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5 재난ㆍ재해ㆍ안전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정책 방향

2025 재난ㆍ재해ㆍ안전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정책 방향

KIB(케이아이비) 편집부 (지은이)
KIB(케이아이비)
3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0원 -0% 0원
19,000원
361,000원 >
380,000원 -0% 0원
0원
38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5 재난ㆍ재해ㆍ안전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정책 방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5 재난ㆍ재해ㆍ안전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정책 방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8859369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4-10-07

목차

Ⅰ. 재난/안전 관련 시장 현황 및 기술 동향 17
1. 재난/안전 개요 17
1-1. 개념 17
1) 정의 17
2) 필요성/시급성 18
1-2. 구축 범위 20
1) 산업특징 및 구조 20
2) 대표적 분류 기준 21
3) 기술로드맵 전략 분야 특정 23
2. 재난/안전 환경 분석 25
2-1. 정책 동향 25
1) 미국 25
2) 유럽 26
3) 일본 27
4) 중국 29
5) 국내 29
2-2.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33
1) 국내 산업 여건 33
2) 시장 규모 및 전망 37
3) 주요 업체 동향 39
2-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48
1) 기술개발 동향 48
2) 표준화(규제) 동향 50
2-4. 환경 분석 종합 52
3. 품목 로드맵 55
1) 전략 품목 선정 55
2) 전략 품목 로드맵 구축 57
Ⅱ. 재난/안전 전략 품목 분석 61
1.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61
1-1.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개요 61
1) 정의 및 필요성 61
2) 범위 및 분류 64
1-2.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환경 분석 67
1) 시장 현황 및 전망 67
2) 기술개발 동향 70
1-3.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특허 분석 80
2.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84
2-1.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84
1) 정의 및 필요성 84
2) 범위 및 분류 86
2-2.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환경 분석 90
1) 시장 현황 및 전망 90
2) 기술개발 동향 92
2-3.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특허 분석 99
3. 건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103
3-1. 건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103
1) 정의 및 필요성 103
2) 범위 및 분류 105
3-2. 건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환경 분석 107
1) 시장 현황 및 전망 107
2) 기술개발 동향 109
3-3. 건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특허 분석 122
4.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126
4-1.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126
1) 정의 및 필요성 126
2) 범위 및 분류 127
4-2.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환경 분석 130
1) 시장 현황 및 전망 130
2) 기술개발 동향 135
4-3.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특허 분석 143
5.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147
5-1.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개요 147
1) 정의 및 필요성 147
2) 범위 및 분류 150
5-2.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환경 분석 152
1) 시장 현황 및 전망 152
2) 기술개발 동향 154
5-3.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특허 분석 165
Ⅲ. 2022 재해 통계 및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사례와
도입 방안 171
1. 2022 재해 연보(자연 재난) 171
1) 2022년 전 세계 자연재해 현황 171
2) 2022년 국내 자연재해 현황 189
3) 2022년 복구계획 수립 현황 224
2.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선진사례 조사 및 도입 방안 연구 249
2-1. 서론 24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49
2) 연구의 범위 251
3) 연구 방법 및 절차 252
2-2.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변천사 조사ㆍ분석 253
1) 재해구호 법령 변천 253
2) 재해구호 제도 변천 276
3) 재해구호 관련 과학기술 정책 및 현장 적용 사례 330
2-3. 주요 국가별 재해구호 법ㆍ제도ㆍ조직 현황 조사ㆍ분석 334
1) 국가별 재해구호 현황 조사 및 분석 334
2)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의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비교ㆍ분석
368
2-4. 재난환경 변화 분석 및 미래 재해구호 정책ㆍ기술개발
방향 375
1) 재난환경 변화 조사ㆍ분석 375
2) 미래 재해구호 정책ㆍ기술개발 동향 385
2-5. 과거ㆍ현재 재해구호 관계자 대상 재해구호 인식 조사 390
1) 재해구호 인식 조사 개요 390
2) 인터뷰 결과 391
3) 시사점 394
2-6. 결론 397

Ⅰ. 재난/안전 관련 시장 현황 및 기술 동향
표목차
17
<표1-1> 재난/안전 분야 가치사슬 20
<표1-2> 재난/안전 기술 구분 21
<표1-3> 재난/안전 로드맵 전략 분야의 범위 24
<표1-4>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비전 및 목표 30
<표1-5>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_미래 위험 대응 및 안전 사회
구현 31
<표1-6>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 여부 및 수출액 34
<표1-7>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 형태 35
<표1-8>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국별 수출액 36
<표1-9>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 경로 37
<표1-10> 세계 재난 대비 시장 규모 및 전망 38
<표1-11> 국내 재난/안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9
<표1-12> 「재난/안전」 환경 분석 종합 54
<표1-13> 「재난/안전」 전략 품목 56
Ⅱ. 재난/안전 전략 품목 분석 61
<표2-1>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품목 산업구조 65
<표2-2> 재난/안전 교육 방법에 따른 분류 65
<표2-3> 재난 형태에 따른 교육 컨텐츠 분류 66
<표2-4>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개요 67
<표2-5> 세계 재난 대비 컨설팅 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69
<표2-6> 국내 재난 관련 교육ㆍ상담ㆍ컨설팅업 70
<표2-7>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주요 연구조직 현황 78
<표2-8>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79
<표2-9>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과 헬스케어시스템의
유사 개념 비교 84
<표2-10>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품목 산업구조 87
<표2-11> 재난/안전사고 및 대응 범위 89
<표2-12> 세계 개인용 안전 및 보안 장비 시장 규모 및 전망 91
<표2-13> 국내 개인용 안전 및 보안 장비 시장 규모 및 전망 92
<표2-14>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97
<표2-15>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98
<표2-16> 산업용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품목 산업구조 105
<표2-17> 용도별 분류 106
<표2-18> 건설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108
<표2-19> 국내 건설 현장 모니터링 시장 규모 및 전망 108
<표2-20>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형 111
<표2-21> 건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주요
연구조직 현황 120
<표2-22>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121
<표2-23> 유해 물질 원격 모니터 128
<표2-24> 용도별 분류 129
<표2-25> 글로벌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장 및 전망 134
<표2-26> 가스 센서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134
<표2-27> 유해 물질 모니터링 주요 연구조직 현황 141
<표2-28>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142
<표2-29>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품목 산업구조 150
<표2-30>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용도별 분류 151
<표2-31> 홍수 대비 차수벽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153
<표2-32> 풍수해 관련 자연 재난 예방 산업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153
<표2-33>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164
Ⅲ. 2022 재해 통계 및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사례와
도입 방안 171
<표3-1> 2022년 태풍 발생 현황(괄호 안 숫자: 발생 월 기준,
우리나라 영향 태풍 수, 개) 201
<표3-2> 최근 5년간 폭염 인명피해 현황 204
<표3-3> 2022년도 지역별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 현황 및
재난지원금 지원 현황 204
<표3-4> 2021년도 지역별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 현황 및
재난지원금 지원 현황 205
<표3-5> 2022년도 국내 지진 및 연평균 횟수 206
<표3-6> 2022년 지진 발생 현황(규모 2.0 이상) 206
<표3-7> 진도 등급별 현상 206
<표3-8> 최근 10년간 연도별 최대 규모 지진 발생 현황 207
<표3-9> 국고지원 시ㆍ군ㆍ구 피해 현황 222
<표3-10> 2022년 지자체별 기준(최근 3년간 평균 재정력 지수) 224
<표3-11> 피해지역 기상관측 결과(8.8.~8.17.) 225
<표3-12> 과거 유사 호우피해 비교 225
<표3-13> 지역별 현황 227
<표3-14> 시설별 현황 228
<표3-15> 부처별 복구비 229
<표3-16> 부처별ㆍ시설별 현황(1) 230
<표3-17> 부처별ㆍ시설별 현황(2) 231
<표3-18> 피해지역 기상관측 결과(9.3.~7.) 233
<표3-19> 9.5. 18시~9.6. 09시 포항지역 강우량 빈도 234
<표3-20> 지역별 현황 235
<표3-21> 시설별 현황 236
<표3-22> 시도별 현황 237
<표3-23> 특별재난지역 현황 238
<표3-24> 부처별 현황 239
<표3-25> 부처별ㆍ시설별 현황(1) 240
<표3-26> 부처별ㆍ시설별 현황(2) 241
<표3-27> 적설량 243
<표3-28> 기상특보 243
<표3-29> 지역별 현황 245
<표3-30> 시설별 현황 245
<표3-31> 시도별 현황 246
<표3-32> 부처별 현황 246
<표3-33> 특별재난지역 현황 247
<표3-34> 재해구호 법령 변천 조사 범위 253
<표3-35> 재해구호법 개정 연혁(1) 257
<표3-36> 재해구호법 개정 연혁(2) 258
<표3-37> 재해구호법 주요 변천(1) 260
<표3-38> 재해구호법 주요 변천(2) 261
<표3-39> 재난관리법 개정 연혁 269
<표3-40> 재해구호 제도 변천 조사 범위(1) 277
<표3-41> 재해구호 제도 변천 조사 범위(2) 278
<표3-42> 재해구호 물자 지급 대상(재해구호법 제2조 2020.7) 279
<표3-43> 재해구호 물자 지급 기준 변천 279
<표3-44> 재해구호물자 세트 개선(2011년) 281
<표3-45> 응급구호 세트(재해구호법 시행규칙(2021.9.7.)) : 1인
기준 구성품 282
<표3-46> 취사 구호 세트(재해구호법 시행규칙(2021.9.7.)) : 1세대
4인 기준 구성품 282
<표3-47> 민간 구호물자 종류(2022년) 283
<표3-48> 1960년대 의연금품 모금 활동(1961~1969년) 296
<표3-49> 의연금품 모집 허가 절차 298
<표3-50> 의연금의 모집 비용 충당 비율(2007년 이후) 299
<표3-51> 의연금품 관리ㆍ운용 규정 등에 의한 의연금품의 사용
용도 변천 (1) 301
<표3-52> 의연금품 관리ㆍ운용 규정 등에 의한 의연금품의 사용
용도 변천 (2) 302
<표3-53> 의연금품 관리ㆍ운용 규정에 의한 구호금 지급 기준
변천 305
<표3-54> 의연금품에 대한 초과 보유 특별지원금 지급 기준
변천 306
<표3-55> 기부금품법 적용 대상 변천(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310
<표3-56> 기부금품 모집등록 대상 사업의 변천 313
<표3-57> 기부금품의 모집 비용 충당 비율(2006년 이후) 318
<표3-58> 심리 회복지원센터의 활동 단계 324
<표3-59> 스태포드법 체계 및 세부 내용(2022년) 335
<표3-60> 포스트-카트리나 위기관리 개혁법 체계 및 세부 내용
337
<표3-61> FEMA의 주요부서 및 주요 업무 341
<표3-62>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지역청 현황(2022년) 342
<표3-63> 미국 예산 부문별 재량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출
전망(2022년) 345
<표3-64> 임시주거시설 유형 분류 346
<표3-65> 미국의 구호 물품(임시대피소 배치 및 연방재난관리청
제공) 목록 347
<표3-66> 미국의 임시대피소 시설 장비 및 유아대비 품목 목록 348
<표3-67> 연방재난관리청의 비상 지원기능: 미국적십자사의
재해구호 지원 활동 350
<표3-68> 개인 및 가정지원 프로그램(IHP) 중 거주시설 지원
내용 352
<표3-69> 개인 및 가정지원 프로그램(IHP) 중 기타 필요 지원
(ONA) 내용 353
<표3-70> 일본의 경제 및 생활 지원 세부 사항 362
<표3-71> 국가재난관리법 체계 및 세부 내용(2022년) 363
<표3-72> 영국의 재난관리 조직체계 366
<표3-73> 인터뷰 대상자 특성별 질문 항목 390
<표3-74> 재해구호 관계자 및 재해 피해자 인터뷰 대상 390

그림목차

Ⅰ. 재난/안전 관련 시장 현황 및 기술 동향 17
<그림1-1> 산업안전 분야 안전관리 시스템 예시 19
<그림1-2> 재난/안전 분야 안전관리 시스템 예시 19
<그림1-3> 중대 재해 감축 로드맵의 중대 재해 감축 추진 방향 32
<그림1-4>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 여부 33
<그림1-5> 재난/안전산업 업종별 수출액 34
<그림1-6>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 형태 35
<그림1-7> 재난/안전산업 업종별, 수출국별 수출액 36
<그림1-8> 재난/안전산업 업종별 수출 경로 37
<그림1-9> Immerse사의 맞춤형 트레이닝 솔루션 42
<그림1-10> 현대건설의 현장 CCTV 영상 분석 시스템 화면 44
<그림1-11> 중소기업 전략기술 로드맵 「재난/안전」 품목
로드맵 58
Ⅱ. 재난/안전 전략 품목 분석 61
<그림2-1> 재난/안전 분야 품목 로드맵 내 재난/안전 교육ㆍ훈련
컨텐츠 62
<그림2-2> Street Smarts VR과 SENAR의 기중기 낙하사고
재현 74
<그림2-3> NIOSH의 트랙터 운전 재현과 iManufacturing의 AR
기능 74
<그림2-4> 봉구야 말해줘 시즌 3 76
<그림2-5> 스코넥엔터테인먼트의 화재 진압 교육 컨텐츠 77
<그림2-6> 연도별ㆍ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80
<그림2-7> 기술수명주기 분석 81
<그림2-8> TCT 분석 82
<그림2-9> 재난/안전 분야 품목 로드맵 내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85
<그림2-10> 대한민국 고령화 추이(좌), 1인 가구 비중 증가
추이(우) 90
<그림2-11>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데이터 정보보안 기술 94
<그림2-12> 재난 안전 통신망 연계 전환 체계 기술 95
<그림2-13> 연도별ㆍ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99
<그림2-14> 기술수명주기 분석 100
<그림2-15> TCT 분석 101
<그림2-16> 재난/안전 분야 품목 로드맵 내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103
<그림2-17> 업종별ㆍ발생 형태별 사고사망자(2022년 기준) 104
<그림2-18> 밀폐공간 작업 안전 교육 시뮬레이션 110
<그림2-19> 웨어러블 의료 디바이스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간섭
개념도 113
<그림2-20> 통합 스마트 자동 계측 모니터링 플랫폼 개념도 114
<그림2-21> 플레어, 제강용 레이들, 과부하 퓨즈의 열화상
이미지 116
<그림2-22> AI-safeguard 통합 대시보드 화면 118
<그림2-23> 산업안전 솔루션 모니터링 예시 119
<그림2-24> 연도별ㆍ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122
<그림2-25> 기술수명주기 분석 123
<그림2-26> TCT 분석 125
<그림2-27> 재난/안전 분야 품목 로드맵 내 유해 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126
<그림2-28> MEMS 시장 규모 및 전망 133
<그림2-29> City Technology의 Catalytic bead 센서(좌) 및
Figaro Engineering의 halocarbon 전기ㆍ화학식
센서(우) 137
<그림2-30> ams의 VOC 검출용 MEMS 센서(좌), Membrapor의
SiH4 가스 센서(중), Alphasense의 질소 가스 센서
(우) 138
<그림2-31> 연도별ㆍ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143
<그림2-32> 기술수명주기 분석 144
<그림2-33> TCT 분석 146
<그림2-34> 차수막 설치 전경 147
<그림2-35> 재난/안전 분야 품목 로드맵 내 침수 예방 무동력
자동 차수 시스템 148
<그림2-36> SCFB 구조 155
<그림2-37> AquoBex/FloodBreak AquaFragma and FloodBreak
제품 사진 156
<그림2-38> IBS Flood Barrier System 156
<그림2-39> A+A Flood Barrier System 157
<그림2-40> Hydro Guard 및 적용 사례 157
<그림2-41> Aqua Fence Flood Protection 및 적용 사례 158
<그림2-42> Beaver / Geoline사 제품 및 활용 158
<그림2-43> Geo design barriers사 제품 및 활용 159
<그림2-44> Aquatic Control Engineer사 제품 및 활용 160
<그림2-45> LIXIL SUZUKI 사의 주력 차수판 유형별 사진 161
<그림2-46> NOAQ Flood Protection AB 사의 주력 제품 사진 162
<그림2-47> SHIBATA 공업 주식회사의 RISCON Tokyo에서의
워터 쉴드 클리어 제품 시연 모습 163
<그림2-48> 바닥 수납형 해안해일 대책용 방수문의 작동 설명도
163
<그림2-49> Lintec21 주식회사의 RISCON Tokyo 2017
참가 제품 164
<그림2-50> 연도별ㆍ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165
<그림2-51> 기술수명주기 분석 166
<그림2-52> TCT 분석 168
Ⅲ. 2022 재해 통계 및 재해구호 정책ㆍ기술 사례와
도입 방안 171
<그림3-1> 2022년 전 지구 기온 평년(1991~2020) 편차 분포 172
<그림3-2> 2022년 10~12월 전 지구 해수면 온도 평년(1991~2020)
편차 분포(ERSSTv5) 172
<그림3-3> 바렌츠-카라해의 해빙 면적이 적은 경우, 동아시아
지역 한파 영향 모식도 173
<그림3-4> 1967~2022년 10월 북반구 및 유라시아 대륙 눈 덮인
면적 시계열 174
<그림3-5> 1967~2022년 10월과 11월 유라시아 대륙 눈 덮인
면적 시계열 174
<그림3-6> 2022년 전 세계 이상기후 발생으로 인한 피해 사례 175
<그림3-7> 7월 10일~16일 유럽 고온 발생 현황 177
<그림3-8> 7월 초 주 평균 500hpa 지위고도 편차장 178
<그림3-9> 2022년 12월 20~26일 평균 지상 기온 편차장 180
<그림3-10> 전 지구 및 북극 지역 평균기온 편차 시계열 181
<그림3-11> 2022년 3~4월 평균(좌) 최고기온, (우) 편차 (기후 값:
1981~2010) 182
<그림3-12> 2022년 6월 15일~9월 1일에 내린 총 누적 강수량
분포도 183
<그림3-13> 2022년 6월 강수 편차 분포도 186
<그림3-14> 2022년 6월 평균 지상 바람 편차 분포도 187
<그림3-15> 2022년 2월 24일~3월 2일 누적 강수량 분포도 188
<그림3-16> 2022년 2월 24일~3월 2일 주 평균 해면기압 편차
분포도 189
<그림3-17> 2022년 우리나라 이상기후 발생으로 인한 피해 사례
190
<그림3-18> (위) 4월 최고기온 평년 편차 일별 시계열,
(왼쪽 아래) 4월 평균기온과 평년 편차, (오른쪽 아래)
4월 9일~12일 최고기온(℃) 분포도 191
<그림3-19> 4월 고온 관련 모식도 192
<그림3-20> 6월 하순 고온 관련 모식도 193
<그림3-21> 11월 고온 관련 모식도 195
<그림3-22> 2월 강추위 관련 모식도 196
<그림3-23> 12월 한파 관련 모식도 198
<그림3-24> 2022년 8월 8일~11일 중부지방 폭우 관련 모식도 199
<그림3-25> 2022년 봄철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왼), 여름철
중부지방 폭우 기압계(오) 모식도 201
<그림3-26> 8월 31일~9월 1일 해수면 온도 및 북태평양고기압
위치 203
<그림3-27> 2022년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경로도
203
<그림3-28> 충북 괴산 지진 진도 및 최대 지반가속도(PGA)
분포도 207
<그림3-29> 2022년 지진 발생 분포도(규모 2.0 이상) 208
<그림3-30> 2022년 강수량 분포도(연 강수량, 1~12월) 217
<그림3-31> 2022년 1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2월 강수량
분포도(우) 218
<그림3-32> 2022년 3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4월 강수량
분포도(우) 218
<그림3-33> 2022년 5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6월 강수량
분포도(우) 219
<그림3-34> 2022년 7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8월 강수량
분포도(우) 219
<그림3-35> 2022년 9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10월 강수량
분포도(우) 220
<그림3-36> 2022년 11월 강수량 분포도(좌), 2022년 12월 강수량
분포도(우) 220
<그림3-37> 2022년 국고지원 및 특별재난지역 시ㆍ군ㆍ구 현황
223
<그림3-38> 시설별 주요 피해 사진 226
<그림3-39> 시설별 주요 피해 사진 235
<그림3-40> 연구 방법 및 절차 도식도 252
<그림3-41> 2022년 응급구호 세트(남성용과 여성용) 283
<그림3-42> 포항지진 발생 시 마련된 임시주거시설 288
<그림3-43> 임시주거시설 안내표지판 예시(임시주거시설
안내표지판 설치 기준) 289
<그림3-44> 임시 주거용 조립주택 변화 과정 293
<그림3-45> 시간적ㆍ공간적 범위에 따른 사회재난 유형 및 예시
317
<그림3-46> 중앙재난심리회복지원단의 역할 321
<그림3-47> 주요 심리상담 활동 322
<그림3-48> 재난 심리 회복지원 영역 및 정신 건강 서비스
영역 323
<그림3-49> 재난 심리 회복지원센터 운영체계 324
<그림3-50> 포항지진 발생 시 의료지원반 운영 328
<그림3-51> 양천구 침수 피해를 줄인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모습 333
<그림3-52> 국토안보부(DHS)의 조직도(2022년 기준) 340
<그림3-53> 일본 방재조직의 운영체제 35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