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9118794287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08-0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_6
저자 서문 _12
사랑 제91-153문답 _16
교리교사 카테키즘: 사랑 _150
십계명 _150
※ 행위언약의 효력과 율법 _150
※ 칼뱅을 통해 십계명 이해하기 _152
※ 주요 교리교육서들의 십계명 교육 _155
※ 주요 교리교육서들의 십계명 교육방법 비교분석 _203
소망 제154-196문답 _218
교리교사 카테키즘: 소망 _316
말씀 _316
※ 말씀에는 언제나 믿음이 열매 맺나? _316
※ 너그러운 마음으로 설교 듣기 _321
성례 _326
※ 성례와 신앙고백 _326
※ 할례와 유월절, 구약성도들의 은혜의 방편 _327
※ 성경이 소개하는 연합들(unions) _329
기도 _329
※ 신자의 바른 기도 _329
※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산다는 것은? _330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에게 있어서 이번에 출간되는 『1647 대교리2』는 너무나 값지다. 이 책의 출간으로 웨스트민스터 소교리교육서, 대교리교육서, 신앙고백의 이 세 문서의 원문을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가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 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황과 기회가 나에게 주어졌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은혜와 섭리가 아닐 수 없다.
『1647 대교리』의 출간과 함께 웨스트민스터 교리표준문서 세 가지의 번역과 원문분석을 세상에 내놓으며 나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바라는 것이 하나 있다. 나는 독자들이 나의 책을 최대한 자세히 살피고 연구하여 더 정확한 분석과 더 적절한 번역을 제시해주었으면 한다. 한국교회에 유익이 된다면 심지어 내 번역과 분석을 신랄하게 비판해도 좋다. 언제든지 환영한다."
_서문에서
[제94문답]
Q94: Is there any use of the moral law to man since the fall?
A94: Although no man, since the fall, can attain to righteousness and life by the moral law;[1] yet there is great use thereof, as well common to all men, as peculiar either to the unregenerate, or the regenerate.[2]
(1) 롬8:3; 갈2:16 (2) 딤전1:8; 갈3:19,24.
<번역>
문: 타락 이후로 사람에게는 도덕법의 어떠한 소용이 있나요?
답: 비록 타락 이후로는 누구도 도덕법으로 의와 생명에 이를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큰 소용이 있는데, 그것은 중생하지 않는 이들에게든, 중생한 이들에게든 독특할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입니다.
<원문 이해의 키>
- use ‘소용’
- since the fall ‘타락 이후로 줄곧’
- attain to~ ‘~에 이르다’
- as well common to all men, as peculiar either to the unregenerate, or the regenerate which is common to all men과 which is peculiar either to the unregenerate, or the regenerate를 as well as의 틀로 묶으면서 which is를 생략했다. 그리고 as well A as B(B뿐만 아니라 A)의 구조는 현대 영어의 A as well as B의 옛 표현이다.
- peculiar ‘독특한’으로, 이 문답은 도덕법의 소용을 설명할 때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common) 소용이 있으나, 중생한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에게 이 소용은 각각 독특하다(peculiar)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도덕법은 중생한 자들에게는 특별한(special) 소용이 있는 반면에 중생하지 않은 자들에게는 특수한(particular) 소용이 있다고 설명한다.
<원문대로 이해하고 구문대로 정리하기>
1. 타락 이후로는 그 누구도 도덕법으로 의와 생명에 이를 수 없다.
2. 타락 이후로도 도덕법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소용이 있다.
3. 타락 이후로도 도덕법은 중생한 자들과 중생하지 않은 자들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소용이 있다.
4. 타락 이후로 도덕법은 중생한 자들과 중생하지 않은 자들에게 각각 독특한 소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