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53~1733. 효령대군의 10대손으로 호는 병와(甁窩)이다. 조선 후기 숙종.영조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1677년(숙종 3년)에 사마시에, 1680년(숙종 6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호조좌랑, 성주목사, 동래부사, 제주목사, 영광군수, 경상도소모사 등의 관직을 지냈다. 특히 제주목사 시절에는 제주도 지역을 탐방하면서 자연, 역사, 산물, 풍속, 인구 등을 자세히 기록한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를 제작하였다. 유학자이자 실학자로 목민관 시절에 유학을 장려하는 정책을 썼다.
관직에 있었던 12년을 제외하고는 말년까지 학문에만 전념하여 142종 326책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특히 <병와유고(甁窩遺稿>는 10종 15책의 필사본으로 보물 652호로 지정되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영인본 <병와전서(甁窩全書)>를 간행하였다.
펼치기
홍윤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국어학회 회장, 한국어전산학회 회장, 국어사학회 회장, 한국어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장, 국어심의회 정보화분과 위원장, 국어심의회 언어정책분과 위원장, 국어심의회 전체 부위원장, 겨레말큰사전 남측 편찬위원장,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위원장 등을 지냈다. 동숭학술연구상, 세종학술상, 일석국어학상, 외솔상, 수당상, 용재상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옥조근정훈장,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국어사문헌자료연구 1』, 『근대국어연구 1』,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국어정보학』, 『한글 이야기 1‧2』, 『17세기 국어사전』(공편), 『조선 후기 한자어휘 검색사전』(공편), 『한글』, 『한자 학습 문헌자료 연구』,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 『근대국어연구』(개정증보판), 『국어 어휘론』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15세기 국어의 격연구 등 16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