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당뇨병
· ISBN : 979118854474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1-08-30
책 소개
목차
당뇨병 자가검진 체크 리스트
머리말
제1장. 당뇨병의 원인은 ‘영양 불균형’이다
당뇨보다 무서운 것은 합병증이다
약에 의존할수록 회복이 어렵다
당뇨병은 영양이 부족해 생기는 증상이다
∙당뇨병을 다스리는 열쇠, 영양소
∙3대 영양소와 비타민·미네랄의 균형이 깨지는 순간 병이 생긴다
∙비타민·미네랄이 부족하면 운동 효과도 줄어든다
체형을 기준으로 치료의 방향을 잡는다
혈액검사 결과를 보면 보충해야 할 영양소가 보인다
저체온도 영양 부족이 원인이다
갱년기 여성은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 Q&A 당뇨병에 대한 궁금증들
제2장. 간이 건강하면 당뇨병도 예방된다
술을 마시고 나면 라면이 당기는 이유
저혈당은 뇌에 치명적이다
∙간의 저장 기능이 혈당을 좌우한다
지방간이 고혈당을 부른다
∙‘공복’이야말로 당뇨병 치료의 기본 조건이다
내장지방은 혈당도 혈압도 높인다
영양소 배달꾼 ‘알부민’을 사수하라
약의 양을 늘리면 간 기능이 떨어진다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긴장하면 간이 지친다
간이 보내는 SOS, 무시했다간 큰일 난다
제3장. 비타민·미네랄, 특히 ‘아연’은 꼭 챙겨라
아연과 인슐린, 혈당의 삼각관계
∙아연이 인슐린을 돕고, 인슐린은 혈당을 낮춘다
∙아연이 부족하면 VS. 아연을 보충하면
합병증, 아연이 막을 수 있다
∙눈
∙신장
∙근육
∙뼈
∙골수
활성산소 제거에도 아연이 꼭 필요하다
아연이 부족해서 생기는 증상과 질병들
∙빈혈
∙알츠하이머성 치매(인지증)
∙지속적인 스트레스
∙골다공증, 입꼬리염, 손톱 변형, 거친 피부, 건조한 모발
∙식욕 부진, 미각 이상
∙암
아연을 효과적으로 보충하는 방법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아연 이외의 비타민·미네랄들
∙셀렌
∙크롬
∙비타민B1
∙비타민B6
∙마그네슘
∙망간·구리·철
∙단백질
제4장. 이렇게나 잘 먹는데 아연 결핍이라니…
식품 속 영양소가 줄어들었다
소중한 아연이 소변으로 배설되고 있다
∙조리법을 바꾸자
∙가공식품도 주의하자
∙약 복용에 신중하자
∙채식주의가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칼슘을 단독으로 보충하면 아연이 부족해진다
이런 생활습관은 아연을 필요 이상으로 써버린다
∙눈을 혹사하거나 밤을 새우는 습관
∙과한 음주 습관
∙흡연 습관
∙과도한 운동과 상처, 그리고 임신
간 질환, 우울증, 신장병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환경이 질병을 부른다
지금 당장 아연 보충이 필요한 사람들
∙마른 체형의 여성 당뇨병 환자
∙비만이 해소되지 않는 환자
∙고지혈증 환자
체질에 따라 아연 필요량이 다르다
제5장. 혈당 다이어트로 당뇨병을 잡는다!
당신은 과다형인가, 부족형인가?
∙‘과다형’을 위한 식사요법
∙‘과다형’을 위한 운동요법
∙‘부족형’을 위한 식사요법·운동요법
씹는 횟수만 늘려도 혈당이 내려간다
양치질은 가장 손쉬운 혈당 다이어트법
체중 변화는 당뇨의 적신호다
체중일기로 나쁜 생활습관을 고치자
∙일주일 혹은 한 달 단위로 체중일기를 쓴다
∙체지방·체성분 측정으로 혈당다이어트의 효과를 파악한다
∙근육의 양을 늘리면 혈당이 조절된다
혈당계를 이용할 때 주의할 점
먹은 만큼 운동하면 혈당 다이어트에 실패한다
당뇨약의 장단점을 바로 알자
∙당 흡수 조절제(식후 혈당 개선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인크레틴(incretin) 관련 약
∙인슐린 주사
∙간에서의 당 방출을 억제하는 약
∙인슐린저항성 개선제
● Q&A 운동을 하면 왜 혈당이 떨어질까?
맺음말
옮긴이의 글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