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837522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0-07-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자연과 문화, 그 경계를 넘어서 _이재영
들어가는 글
1장 왜 생물문화다양성인가?
왜 생물문화다양성인가?
언어다양성
생물-문화-언어다양성의 관계
생물문화다양성
외국의 생물문화다양성 사례
전통생태지식
2장 금강하구의 사회경제는 어떻게 변해왔나?
금강하구를 바꾼 주요 사건들
일제 강점기, 금강하구 간척사업과 수탈의 역사
산업화 시기, 산업단지와 항만 개발
땅과 바다를 아프게 하는 제련소와 발전소
금강하굿둑, 끝나지 않은 개발사업
금강하구 두 도시, 군산과 서천의 다른 이야기
금강하구의 교착 상태를 푸는 열쇠
3장 어민들의 기억을 통해 본 금강하구의 변화는?
조사 개요
어업환경 변화
금강하구 자연환경의 변화
금강 포구들의 역할 변화
어민들의 갈등과 경쟁 심화
금강하굿둑 이외에 다른 개발 사업으로 인한 영향
금강하굿둑 해수유통에 대한 의견
새만금 방조제 공사 완료로 인한 악영향
금강하구의 생태문화 복원을 위한 제언
4장 금강하구의 생물문화적 접근
금강하구 문화의 변화
새들의 천국, 금강하구
금강하구 갯벌에서 서식하는 물새 현황
그 많던 물고기 어디로 갔나
갈대와 금강하구 생물문화다양성
어살을 통해 본 마을의 생물문화다양성과 전통생태지식
생물문화다양성과 지역의 지속가능성
참고 문헌
책속에서
이 책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대안을 ‘생태문화 공동체’에서 찾아보자는 것이다. ‘미래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을 위해 현재 살고 있는 우리가 어디서 지혜와 소재를 얻어야 하는지 이론과 사례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생물문화다양성과 전통생태지식은 우리에게 현명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단언한다.
금강하구에 대한 생물문화적 관점이 필요한 것은 지역주민들이 금강하구의 독특한 생태환경에 적응하면서 얻어진 도구와 기술, 지식, 그리고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발전과 전달과정을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신념, 가치관, 제도, 언어, 관습·관행이 어떻게 활력을 갖고 이어져 왔는지를 아는 것은 지역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해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자연으로부터 얻은 우리 삶의 다양함은 ‘조상의 발자취를 따라 미래로 가는 것’이다.
생물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과 이해는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패러다임과 깊은 연관이 있다. 생물문화다양성 관점에서 볼 때, 지역이 지속가능하다는 것은 생물다양성뿐만 아니라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이 풍부함을 의미한다. 이것은 우리 삶을 유지하는 요소이기도 하지만 생태계가 생명력과 회복력을 갖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