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재활의학
· ISBN : 9791188731879
· 쪽수 : 289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이론과 실기 사이의 간격 좁히기
제2장 우리는 평가한 것만 치료한다: 지식-기반 평가의 중요성
1. 평가의 원리
2. 편마비 상지 평가하기
3. 신경학적 환자군의 균형 평가하기
4. 결론
제3장 유아의 운동 수행 측정을 위한 연구
1. 평가의 원리
2. 가역성, 중재와 측정
3. 유아의 운동 수행에 효과적인 측정 방법의 기원
4. TIMP 항목의 발달: 구성과 구성 타당도
5. TIMP의 예측 타당도
6. 임상에서의 적용
7. 과학적인 검사에 기초한 재활 이론들
8. 감사의 글
제4장 뇌졸중 후 근수행력
1. 평가의 원리
2. 근력
3. 대항근의 협력수축
4. 비정상적 근긴장
5. 근긴장 증가의 비신경성 요소
6. 수의적 근활성도
7. 파워 발생
8. 수행력과 기능 사이의 관계
9. 근력훈련
10. 결론
제5장 뇌졸중 후 운동 손상이 신체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점의 변화
1. 양성 손상
2. 음성 손상
3. 결론
제6장 신장에 대한 근육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1. 탄력적 반응
2. 점성 반응
3. 적응적인 반응
4. 임상 연구
5. 요약
제7장 뇌졸중 후 심혈관계 적합성
1. 심혈관계 적합성을 감소시키는 요인들
2. 뇌졸중 후 심혈관계 적합성의 수준
3. 심혈관계 적합성 훈련의 의의
4. 심혈관계 운동 처방과 계획
5. 운동을 통한 심혈관계 훈련을 위한 앞으로의 방향
6. 결론
7. 감사의 글
제8장 뇌졸중 후 보행훈련: 생체역학적 관점
1. 보행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2. 뇌졸중 환자에서 보행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3. 뇌졸중 환자를 위한 보행훈련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4. 디딤기 동안 훈련에 대한 질문
5. 흔듦기 동안 보행훈련에 대한 질문
6. 이중디딤기 동안 보행훈련에 대한 질문
7. 결론
제9장 뇌졸중 후 보행 평가 및 훈련: 개념 변화
1. 과제지향적 보행훈련
2. 연습 시간을 늘리기 위한 촉진 훈련
3. 과제지향적 보행훈련
4. 보행 능력 평가의 필요성
5. 요약
6. 감사의 글
제10장 파킨슨 질환에서 손상, 활동 제한 그리고 참여 제약을
최소화시키는 전략
1. 신체 구조와 기능의 장애
2. 일상생활동작에서의 제한
3. 사회적 역할의 참여 제한
4. 장애의 치료
5. 활동제한의 치료
6. 참여 제약의 치료
7. 다분야 재활접근
8. 결론
9. 감사의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