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 : Part 2 하지.전신자세교정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 : Part 2 하지.전신자세교정

최수용 (지은이)
가온해
10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7,000원 -0% 0원
0원
10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79,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 : Part 2 하지.전신자세교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 : Part 2 하지.전신자세교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임상
· ISBN : 9791188488162
· 쪽수 : 561쪽
· 출판일 : 2023-10-23

목차

고관절의 진단과 치료

▪서론

▪해부학 구조-
전방부의 인대구조
후방부의 인대구조
대퇴경부의 각도
근육의 구조물

▪해부학적 특이성

▪연관통
1. 고관절(hip)에서 밑으로 퍼지는 방향:
2. 상위 구조물에서 고관절(hip)로 내려오는 방향:

▪임상검사
1. 수동 고관절 굴곡
2. 수동 고관절 신전
3. 수동 고관절 외전
4. 수동 고관절 내전
5. 수동 고관절 내회전
6. 수동 고관절 외회전
7. 저항 신전 검사
8. 저항 굴곡 검사
9. 저항 외전 검사
10. 저항 내전 검사
11. 저항 외회전 검사
12. 저항 내회전 검사
13. 저항 슬관절 신전
14. 저항 슬관절 굴곡
15. 보조 검사

▪임상 질환
1. 수축성 조직의 병변
◆외회전 근육(external rotator)
1) 대둔근
2) 대퇴방형근
3) 내폐쇄근, 외폐쇄근
4) 중둔근과 소둔근의 후방 섬유
5) 이상근(piriformis)
6) 봉공근(sartorius)
7)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내회전 근육들(internal rotator)
1) 중둔근과 소둔근의 전방 섬유
2) 대퇴근막장근
3) 대내전근(adductor magnus)
4) 박근
5) 반막양근, 반건양근(semi membranous, semi tendinous)
6) 치골근(pectineus)

◆고관절 굴곡근(Flexor muscle)
1) 장요근(psoas)
2) 대퇴직근(rectus femoris)
3) 대퇴근막장근
4) 장내전근, 단내전근(adductor longus/brevis)
5) 치골근
6) 박근

◆ 외전근(Abductor muscle)

◆ 신전근(Extensor muscle)
1) 대둔근
2) 슬괵근(hamstring)
3) 중둔근과 소둔근의 후방 섬유(gluteus medius/minimus)
4) 대내전근adductor magnus)
5) 이상근(piriformis)
6) 내전근
7) 박근
8) 치골근
9) 대퇴방형근
10) 외폐쇄근
11) 내폐쇄근

2. 비수축성 조직의 병변
A 관절낭패턴
1. 활액막염(transient hip synovitis)
2. 페르테스 병(Legg-calve-perthes disease)
3. 스테로이드 반응성 관절염
4. 골관절염(Osteoarthritis)
5. 류마티스 관절염

B 비관절낭패턴
1. 둔부 사인(Buttock sign)
2. 대퇴경의 스트레스성 골절
3. 박리성 골절(avulsion fracture)
4. 고관절의 유리체(loose body)
5. 장요근 점액낭염
6. 둔근 점액낭염(gluteal bursitis)
7. 대전자 점액낭염(trochanteric bursitis)
8. 좌골 점액낭염(ischial bursitis)
9. 비구 관절순 파열(acetabular labral tear)
10. 비구 이형성증(acetabular dysplasia)
11. hip pointer
12. 화골성 근염(myositis ossificans)
13. 치골염(osteitis pubis)
14. 허혈성 괴사(ischemic necrosis)
15. 대퇴골단 분리증(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3. 신경 폐색 증후군(entrapment syndrome)
1.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
2. 대퇴 외측 피신경(meralgia paresthesia)
3. 장골서혜 신경(ilioinguinal nerve)
4. 음부대퇴 신경(genitofemoral nerve)
5. 상둔피신경(superior cluneal nerve)
6. 대퇴신경 포착(femoral nerve entrapment)
7. 후피부 신경(posterior cutaneous nerve entrapment)

▪영양

슬관절의 진단과 치료
▪서론
1. 시상면상의 변화
2. 전두면상의 변화
3. 횡단면상에서의 변화
4. 대퇴경골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
5. 슬개대퇴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

▪해부학구조
내측 측부 인대
외측 측부 인대, 후외측 복합체
수축성 구조물의 병변
비수축성 구조물의 병변
신경감각 지도(neurosensory mapping)

▪임상 검사의 요점
슬개 대퇴 통증(patello femoral pain)
연령에 따른 임상 양상
무릎 통증의 단계 분류

▪임상검사
1. 수동 굴곡 검사
2. 수동 신전 검사
3. 수동 외회전 검사
4. 수동 내회전 검사
5. 수동 외반 검사
6. 수동 내반 검사
7. Lachman's/전방 견인 검사(anterior drawer test)
8. 후방 견인 검사(posterior drawer test)
9. Medial shearing test와 Lateral shearing test
10. 저항 신전 검사
11. 저항 굴곡 검사
13. 저항 내회전 검사
14. 저항 외회전 검사
15. 관절내 부종 및 활액막의 비후 검사
16. 반월판 검사: Mcmurray test, Steinmann test

▪임상질환
A 수축성 구조물의 병변
1. 대퇴사두근
2. Osgood schlatter disease
3. Sinding Larsen Johansson syndrome
4. 슬개골 지지띠(patella retinaculum)
5. 관절근(articular genus)
6. 봉공근(sartorius)
7. 슬괵근(hamstring)
8. 슬와근(popliteus)
9. 대퇴근막장근과 장경인대 증후군
10. 가자미, 비복근

B 비수축성 구조물의 병변
1. 십자인대 손상
1) 전십자 인대
2) 후십자인대

2.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
1) 내측 측부인대
2) 외측 측부인대
3. 관상인대(coronary ligament)-반월판 경골인대(menisco tibial ligament)
4. 경비골인대(upper tibiofibular ligament)
5. 반월판의 문제
6. 유리체(loose body)
7. 연골연화증(osteochondromalacia)
8. plica syndrome(추벽 증후군)
9. 베이커 낭종(baker's cyst)
10. 골관절증(osteoarthrosis)
11. 슬개골 대퇴골 관절증(patello femoral arthrosis)
12. 슬개 대퇴 지지띠(patellofemoral retinaculum)
13. 슬개전 점액낭염(prepatella bursistis)
14. 슬개후 점액낭염(retropatellar bursitis)
15. 거위족 점액낭염(pes anserine bursitis)
16. 슬개하 지방패드 증후군(hoffa fat pad syndrome)

3. 신경병증(neuropathy) 및 기타 질환
1. 복재신경(saphenous nerve)의 폐색
2. 내측 슬신경(genicular nerve)
3. 비복 신경(sural nerve)
4. 경골 신경 폐색(tibial nerve entrapment)
5. 비골 신경 폐색(peroneal nerve entrapment)
6. 족근관 터널 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7. 내측경골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shin splint)
8. 슬와 동맥 폐색(popliteus artery entrapment)
9. 경골, 비골의 스트레스성 골절(stress fracture of tibia, fibula)
10. 지간신경(interdigital nerve)
11. 만성 분획 증후군(chronic exertional compartment syndrome)

▪자세와 연관된 운동 사슬(postural kinetic chain)

▪영양학적 접근

발의 진단과 치료

▪서론

▪해부학적 구조
전족부(forefoot)
경비골 관절
경비골-거골 관절
거골하관절
중족근관절
족근중족관절(tarsometatarsal joint)
중족지절 관절
지절관절
족저건막
네 개의 해부학적 구획(four anatomical compartment)

▪하지와 발의 임상 검사
1. 병력(history)
2. 임상 검사
1) 능동 검사
2) 수동검사
족저/족배 굴곡 검사
내반 검사(inversion)
외반검사(eversion)
Mortise test
거골하관절(거골-종골 관절)의 내반 검사
거골하관절의 외반 검사
중족골관절 검사(mid tarsal joint test)
3) 저항검사
저항 족배굴곡
저항 족저굴곡
저항 내반검사
저항 외반 검사
4) 보조검사-전방 견인 검사(anterior drawer test)

▪임상 질환
1. 족지 신전근의 건초염(tenosynovitis of the toe extensor)
2. 전경골근의 근활막염(myosynovitis of the tibialis anterior)
3. 전방구획 증후군(anterior compartment syndrome)
4. 테니스 레그(tennis leg): 비복근의 미세한 파열(mini-rupture of the gastrocnemius muscle)
5. 족저근
6. 아킬레스 건염(achilles tendinitis)
7. 아킬레스건 파열(achilles tendon rupture)
8. 장지굴근
9. 전경골근
10. 후경골근
11. 장지신근
12. 비골근 건염(peroneal tendinitis)
13. 발목 염좌(Ankle Sprain): 인대의 손상

족관절(the ankle joint)
-족관절의 관절낭 패턴을 일으키는 질환
-족관절의 비관절낭 패턴의 질환

거골하 관절(the subtalar joint)
-거골하 관절의 관절낭 패턴의 질환
-거골하 관절의 비관절낭 패턴의 질환

중족근골 관절(the mid tarsal joint)
-중족근골의 관절낭 패턴 질환
-중족근골의 비관절낭 패턴 질환

전족부 질환(the forefoot disorder)
1. 행진 골절(march fracture)
2. 벌어진 발(splay foot)
3. 1th 중족지절 관절(1st metatarsophalangeal joint)의 문제
1st 중족지절 관절의 관절낭 패턴(capsular pattern)
1st 중족지절 관절의 비관절낭 패턴(non capsular pattern)

4. 2지-5지 중족지관절(2nd-5th metatarsophalangeal joint)
관절낭 패턴(capsular pattern)
비관절낭 패턴(non capsular pattern)

5. 모지외반증(hallux valgus)
6. 족저건막염(plantar fasciitis)
7. 힐 패드 증후군(heel pad syndrome)
8. 족근관 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9. 전방 족근관 증후군(anterior tarsal tunnel syndrome)

Holistic web-자세 교정 치료

▪서론
이상적 자세
다양한 자세 유형
자세 긴장과 스트레스(Postural Stress)
신경학적 부조화
교차 보행 패턴
동측 보행 패턴
신경학적 발달 과정
두부 전방전위 자세
척추신전근 약화 패턴(Spinal Extensor Muscle Weakness Pattern)
인체를 보는 관점
운동 사슬 기능 부전(kinetic chain dysfunction)
Logan Basic에서 보는 관점
자세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
근육 불균형 자세 패턴
사지의 이상

▪발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거골하 관절과 하지의 역학구조(subtalar joint and lower limb biomechanics)
보행주기와 동작
발의 충격흡수
정상 종골 지표(normal calcaneal index)
AK에서의 보행검사(Gait Testing)
보행시의 정상적인 억제 반응(Gait Inhibition)
보행근육
보행주기간 근육의 활성
보폭
발의 영향력이 전체에 미치는 기전(ascending mechanism)
열린 운동 사슬/닫힌 운동 사슬(open kinetic chain/closed kinetic chain)
발의 과회내의 원인(hyperpronation)
과소 회내의 문제점(hypopronation)
orthotics의 종류
중족골 패드(metadome pad)
발의 변형(foot deformity)
1. 후족부 내반 변형(rearfoot varus deformity)
2. 전족부 내반 변형(forefoot varus deformity)
3. 후족부 외반 변형(rear foot valgus)
4. 전족부 외반 변형(fore foot valgus)
5. Morton's foot
6. 제1 중족골열의 과다운동성(hypermobile 1st ray)
7. 족저건막염(plantar fascitis)
8. 몰톤 신경종(Morton's neuroma)
9. 모지외반증(hallux valgus)
10. club foot

발의 관찰로 알 수 있는 단서들
하지의 바이오메카닉의 문제시 발생하는 증상
하지의 불균형(장단족, 과회내의 문제 포함)에 대한 검사와 평가

▪T.M.J 를 통한 인체 구조의 이해

TMJ 의 편위 동작
턱이 닫힌 상태에서 잠김(closed lock)
턱이 벌어진 상태에서 잠김(open lock)
입을 벌릴 때 나는 소리(opening click)
TMJ 의 움직임에 대한 정리
측두하악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측두하악관절의 움직임 근육
1. 측두근(Temporalis)
2. 교근(Masseter)
3. 내익상근(Internal Pterygoid)
4. 외익상근(external pterygoid)

측두하악관절의 움직임
측두골의 내회전/외회전
측두하악관절의 인대
측두하악관절의 검사
설골(Hyoid)과 주변의 근육
1. 견갑설골근(Omohyoid)
2. 흉골설골근(Sternohyoid)
3. 갑상설골근(Thyrohyoid)
4. 경상설골근(Stylohyoid)
5. 이복근(Digastric)
6. 이설골근(Geniohyoid)
7. 이설근(Genioglossus)
8. 악설골근(Mylohyoid)
9. 설골설근(Hyoglossus)

설골의 운동학적 기능(Kinesiological Fucntion of Hyoid)

▪두개골이나 하악관절에서 아래로 영향을 미치는 기전(descending mechanism)-
SOT에서 보는 안면 망진(Facial Contortions of TMJ Fault)
동작 촉진(Manual and Palpatory Abnormalities)
두개천골의 움직임(cranio sacral movement: respiration)

▪TMJ: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접근(holistic approach)-
TMJ 위치에 대한 개념(position)
구강 호흡은 보통 과호흡 증후군을 만든다.(hyperventilation syndrome)
혀의 위치(Tongue Position)
스트레스의 유발인자(stress trigger)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증상 패턴들
호흡에 관여하는 늑골의 구조
흡기를 하는 동안의 근골격계 움직임
두개골 하악 관절의 문제 발생 원인
스프린트(splint) 요법의 효과
상악과 하악사이의 수직고경(vertical height)이 낮아진 원인
Pitch, Roll, Yaw, Tilt(P.R.Y.T.)
편위된 자세로의 안구 편향-eye in to distortion(EID)
체중부하시의 저작 움직임
구강하악 시스템-닫힌 운동 사슬(stomatognathic system- closed kinetic muscle chain)
치조인대(periodontal ligament)
치아와 근육간의 상관성(teeth related to muscles)
환자에 대한 평가
TMJ 불균형의 치료

▪전체적인 체형의 분석과 진단, 치료(Reading the body)-
PRI(posturel restoration technique)에서 보는 일반적인 패턴
일반적인 자세 패턴의 부위별 분석
이상적인 호흡
일반적 자세 패턴에 대한 검사
간단한 대뇌 기능의 편차(hemishericity) 결정 방법
안면의 골상과 특징을 통한 두개골 진단(reading the face)

▪측만증(Scoliosis)-
특발성 측만증(idiopathic scoliosis)
측만증의 전체적인 분류
측만증의 치료

▪통증의 위치와 임상적 의미-

저자소개

최수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졸업 경희대학원 침구학과 석사 경희대학원 동서의학대학원 박사 대한 응용근신경학회 부회장 응용근신경학 국제공인강사(DIBAK, BCT) 기능신경학 과정수료 IBCMT(International Board of Clinical Metal Toxicology)과정 수료 및 인증 백산한의원 근무 춘원당한의원 근무 現 최수용한의원 원장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책 번역 <피부 운동학> 책 번역 저서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1: 상지, 총론>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2: 하지, 전신 자세패턴> <한의사를 위한 통증치료 매뉴얼3: 척추, 기능신경학>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