 08. 나만의 미니 홈 책방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⓭ 멋진 문서를 제작하는 만능 치트키, Genially
CHAPTER 09. 굿즈! 문화재의 멋을 담다
※ Jamgong Online Project Tips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 ⓮ 저작권 걱정 없는 영상클립 갤러리,COVERR
EPILOGUE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언택트 시대의 슬기로운 수업, 그 두 번째 이야기에는 어떤 내용들이 담겨 있을까. 먼저 낯선 원격수업환경으로 내몰려 힘든 시간을 보내며 끊임없이 해법을 모색한 전국의 선생님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문득, 이 책을 찾아볼 선생님들이 어떤 고민과 어떤 기대감을 갖고 있을지 상상하게 된다. 아무래도 단편적인 교과지식전달 위주 원격수업의 한계, 점점 수동적으로 변해가는 학습자의 태도, 원격수업 장기화로 인해 프로젝트 수업 실천이 어려운 상황 등등 여러 문제들의 해법을 찾고자 하는 선생님들이 이 책을 선택할 듯싶다. 누구보다 온라인 환경에서 프로젝트학습을 실천사례가 궁금하거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양한 빛깔의 프로젝트 수업에 도전하고 싶은 선생님들의 선택을 받을 듯싶다.
이 책에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명한 해법이 제시되고 있다. 물론 선생님들의 기대에 얼마만큼 부응할진 모르겠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유래 없는 사태를 겪으며 하나하나 만들고 적용한 온라인 프로젝트 수업들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집단지성과 공동체의 힘을 발휘하며 연대와 협력의 구심점이 된 재미교육연구소가 있다. 재미교육연구소는 ‘3S-Fun’, 즉 단순한 재미(simple fun), 사회적 재미(social fun), 진지한 재미(serious fun)를 추구하며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잼공(재미있는 공부)’을 실현하기 위해 결성된 실천연구단체이다. 그동안 온라인을 무대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학습을 만들고 실천했으며, 이 책에는 그 중 일부가 담겨 있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과정 내내 자기 주도적인 참여를 요구하며,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지식을 생산하고 창조해내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학생들의 삶의 맥락과 연결되어 그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다. 무엇보다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문제해결능력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길러준다. 이는 교실이든, 온라인 세상에서든 동일하다. 유용한 디지털 플랫폼과 각종 소프트웨어 등의 IT도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다면 얼마든지 교실보다 더 풍성하고 다양한 온라인 수업도 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높이는데 필요한 새로운 방식의 프로젝트 운영을 제안하고 있다. 첫 번째 온라인상에서 적용할 모든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의 가독성을 고려해 시각화시킨 단계별 과제카드를 만든다. 두 번째 프로젝트 수업 주제별로 독립된 홈페이지(구글사이트)를 개설해 과제카드를 비롯한 관련영상, 단계별 활동사례 등이 제공되도록 한다. 세 번째 학생들에게 학습꾸러미로 제공될 활동지에는 관련 과제카드와 영상 등의 손쉬운 접속이 가능하도록 QR코드를 단계마다 삽입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온라인 프로젝트 운영방안이 교육현장에선 어떤 결과로 이어졌을까.
이 책은 혼란스런 전면 온라인 수업시기(2020년 3월-5월)를 지나 학생들의 등교가 시작되던 2020년 6월의 현장으로 찾아간다. 교실과 온라인 세상을 오가며 벌인 프로젝트 수업사례들과 바로 현장에서 실천이 가능한 PBL프로그램을 각각 묶어 구성했다. 전편과 동일한 형식으로 목차를 짰으며,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1부. 좌충우돌, 나의 온라인 프로젝트 실천기!」에는 정준환 선생님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실천한 프로젝트 수업 실천사례가 담겨 있다. 블렌디드 러닝을 제목으로 내세운 만큼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공간뿐만 아니라, 방법, 내용, 활동 등이 통합된 학습환경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구현하고 있다. 특별히 조윤주 선생님의 ‘온라인 I(아이)전시회 나를 표현해 보아요’는 각종 구글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의 모습을 보여준다. 더불어 구글의 다양한 도구들과 기능들에 대해 ‘윤주쌤의 e-꿀팁’을 통해 자세히 배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2부. 실전! 잼공 온라인 프로젝트」는 재미교육연구소의 선생님들이 개발하고 실천한 온라인 프로젝트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다. 온라인 프로젝트별로 학습꾸러미로 배부할 수 있는 ‘워크시트(PBL활동지)’와 수업의 길라잡이 역할을 해줄 ‘티쳐팁스(Teacher Tips)’가 친절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교과와 주제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이기도 하다. 집필한 선생님들이 직접 소개하는 수업의도와 핵심활동은 다음과 같다.
‘에코 사피엔스, 지구 특공대’는 환경을 주제로 한 프로제트로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한 지식, 실천력, 홍보능력을 갖춘 에코 사피엔스로 성장하는 장기간 프로젝트이다. 패들렛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였고, 학생들의 삶의 습관을 바꾸는 학습주제를 적용하기에 적절한 프로젝트 과정을 제공한다. <정득년 선생님>
‘치킨의 혁명’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치킨 레시피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수업이다.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최고의 치킨을 선정하고 이를 벤치마킹하여 메뉴를 개발하고 홍보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픽스아트와 미리캔버스, 키네마스터, 비비비디오, 블로 등을 활용했다. 분명 학교에서 친구들과, 가정에서 가족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맛있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신혜은 선생님>
‘뻔한 교가는 가라! 우리가 만드는 교가 프로젝트’는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한 번도 바꿔보려고 하지 않았던 교가를 학생들의 생활과 생각이 담긴 교가를 만들어서 뮤직비디오로 제작하는 프로젝트이다. 반가제작이나 교과의 과학송, 역사송 등 주제가 있는 뮤직비디오 제작으로 응용하면 좋을 프로젝트 수업이다. <고흥문 선생님>
‘한류, 세계를 품다’는 학생들이 높은 흥미를 갖는 K-pop과 아이돌을 소재로 월드투어 공연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이다. 공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인터미션 때 즐길 푸드트럭 메뉴와 기념품 디자인을 개발하며 공연홍보와 운영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류를 주제로 음악, 미술, 실과, 진로수업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공연 형태의 어떤 주제라도 이 프로젝트 과정을 응용해서 적용할 수 있다. <이윤재 선생님>
‘나만의 미니홈책방’은 경험을 파는 서점, 독립서점을 팬데믹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책방을 만들어보는 프로젝트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책으로 나만의 홈 책방을 만들고 전시하기에 독서를 싫어하는 학생들도 개성을 살려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국어과의 독서단원과 문학영역을 연계한 수업으로 온라인에서도 재미있는 독서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조혜성 선생님>
‘홈루덴스를 찾아라!’는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난 요즘, 자기주도적으로 즐길 수 있는 나만의 여가 생활을 개발하는 시기적절한 프로젝트이다. 놀이, 취미, 요리, 운동 주제별로 참고영상을 소개하여 학생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체육을 중심으로 관련 교과와 다양한 주제로 연계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집콕 생활 시리즈로 활용하기에 좋은 수업이다. <최미석 선생님>
‘굿즈! 문화재의 멋을 담다’는 우리 문화유산을 깊이있게 공부하여 창의적인 카피문구를 개발하고 굿즈를 디자인하여 온라인 전시회를 여는 프로젝트이다. 디자인은 ‘그림그리기, 이비스 페이트, 톡톡 스케치’ 등의 다양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굿즈 제작과정이 상세히 나와있어서 굿즈제작 프로젝트의 바이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선희 선생님>
그밖에도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을 풍성하게 해줄 자료 제작, 결과물 제작, 수업관리에 유용한 ‘슬기로운 온라인 도구 생활’을 각장의 사이사이마다 제공하고 있다. 2탄에는 픽스아트PicsArts[윤희진], 티쳐 메이드TEACHETR MADE[조은아], 구글확장프로그램[고흥문], 앱인버터App inventor[조윤주], 리무브비지removebg[권율수], 지니얼리Genially[조혜성], 커버COVERR[정준환]의 활용방법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현장교사들이 수업에 사용해보고 활용도가 높은 도구들로 엄선하여 선정했다.
이 책에 실린 모든 프로젝트 수업은 특정 학년에 구애받지 않고 변형하거나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업적용을 위해 프로그램 중에 관심 있는 주제나 흥미로운 학습과정을 선정하여 자신의 학년에 맞게 재구성할 것을 추천한다. 아무쪼록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의 대표 모형인 프로젝트학습이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가리지 않고 활발히 적용되길 바란다. 프로젝트 수업을 온라인으로 확장해 운영하려는 교사들에게 이 책이 든든한 길라잡이가 되어주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