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8807610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2-08-27
목차
Chapter 01. 교육의 개념
제1절 교육의 어원적 의미
제2절 교육 은유의 분석
제3절 교육의 준거
제4절 교육의 구성
■ 단원 마무리
Chapter 02. 교육의 역사적 접근
제1절 스파르타식 교육
제2절 최초의 직업적 교사
제3절 정예주의(elitism)
제4절 자유교육(liberal education)의 전통
제5절 체육이 배제된 교육
제6절 암기식 교육
제7절 습관형성으로서의 교육
제8절 자연으로 돌아가라
■ 단원 마무리
Chapter 03.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배경
제1절 교육의 역사적 의미
제2절 교육의 철학적 배경
■ 단원 마무리
Chapter 04.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제1절 인간발달과 교육
제2절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과 교육
제3절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교육
■ 단원 마무리
Chapter 05.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제1절 사회와 교육
제2절 사회화와 교육
제3절 사회계층과 교육
제4절 미래사회의 교육
Chapter 06.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표
제1절 다문화 교육의 개념
제2절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및 문제점
제3절 다문화 교육의 목표
제4절 다문화사회와 교육적 과제
■ 단원 마무리
Chapter 07. 다문화사회와 교육의 이해
제1절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교육의 필요성
제2절 다문화사회의 교육환경 변화
제3절 다문화 교육의 범위 확대 과정
제4절 다문화 교육의 국내 실태
■ 단원 마무리
Chapter 08.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개념
제2절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
■ 단원 마무리
Chapter 09.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과 절차
제2절 교육평가의 분류
제3절 평가도구의 조건
제4절 평가 문항의 제작과 활용
■ 단원 마무리
Chapter 10. 학습과 교수
제1절 학습의 개념
제2절 학습의 조건
제3절 학습이론
제4절 교수의 개념
제5절 교수이론
■ 단원 마무리
Chapter 11. 생활지도와 상담
제1절 생활지도의 개념
제2절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제3절 상담의 기초
■ 단원 마무리
Chapter 12. 교육행정과 교육제도
제1절 교육행정
제2절 교육제도
제3절 장학행정과 자치제도
■ 단원 마무리
Chapter 13. 평생교육의 이해
제1절 평생교육의 이해
제2절 우리나라 평생교육정책
■ 단원 마무리
Chapter 14. 교사론
제1절 교사의 지위와 역할
제2절 교원의 전문성
제3절 교직관과 교사의 자질
제4절 교원양성의 문제점과 개선점
제5절 교직윤리와 교원단체
■ 단원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교육에 대해 한 마디씩 말해 보라면 아이를 기르는 부모에서부터 교육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어느 누구도 거침없이 말할 수 있다. 그만큼 교육은 우리의 생활이며 우리의 관심사이다. 사실 교육이란 말이 생기기 이전에도 교육은 존재했다. 교육의 형태는 다르지만 인간이 살아가는 그 어떤 장면에서도 교육은 불가피한 인간 활동이다.
교육에 대한 일반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위한 개론서로써 교육학의 탐구는 한편으로는 주변적인 이야기와 같이 친밀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문적인 교육학 이론들까지 망라하는 내용일 필요가 있다. 교육학개론은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면서 동시에 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는 교육 관련자들에게는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이번에 시도된 교육학개론은 이러한 목표를 두고 집필되었다.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교육학을 소개하려고 했지만 집필자의 전공 배경이 다소 달랐을 뿐만 아니라 노력했음에도 충분치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본 교재는 다른 교재와의 차별화를 위해 단원 마무리에 질문하브루타와 토론하브루타를 첨삭했고 평생교육차원에서 독서교육을 포함했다, 독서교육을 포함한 이유는 유아에서 노인까지 삶에 있어서 독서가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므로 교육학에서 다뤄줄 필요성이 제기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과 제2장에서 교육개념을 분명히 하고 서양 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의 역사에 반복되는 제 문제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제3, 4, 5장에는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배경,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를, 제6, 7장에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표, 다문화사회와 교육의 이해 그리고 제8, 9, 10장에는 교육과정, 교육평가, 학습과 교수를, 또한 제11, 12, 13, 14장에서는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행정과 교육제도, 평생교육의 이해, 독서교육, 교사론으로 구성하였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위해 편의를 제공한 공감플러스 한은택 사장님과 관계자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2022년 8월 105번 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