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88108183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17-07-28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_생태학적 국어교육으로 가는 여행의 첫걸음
서문
감사의 글
01 도입: 왜 생태학인가
1. 교육 속의 언어: 뒤섞인 감정들
2. 교육에서의 언어
3. 생태학: 심층과 표층
4. 사회과학에서의 생태학
5. 생태학과 사회문화 이론
6. 사회문화 이론과 생태학의 비교
7. 정리와 전망
02 언어 이론
1. 도입
2. 언어, 언어학 이론, 학습법과 교수법에 관한 몇 가지 공통된 가정
3. 언어학
4. 맥락: 과학에 대한 기록
5. 맥락, 언어와 언어학
6. 생태언어학
7. 정리
03 기호학: 의미의 구성
1. 도입
2. 기호의 일반성
3. 페르디낭 드 소쉬르
4. 찰스 샌더스 퍼스
5. 퍼스 기호학의 고찰
6. 기호 현상과 언어 학습
7. 마이클 할리데이
8. 정리
04 창발과 행동유도성
1. 도입
2. 창발
3. 창발주의
4. 창발적 체계로서의 언어
5. 선천성-후천성 논쟁: 요약적 개괄
6. 창발 문법
7. 문법화
8. 행동유도성
9. 행동유도성이란 무엇인가
10. 지각과 행동에 대한 깁슨의 관점
11. 문화적 인공물과 행동유도성의 다른 예
12. 행동유도성의 확장된 의미
13. 중재
14. 할리데이의 언어 기반 학습 이론
15. 정리
05 자아와 언어 학습
1. 도입
2. 기호의 대화적 속성
3. 자아의 발달
4. 정신, 의식, 인지
5. 자아: 현재의 자아, 과거의 자아, 미래의 자아
6. 언어 사용과 목소리
7. 정리
06 언어 학습의 경로
1. 도입
2. 언어 학습에 대한 관점들
3. 상호작용과 대화의 역할
4.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5. 비계
6. 교육학적 비계의 특성
7. 예기
8. 근접발달영역, 제2언어와 외국어 학습
9. 프로젝트 기반 학습
10. 학술 언어: 언어의 규범적인 측면
11. 정리
07 비판적 생태언어학
1. 도입
2. 생태학적 관점의 창발
3. 자연과 교육에서의 심층생태학
4.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
5. 문화, 마음, 가치
6. 기술의 비판적 사용
7. 비판적인 언어 연구들
8. 정리
08 생태학적 연구
1. 도입
2. 복잡성, 혼돈, 그리고 생태학
3. 혼돈, 복잡성, 그리고 생태학에 대한 몇 가지 사례
4. 미시와 거시
5. 생태학적 연구 모델
6. 증명과 진실에 대한 견해
7. 발달 연구에 관한 브론펜브레너의 생물 생태학적 모델
8. 내포된 생태계의 위계적 교육 환경
9. 활동 이론
10. 체계 이론
11. 정리
교사를 위한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