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조경학
· ISBN : 979118751136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09-0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_조경진
프롤로그: 50×15, 한국 조경을 읽다_배정한
1부
키워드로 읽는 한국 조경설계와 이론_이명준
설계공모의 진화와 조경의 성장_최영준
살아있는 과거, 전통의 재현_임한솔
한국 조경과 식물의 어긋난 관계_고정희
한국 조경의 시대성과 정체성_최정민
개발 시대의 조경, 그 결정적 순간들_박희성
2부
도시의 자연, 생태공원_김아연
회복의 경관, 도시의 선형 공원_이유직
이전적지에서 공원으로_서영애
상품성과 공공성, 아파트 조경의 모순과 미래_김영민
도시와 건축 사이_김정은
맥락을 읽고 짓는 조경_김연금
사회적 예술로서의 조경, 공공성에서 사회성으로_김한배
공원과 시민사회_박승진
텍스트로 읽는 한국 조경_남기준
3부
한국 현대 조경 50
경의선숲길 | 서울숲 | 선유도공원 | 청계천 | 아모레퍼시픽 본사 신사옥 | 노들섬 | 화담숲 | 광교호수공원 | 순천만국가정원 | 서울식물원 | 서울로 7017 | 광화문광장 | 올림픽공원 | 서서울호수공원 | 베케정원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북서울꿈의숲 | 희원 | 문화비축기지 | 송도센트럴파크 | 하늘공원 | 브릭웰 정원 | 디에이치 아너힐즈 | 길동자연생태공원 | 경춘선숲길 | 양재천 | 오설록 티뮤지엄‧이니스프리 제주 | 덕수궁 보행로 | 사우스케이프 오너스 클럽 | 일산호수공원 | 여의도공원 | 여의도한강공원 | 서소문역사공원 | 경주보문단지 | 서울어린이대공원 | 반포한강공원 | 동탄호수공원 | 부산시민공원 | 국립세종수목원 | 파리공원 | 미사강변센트럴자이 | 래미안신반포팰리스 | 배곧생명공원 |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 경주힐튼호텔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CJ 블로썸 파크 | 울산대공원 | 세종중앙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경은 경관의 아름다움을 인간의 손으로 빚어내는 엄연한 디자인 행위다. 조경가는 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경관의 모습을 만들어내고자 노력해왔다. 얼핏 옴스테드의 목가적 풍경으로만 점철된 것 같던 한국 현대 조경 작품의 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기존의 관습과 사회의 통념에서 벗어나 대안적 디자인 방향을 모색해 온 디자이너와 이론가의 진심이 전달되어 가슴이 웅장해진다.
이 글은 한국 조경 설계공모 30년의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 첫 시기는 서울의 대표적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설계공모가 시작되고 설계공모의 여러 시스템을 도입한 ‘초기’ 단계로, 앞에서 언급한 여의도광장 공원화 설계공모에서 2003년 서울숲 공모까지다. 다음 시기는 2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형 공원 및 녹지 시스템, 세종시 관련 프로젝트, 한강르네상스 사업 등에 힘입어 많은 설계공모가 열린 ‘융성기’다. 마지막은 2012년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공모 절차가 개선되고 기획이 다양해진 ‘성숙기’다.
전통의 힘은 주체가 누구인지, 무엇을 꾀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초창기 한국 조경의 전통 실천이 국가적 정체성의 확립과 정수의 발굴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면 앞으로의 전통 실천은 로컬과 다원성, 발견과 재해석의 차원에 더 주목할 것으로 생각된다. 글의 뒷부분에 제시한 사례에서 잘 드러나듯, 전통의 재해석은 시간성을 소환하는 감각적 도구이자 역사를 재고하는 수단이다. 익히 알려져 있는 한국 전통 조경의 특징을 다시 상기해보자. 산수를 가까이 여기고 중시하며 경관 조작의 범위를 대지 경계에 국한하지 않는 특유의 자연 존중과 외향성은 현대 조경의 레토릭이자 메타포로 쓰일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