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베껴쓰기로 끝내는 영작문 1.0

베껴쓰기로 끝내는 영작문 1.0

(개정판)

유지훈 (지은이)
투나미스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2,1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베껴쓰기로 끝내는 영작문 1.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베껴쓰기로 끝내는 영작문 1.0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작문
· ISBN : 9791187632337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18-03-07

책 소개

베껴쓰기는 우리글을 쓰는 작가에게 널리 확산되고 있는 비법 중 하나다. 글과 관련된 (심지어는 번역도) 인터넷 동호회라면 누구나 필사를 추천할 터인데, 그래서 이를 영어에도 적용키로 했다. 베껴서 무슨 실력이 늘겠냐는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지만 영어깨나 한다는 사람들은 내 소견에 이견을 내놓진 않을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01. 왜 베껴야 하는가?
베껴쓰기 - 동화Fable: Aesop's Fables
02. 명사의 법칙
베껴쓰기 - 소설Novel: The Little Prince
03. 문장부호를 최대한 활용하라
베껴쓰기 - 철학Philosophy: How to Live Wisely
04. 애매하면 NG!
베껴쓰기 - 문화Culture: Making Friends Not Always Easy for Foreign Students
05. 영어의 품격을 높이는 비결!
베껴쓰기 - 사회Society: So Why Aid?
06. 커마도 신중히 찍어야 한다
베껴쓰기 - 에세이Essay: Every Ounce Counts
07. 영어의 법칙
베껴쓰기 - 과학Science: The Future of Less
08. 아니 땐 굴뚝에서 연기 나랴?
베껴쓰기 - 연예Entertainment: Robin Williams
09. 단어의 조합 원리
베껴쓰기 - 역사History: California Gold Rush Pulls Americans West
10. 글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비결
베껴쓰기 - 인문Liberal Arts: The Mind in the Net
출처 및 저자소개

저자소개

유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출판 전문번역가. 경기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사립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다 번역의 매력에 빠져 전문번역가의 길로 들어섰다. 번역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투나미스를 창립, 기독교·어학·정치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저서로는 『남의 글을 내 글처럼』, 『베껴쓰기로 끝내는 영작문』 등이 있으며, 『글로벌 트렌드 2040』, 『좋은 사람 콤플렉스』,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등 약 80여 종의 번역서를 펴냈다. 현재 유튜브 채널 ‘투나미스(@tunamis_writer)’에서 책을 소개하고 영어 학습 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01. 왜 베껴야 하는가?

영어의 회화든, 작문이든, 문법이나 어법이 해결해주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문화적인 쓰임새인데, 한국인이 영어를 쓰거나 자국에 관련된 기사를 영어로 옮길 때 글이 미흡한 까닭은, 아니 왠지 영어답지 못하다는 느낌이 드는 까닭은 영미 문화에서도 그런 표현이 자연스럽게 통용될지 잘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문법도 중요하지만 좋은 원문을 베껴쓰지 않고 문장을 저 나름대로 창작하면 심각한 문제가 벌어질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그 생각에 토머스는 거짓말쟁이가 아닌 것 같다.
= He thinks that Thomas isn't a liar.

나와 그는 자전거를 훔치지 않았다.
= I and he didn't steal any bicycle.
고맙습니다.
= I appreciate you.


단순히 문법을 조합해서 글을 썼다면 위와 같이 써도 별 하자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문법적으로는 어색하다고 생각지 않을 테니까. 하지만 위의 예문은 원어민이 읽으면 왠지 이상하다고 생각할 공산이 크다. 영미 문화에서 이런 문장은 대단히 어색하다.

He doesn't think Thomas is a liar. (O)
He and I didn't steal any bicycle. (O)
I appreciate it(that). (O)


영미문화에서는 종속절이 아니라 주절에 부정어를 쓴다. 그리고 남(3인칭)을 먼저 쓰고 나(1인칭)를 쓴다. 순서에도 일정한 습관이 있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appreciate는 사람을 목적어로 쓸 수 없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

그렇다면 이렇게나 시시콜콜한 문화적 특징은 어떻게 습득할 수 있단 말인가? 모방이 아니고 과연 가능할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