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조경학
· ISBN : 979118751115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목차
006 서문
007 한국어판 서문
008 감사의 글
010 서론_형에서 장으로
026 1. 어바니즘으로서 경관
048 2. 자율성, 불확정성, 자기조직화
068 3. 계획, 생태, 그리고 경관의 부상
090 4. 포스트-포디즘 경제와 물류 경관
110 5. 도시의 위기와 경관의 기원
132 6. 도시의 질서와 구조적 변화
152 7. 농경 어바니즘과 조감의 주체
172 8. 조감 재현과 공항 경관
196 9. 건축으로서 경관
218 결론_경관에서 생태로
228 옮긴이 후기_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현대 조경
239 주석
262 그림 크레디트
책속에서
최근 들어 경관이 동시대 도시의 모델이자 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21세기로의 전환기 이래로 전개되어 온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담론과 실천을 통해 가능해졌다. 이 책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주제에 대한 전문 해설서이며,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배경에 자리한 일련의 역사적, 이론적, 문화적 체계를 광범위하게 다룬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고유한 주장과 이념을 뛰어넘어 이 책은 경관을 통해 도시를 사고하는 종합적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경관이라는 렌즈를 통해 읽어낸 어바니즘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이 책은 경관 그 자체를 다루는 것을 넘어, 경관이라는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들을 통해 어바니즘을 사고하는 가능성에 대한 책이다.
다양한 부지에서 경관이 어바니즘의 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경관을 통해 도시를 재고하게 하는 부지는 대부분의 경우 도시를 만들 때 엄격한 건축적 질서가 한계를 갖는 곳이다. 대개 그러한 부지는 도시란 건축적 모델과 은유의 외삽이라는 전통적 이해가 거대한 힘과 흐름으로 인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곳이다. 생태계, 인프라스트럭처, 경제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 도시 형태에 대한 건축적 논리에 균열 또는 단절이 생겨난 것이다.
경관은 사회, 기술, 환경 변화로 말미암아 도시의 엄격한 건축적 질서가 더 이상 쓸모없거나 부적절해진 부지에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발휘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담론과 실천은 항구나 교통망과 같은 대규모 인프라 집합체를 고려할 때 매우 유용하다. 특히 공항은 그 규모, 인프라의 연결성, 환경적 영향이 도시 조성의 건축적 모델을 능가한다는 점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담론과 실천의 핵심이다.
경관은 거시 경제의 재편에 따라 변하고 있는 도시 형태를 사고하는 방식으로도 유용하다. 경제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수많은 브라운필드 부지뿐만 아니라 이른바 쇠퇴 도시가 바로 그러한 경우다. 따라서 어바니즘의 매체로서 경관(landscape as a medium of urbanism)은 사회, 환경, 경제 위기와 관련된 다양한 영향을 흡수하거나 어떻게든 완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관은 대규모의 복잡한 생태계와 인프라 시스템이 교차하는 부지를 다루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아주 최근에는 경관이 비정형 도시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문제에, 그리고 위험과 회복탄력성(resilience), 적응과 변화의 문제에 대응하는 데 적합하다고 여겨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