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8809628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7-06-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사람을 위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생각하며
제1부
01. 4차 산업혁명, 미래 열차는 출발했다!
02. 앞선 세 번의 산업혁명과 무엇이 다른가?
03.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 혁명이 되어야 한다
04. 독일의 인더스트리 4.0과 실리콘밸리에서 배우다
05. 경제 성장에 대한 관점을 180도 바꾸자
06. 협력과 경쟁의 코피티션 생태계
제2부
07. 숫자의 경제가 아니라 사람의 경제
08.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중점 과제
09. 정부는 추진자이자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10.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
11. 가능성이면 충분한 생태계 조성
12. 엔젤 투자의 활성화와 재교육을 통한 창업
13. 세계 경제 대전과 승자 독식 경제
14. 이정표가 목적지가 될 수는 없다!
15.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포괄 방식
16. 가파른 사선이 아니라 S자 성장을 지향하라
제3부
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18. 사람에게는 아낌없는 투자를
19. 정작 실리콘밸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선언은 들리지 않는다
20. 모래주머니를 차고 4차 산업혁명을 따라갈 수는 없다
21. TOP 모델
에필로그_오직 사람만이 우리의 미래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4차 산업혁명은 천지개벽이 아니다. 기술과 사람은 늘 함께였고, 때로 갈등과 반목을 거듭했지만, 결국 정치?문화?산업 전반에 걸쳐 서로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해왔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만은 다르다’라고 예견되는 4차 산업혁명 역시 단순히 혁신기술이 펼쳐 보일 미래가 아니라, 융합과 통합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열린 세계를 지향한다는 특성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기술과 사람의 대립이 아니라, 기술과 사람의 조화를 고민해야 한다. 동시에 일자리 개수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질을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_48∼49쪽
우선 4차 산업혁명은 우리 산업의 특장이었던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빠르게 좇아가는 전략 또는 그 기업을 일컬으며, 앞서 설명한 퍼스트 무버를 모델로 삼는다)식 경제 성장을 점검하게 만든다.
패스트 팔로어는 주로 추진력을 바탕으로 선도기업을 벤치마킹해 더욱 개선된 제품을 싼값으로 내놓으면서 시장을 차지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우리는 대기업이 주축이 돼 패스트 팔로어 전략을 구사하면서 수출무역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오늘날 대기업의 성장세는 점점 둔화되고 있다. _62∼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