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87942634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2-03-23
목차
추천사 7
서문 9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1 15
I. 비제도권 교회들의 등장 19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2 35
Ⅱ. 비제도권 교회의 특징 41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3 77
Ⅲ.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 8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4 109
Ⅳ.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 배경 11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5 140
Ⅴ. 비제도권 교회와 가나안 성도 14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6 168
Ⅵ. 제도화 문제의 극복 17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7 246
Ⅶ. 나가는 말 251
저자소개
책속에서
새로운 교회를 이루려는 끊임없는 도전들!
그들은 왜 교회를 나오고, 왜 새로운 교회를 세우는가?
이 땅에 기독교 신앙이 전파되고 교회가 시작된 지 1백 년이 훌쩍 넘으면서 그동안에 쌓인 관행들로 인해서 여기저기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누적된 관습들은 제도라는 형태로 더욱 견고해진다. 사회학에서 말하는 ‘구조(structure)’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의 문제는 어느 한두 사람의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모든 신앙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도전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일에는 언제나 개척자들이 있게 마련이고, 이러한 움직임은 언제나 변방이나 주변부에서 일어난다. 중심부는 아직 견고한 틀 안에 갇혀 있고 기득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식도 분명하지 않고 이를 위한 의지도 빈약하다. 이러한 움직임이 교단에 속하지 않아 그로부터 자유로운 비제도권에서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비제도권 교회들을 연구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서문 중
제도권 교회들의 성장 정체 속에서 건물, 성직자, 교단 등 기존의 교회 형성의 문법을 따르지 않는 실험적인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들이 한국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21세기에 등장하고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 바로 비제도권 교회들의 출현이다. 보기를 들자면 이미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가정 교회들 외에도, 평소에는 카페를 운영하며 일요일에 예배를 겸하는 유형, 지역에서 아이들과 가족을 위한 도서관 운영과 함께 교회를 실험하는 유형, 인디밴드나 어쿠스틱 그룹을 초청하여 음악을 나누며 공동체를 추구하는 하우스 콘서트형, 사무실이나 학원의 비는 시간을 이용하여 기독교 공동체가 모이는 일터 교회 유형도 있다.
이 교회의 리더십은 여섯 명을 한 그룹으로 하는 복수의 리더십으로 세워졌다. 목회자와 교인의 관계를 성직자와 평신도로 규정하는 패러다임은 잘못된 것이기 때문에 목사도 교회 구성원으로서 같이 리더십을 구성하면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복수 리더십을 채택한 이유는 목사가 모든 것을 다 알 수도 없고 대변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찰을 어떻게 교회에 반영시킬까 고민하고 노력했다. 이를 위해 담임목사라고 해서 특별한 권한이 있는 게 아니라 대표이자 전문가의 입장에서 방향을 잡아 줄 뿐 모든 것은 회의를 통해서 만들어 가도록 교인들을 계속 훈련시키며 10년의 시간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