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경제
· ISBN : 979118843462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08-16
책 소개
목차
서문: 만일 오늘이 ‘29일째’라면
1장. ESG는 최선이 아니라 최소다
‘그롤라베어’ 혹은 ‘카푸치노베어’의 등장
지구온난화와 새 혼혈종의 탄생
그롤라베어는 생태계에서 살아남을까
ESG,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최소한의 일
ESG는 ‘갑툭튀’가 아니다
올바른 일을 하는 것으로 충분할까
1장을 마치며
2장. ESG경영의 현장
볼보에게 안전성 평가의 최종 항목은 무엇인가
북극곰도 마시는 음료 코카콜라의 최대 고민은
코로나19에서 사랑받은 해열제 타이레놀의 은밀한 과거
나이키를 공황으로 몰아넣은 한 장의 축구공 사진
구글이 좋은 사회를 위해 한 일
유한킴벌리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CSV 대표선수 네슬레의 “Do the right thing?”
자기 회사 제품을 ‘디스’하는 파타고니아
BT, 푸마, 케링, SK의 공통점은?
소비자가 달라지며 나이키와 아디다스에 생긴 일
비밀이 하나도 없는 기업의 성공 비밀
온실가스 감축은 기업의 의무이자 사업 기회다
“일종의 미친 생각”으로 바닷속까지 들어간 MS의 ‘탄소 네거티브’
지구를 살리고 돈도 버는 CCUS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는 애플의 노력
“포장은 쓰레기다”
“거대 기업의 나쁜 점은 모두 가진” 월 마트의 물류혁신
2014년부터 인권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 유니레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금융 서비스 그라민은행의 탄생과 마이크로크레딧의 명과 암
3장. ESG의 기원과 작동의 사회 메커니즘
ESG의 원조 목사 존 웨슬리와 ‘3 ALL’ 원칙
ESG란 용어는 어떻게 출현했나
ESG, 민간과 공공 영역 공통의 원칙이 되다
소비자는 소비만 하지 않는다, ESG사회의 정치적 주체다
K-ESG까지 나왔다
4장. 지속불가능한 그들만의 ‘합리적 생각’
사람 목숨을 달러와 맞바꾼 최악의 자동차 ‘핀토’
맬서스적 세상과 신자유주의의 덫
‘호모 이코노미쿠스’, 외부효과, 코즈의 정리
근절되지 않는 아동노동 착취, 직접 하지 않으면 책임이 없는 걸까
돌고래를 지키지 못하는 참치통조림, 라벨링이 해답일까
전부원가회계의 ‘공정가격’은 ‘공정시장’을 필요로 한다
전과정평가와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반품 사태
5장. 지평의 비극을 넘어서
‘인류세’ 혹은 호모 사피엔스 KFC 코카콜라의 ‘닭세’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묻다
기업시민
지속가능발전과 CSR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책임경영
지구 차원의 해법이 필요하다
기업 밖으로, 세계로, 책임의 주체와 이행범위를 확장한 ISO26000
SDGs의 “Leave no one behind”
‘지평의 비극’을 넘어서야 한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ESG 전문가로 이곳저곳 불려다니며 내가 거의 빼놓지 않고 받은 질문은, “이게 언제까지 가는 바람이냐”는 것이다. 즉 ESG가 유행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물음이다. 나는 불가역적 변화라고 대답한다. 국어사전에 ‘불가역(不可逆)’은 “변화를 일으킨 물질이 본디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일”이라고 되어 있다. ESG열풍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정신이자,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시작이라는 게 나의 판단이다. BTS가 해체되고 은퇴한 뒤에도 오랫동안 ESG는 유효하다.
ESG세상은 지속불가능한 문명을 배격한, 다른 생명과 모든 인류가 평화롭고 지속가능하게 공존하는 조화와 균형의 거대 공동체다. 여기서 핵심은, 또한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사항은, 이 공동체가 모든 인간이 인간성을 잃지 않은 세계시민이자 주체로서 공존에 참여하는 공동체여야 한다는 점이다.
ESG가 갑자기 툭 튀어나온 게 아니라는 뜻이다. 18세기 감리교 목사 존 웨슬리까지 올라가는 SRI의 깊은 뿌리, 2차세계대전 이후 본격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논의 등 지속불가능한 우리 문명에 대한 반성과 대안 모색 움직임이 축적되어 마침내 ESG로 분출했다고 봐야 한다. 즉 ESG열풍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정신이자,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시작이다.
- 1장 중에서
1996년 <라이프>에 한 소년이 축구공을 꿰매고 있는 사진이 실렸다. 사진의 주인공은 나이키 농구화가 130달러일 때 일당으로 60센트(시급 6센트)를 받는 12살 파키스탄 소년 타리크였다. 다국적 기업 나이키의 동남아 납품업체에서 일어난 아동노동이 공개되면서 나이키 불매운동이 벌어졌고, 나이키는 창사 이래 최초로 1997년에 적자를 기록했고, 1998년 나이키의 기업가치는 2분의 1로 주저앉았다.
1982년 9월 29일 미국 시카고에서 존슨앤존슨의 대표 상품인 캡슐형 타이레놀 ‘Extra-Strength Tylenol’ 제품에 들어간 독극물(청산가리) 때문에 사망 사고가 일어나 10월 1일까지 며칠 사이에 타이레놀을 복용한 시민 7명이 숨졌다. 사고 직후, 타이레놀의 시장점유율은 35.5%에서 7%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주가 역시 사건 발생 후 9일만에 약 29%인 23억 달러나 하락했다.
- 2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