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율주행차·친환경자동차 핵심기술 및 시스템별 산업동향과 차세대 기술개발 전략

자율주행차·친환경자동차 핵심기술 및 시스템별 산업동향과 차세대 기술개발 전략

TF정보분석실 (지은이)
트렌드포커스
4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8,000원 -10% 0원
21,000원
357,000원 >
399,000원 -5% 0원
0원
39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율주행차·친환경자동차 핵심기술 및 시스템별 산업동향과 차세대 기술개발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율주행차·친환경자동차 핵심기술 및 시스템별 산업동향과 차세대 기술개발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88774241
· 쪽수 : 945쪽
· 출판일 : 2025-08-07

책 소개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 분야의 핵심기술 등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공학 전문서다. 자율주행 알고리즘·인지센서·데이터 처리·보안 시스템부터 시작하여,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전력변환·열관리·충전 인프라등 각 기술 분야를 세분화하고, 최신 개발 동향과 산업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목차

I편 자율주행차
1장. 자율주행차 산업 현황
1. 개요
1) 일반적 개념
(1) 개념
(2)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1) 대표적 분류기준
(2)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 동향
(1) 주요국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EU
라.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2)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1) 산업특징 및 구조
(2) 국내 산업생태계
(3)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4) 주요 업체 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1) 기술개발 동향
(2) 정부 R&D 투자동향2)
가. 지원 현황 일반
나. 중소기업 지원 현황
(a) 주요 부처별 지원현황
(b) R&D 단계별 지원현황
(c) 연구 분야별 지원현황
(d) 적용 분야별 지원현황
(3)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1)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2) 중소기업 대응전략
3. 품목 로드맵
1) 품목 후보군 도출 및 선정
(1) 품목 후보군 도출
(2) 전략품목 선정
(3)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장. 자율주행차 품목별 산업 현황
1. 자율주행 알고리즘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2. 자율주행 데이터 처리 솔루션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자율 협력 주행 솔루션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센서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자율주행 개발장비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6.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장.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동향
1. 베터리 시스템
1) AGI 기반 차세대 자율주행자의 기술적 가능성과 도전 과제
(1) 서론
(2) 자율주행차의 기술적 배경과 한계
가. 자율주행차 기술의 진화 배경
나. 현 기술의 한계와 병목
(3) AGI의 개념과 적용 가능성
(4) AGI 기반 자율주행차의 기술적 가능성
가. 주행 능력의 일반화
나. 상황인지 및 판단력 향상
다. 실시간 학습 및 적응 능력
라. 높은 설명가능성과 다기능화
(5) AGI 적용을 위한 자율주행차 아키텍처 설계
(6) 윤리적, 사회적, 법적 도전 과제
가. 프라이버시 및 데이터 보호
나. 책임소재 및 법적 책임
다. 윤리적 의사결정과 투명성
라. 사회적 및 경제적 영향
마. 사이버 보안 및 악용 가능성 방지
(7) 결론 및 향후 전망
가. 향후 연구 및 기술 개발 방향
나. 미래 전망과 대응 전략
2) 차량 제원에 따른 주차로봇 주차 경로 최적화 모델
(1) 서론
(2) 선행연구
가. 주차로봇 경로생성 알고리즘 산정에 관한 연구
나. 격자 단위 설정 및 경로 생성 시간 단축 방법
다. 모델 검증 시나리오
(3) 연구방법론 및 분석모형 설정
가. 연구 방법론
나. Hybrid A-star과 RRT 알고리즘의 혼합 모델 구조
(a) Step 1: RR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초기경로 생성
(b) Step 2: 초기 경로 주변 복도 생성
(c) Step 3: 복도기반 Hybrid A-star 알고리즘 경로 생성
(4) 모형 적용 및 분석 결과
가. 실험 및 모델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구성
나. 모델 검증 결과
(a) Grid 세분화에 따른 차량 크기별 경로 비교
(b) RRT 혼합 기반 Hybrid A-star 경로 생성 모델의 시간 절감 및 성능 평가
(5) 결론
3) 딥러닝과 객체 추적을 이용한 강건한 신호등 인식 알고리즘 개발
(1) 서론
(2) 객체 검출과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가. 다중 객체 검출 알고리즘
나.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3) 신호등 인식 알고리즘 개발
가. 다중 객체 검출 알고리즘의 적용
나.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의 적용
(4) 신호등 인식 알고리즘 성능 평가 및 분석
가. 차량 센서 및 인지 알고리즘 구성
나. 데이터 기반 신호등 검출 알고리즘 평가
다. 시나리오 기반 신호등 추적 알고리즘 평가
(5) 결론
4) End-to-End (E2E)가 만드는 새로운 자율주행 연구 동향
(1) 서론
(2) 본론
가. End-to-End 학습의 필요성 및 기본 개념
나. E2E 모델의 주요 연구 동향
(a) E2E 모델의 초기 연구와 발전
(b) 핵심 기술: 학습 방법론 및 모델 통합
(c) E2E 모델의 발전 사례
(d) 새로운 연구 동향과 모델
(e) E2E 모델의 도전과제와 해결책
다. E2E 모델 적용 분야
(a) 자율주행 차량에서의 E2E 모델 적용
(b) 다양한 센서 통합
(c) 일반화 문제와 해결책
(d) E2E 모델의 확장 가능성
라. E2E 모델의 성과 평가 및 도전 과제
(a) E2E 모델의 성과 평가 지표
(b) E2E 모델의 도전 과제
(c) 도전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방향
마. 미래 전망 및 발전 방향
(a) 비전-언어 모델의결합
(b) 다중 모달 학습의 중요성
(c) 실시간 처리 성능의 개선
(d) 자율주행의 상용화와 법적, 윤리적 문제 해결
(3) 결론
2. 자율주행 데이터 처리 솔루션
1) 자율주행 기술 구현을 위한 영상 DB 서버 구축 및 관리 시스템 개발
(1) 서론
(2) 영상 DB 구축 과정
가. 구축 과정
(3) 영상 DB 구축 사례
가. 구축 사례
(a) 장애물 인식 (MOD)
(b) DB 구축 예제 –주차선 인식
(c) DB 구축 예제 –전방 차량 인식 (VD)
(d) DB 구축 예제 –가상 DB용 영상
나. 구축 현황 및 실험 결과
(4) 결론 및 향후 계획
2) 완전 자율주행 위한 실시간 엣지 컴퓨팅 기술과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의 통합적 접근
(1) 서론
(2) 자율주행에서 엣지 컴퓨팅의 역할
(3) 실시간 데이터 처리
가. YOLO 기반 객체 인식
나. Kalman Filter 기반 데이터 융합
(4)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
가. 오토인코더 기반 데이터 압축
나. 양자화 신경망
(5) 결론
3) 자율주행 위한 국내 주행 환경이 반영된 3D 라이다 데이터 셋 구축 및 검증 프로세스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국내 자율주행 산업 및 기술
나. 국내 자율주행 데이터 기술
(3) 3D 라이다 데이터 셋 및 검증 프로세스 설계
가. 3D 라이다 데이터 셋 구축 프로세스 설계
나. 3D 라이다 데이터 셋 검증 프로세스 설계
(4) 결론
4) 도로 내 정밀도로 지도 속성을 갖는 객체 인지를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 측위 연구
(1) 서론
(2) 본 연구의 선행 연구 및 원리
(3) 센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가. 카메라-라이다 시각 동기화
나. 수동 캘리브레이션
(4) 객체 인지 모델을 이용한 측위
(5) 측위 검증 방법
(6) 결론
5)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Latent Diffusion Model 기반의 주행 시나리오 생성
(1) 서론
(2) 교통 모델
가. 데이터 셋
나. VAE
(3) 시나리오 생성
가. LDM 학습 과정
나. Inference
(4) 학습 결과 및 분석
(5) 결론
3. 자율 협력 주행 솔루션
1) CARLA Simulator 기반자율협력주행 최적화를 위한 차량의 진행 방향 차이를 활용한 TSB 주행에 관한 연구
(1) 서론
가. 개요
(2) 선행연구검토
가. 자율주행 관련 연구
나. V2X 네트워크 관련 연구
다. 본 연구의 차별성
(3) TSB 자율주행 예측 모델 설계
가. 자율주행 예측 모델 : TSB 주행을 위한 경로 및 조향 상태 예측 시스템
나. Yaw Diff 계산
(a) 전역 좌표를 통한 yaw 계산
(b) 방향성 예측을 위한 yaw_diff 계산
다. RNN 구조를 활용한 주행 모드 결정 모델 아키텍처
라. V2X 네트워크
마. 실험 환경 및 경로 설정
(4) TSB 자율협력주행비교및평가
가. 주행 모드 결정 모델 학습 및 평가
나. TSB 주행 자율협력주행 시 보정값의 빈도별 정확도 및 효율성 비교
(a) 선두 차량과 추종 차량의 경로 오차 계산을 통한 보정 값의 빈도별 정확도 확인
(b) 선두 차량과 추종 차량, Carla Simiulator 내의 오토파일럿과의 비교를 통한 효율성 확인
(5) 결론및시사점
2) C-V2X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동향
(1) 서론
(2) LTE기반의 C-V2X
(3) 5G기반의 C-V2X
(4) 5G-NR-V2X PC5 기반 자율협력주행 서비스 사례
(5) 결론
3) C-V2X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 모니터링 기술 구현 및 활용사례
(1) 서론
가. URLLC를 지원하는 C-V2X 서비스의 위협
(2) C-V2X 네트워크 모니터링
가. 비정상 보안 이벤트
나. 최대 종단 간 지연 시간
다. 최소 무선 신호 정보
라. 최대 종단 간 지연 시간 및 최소 무선 신호 정보 결정
(3) 패킷 구조
가. NMCF 생성된 패킷 구조
나. NMRF에서 생성된 패킷 구조
(4) 배포(Deployment) 시나리오
(5) 테스트 구성 및 환경
가. 테스트 환경
나. 측정 절차
다. 결과 및 권장 사항
(6) 자율주행 로봇 관제 구현사례
가. 자율주행 로봇 운영
나. End-to-End 실시간 자율주행 로봇 관제
(7) 결론
4) 주행 시나리오 기반 자율주행 차량 간 상호작용을 위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방식 제안
(1) 서론
(2) 이론적 배경
가. 자율
나. 주행 상황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의도
다. 차량 간(V2V) 커뮤니케이션과 In-vehicle HMI의 통합적 접근
라. 자율주행 3단계에서의 제어권 전환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3) 연구 방법
가. 설문조사 참여자 정보
나. 설문항목
(4) 연구 결과
가. 수동 주행 중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결과
(a) 감사 (Thanking)
(b) 양보 (Passing)
(c) 주의 (Caution)
(d) 정지 (Stopping)
(e) 사과(Apology)
나. 커뮤니케이션 의도별 상호작용 방식
다. 차량 간 상호작용 이해관계자 지도
(5) 차량 내부 V2V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 설계
가. 디스플레이 선정
나. 커뮤니케이션 의도별 색상 코딩
다. 차량 내부 인터페이스 디자인
(6) V2V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
가. 사용성 평가를 위한 실험 설계
나. 사용성 평가 1 : 정량적 평가
다. 사용성 평가 2: 정성적 평가
라. 종합적 결과
(a) 호감도 (Likability)
(b) 인지된 유용성 (Perceived Usefulness)
(c) 사용 의도 (Intention to Use)
마. V2V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각적 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7) 결론
가. 연구 결과
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
4.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센서
1) 자율 주행 환경 딥러닝 기반 라이다 인식기 신경망을 위한 도메인 적응 기법 연구
(1) 서론
(2) 배경
가. 라이다 기반 3차원 인식 신경망
나. 도메인 적응 기법
다. 데이터 셋
(a) KITTI
(b) nuScenes
(c) Waymo
(d) 기타 데이터 셋
(3) 라이다 인식 신150
가. 도메인 불변 기법
(a) 도메인 불변 데이터 생성 기법
(b) 도메인 불변 특징 추출 기법
나. 도메인 매핑 기법
(a) 데이터 증강 기반 도메인 매핑
(b) 특징 지도 기반 도메인 매핑
(c) 수도 레이블 기반 도메인 매핑
다. 기타 기법
(4) 결론
2) 디퓨전 트랜스포머 기반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자율주행 카메라 센서의 이물질 인식 성능 향상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주행 환경에서의 이물 영상 생성
나. 디퓨전 모델
다. 자율주행 환경 이물 데이터 세트
(3) 디퓨전 모델 배경
(4) 데이터 증강 모델
가. 멀티모달 조건화 메커니즘
나. 생성 모델 전체 프레임워크
(5) 실험 결과 및 분석
가. 실험 데이터
나. 실험 환경
다. 이물 유형에 따른 이미지 생성 결과
라. 이물 데이터 증강 실험
(6) 결론
5. 자율주행 개발장비
1) Level 4 자율주행을 위한 시나리오 라이브러리 구축 방안
(1) 서론
(2) 시나리오 라이브러리 아키텍처
가. OpenSCENARIO 기반 시나리오 라이브러리 개념 정의
나. 자율주행 시나리오 형태 정립
다. CCTV 기반 매개변수 추출
라. ASAM OpenSCENARIO 분석
(3) 주행환경 데이터베이스 및 시나리오 라이브러리 구현
가. 시나리오 라이브러리 구현
나. 주행환경 데이터베이스 구축
다. 시스템 구현
(4) 결론
2) 빅데이터 분석 기반 자율주행 대중교통의 인식 비교 및 로보택시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시사점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및 범위
(4) 빅데이터 분석 결과
가. 언급량 추이 분석
(a) 자율주행버스 언급량 추이 분석
(c) 언급량 추이 비교 분^석
나. 긍·부정 분석
(a) 자율주행버스 긍·부정 분석
다. 유튜브 댓글 분석
(5) 로보택시 수용도 제고를 위한 시사점
(6) 결론
3) 자율주행차량 사고 원인 추적을 위한 HMM 기반 접근법
(1) 서론
가. 개요
(2) 선행연구고찰
가. 자율주행차량 교통사고 사고 원인 관련 연구
나. 자율주행차량 교통사고 사고 발생과정 관련 연구
다. Contribution
(3) 연구방법론
가. 연구 흐름
나. 자율주행차량 교통사고 발생과정 정의
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 구성요소 설계
(4) 자율주행사고원인 추적 모델 개발
가. 은닉 마르코프 모델 (HMM) 구현
(a) HMM 기반 자율주행 사고원인 추적 다이어그램 시각화
(b) HMM 모델을 통한 사고 원인 추적 과정
나. 시나리오 기반 사례 연구
(a) 시나리오 1번
(b) 시나리오 2번
(c) 시나리오 3번
(5) 결론
6.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1) 자율주행을 위한 XR과 요소 기술 연구
(1) 서론
(2)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배경
가. 자율주행과 XR
나. 현재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XR 활용 현황
(3) 완전 자율주행 기술 분석
가. LiDAR
나. RADAR
다. V2X
라. 기타 주요 기술
(4) 결론
2) 자율주행 차량 내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컨텍스트 인식 기반 멀티모달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개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가. 자율주행 시스템
나. 컨텍스트 인식 시스템
다. 사용자 인터랙션
(a) 멀티모달 인터랙션멀티모
(b) 적응형 시스템
라.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멀티모달 인터랙션
(3) 컨텍스트 인식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가. 자율주행 단계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나. 적응형 멀티모달 인터랙션 계층 구조
(a) 시스템 계층 구조
(b) 컨텍스트 인식 시스템
(c) 피드백 매커니즘
(4) 시스템 평가
가. 평가 설계 및 개요
나. 1차 전문가 평가
(a) 평가 지표 도출
(b) 1차 전문가 평가 결과
다. 개선된 프레임워크
(a) 개선된 자율주행 단계에 따른 멀티모달 인터랙션 시스템 적용 분류
(b) 개선된 적응형 멀티모달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c) 사용자 시나리오
라. 2차 전문가 평가
(a) 개선된 평가 지표 도출
(b) 2차 전문가 평가 결과
마. 평가 결과 및 논의
(5) 결론
7.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1) 연속류에서의 주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제어권 전환 교육이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1) 서론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나. 연구의 범위 및 절차
(a) 시간적 범위
(b) 공간적 범위
(c) 연구 수행절차
(2) 선행연구고찰
가. 국내 제어권 전환 관련 기준
나. 제어권 전환 선행 연구 고찰
다. 국외 선행 연구 고찰
라. 연구의 차별성
(3)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제어권 전환 교육 및 실험
가. 실험 및 교육 구성
(a) 실험 목적
(b) 실험 환경 및 절차
(c) 주행 시뮬레이터 특성
(d) 교육 구성
(e) 사전 교육 내용
(f) 실험자 구성
나. 설문 구성
(a) 1회차~3회차 실험 후 설문
(b) 전문가 대상 설문
다. 시나리오 구성
(a) 시나리오 환경 구성
(b) 시나리오 기대 행동
(4) 실험결과분석
가. 데이터 분석 방법
나. 설문 결과
(a) 실험 차수별 설문 결과
(b) 전문가 설문 결과
다. 시나리오 수행 결과
(a) 분석지표 설정
(b) 분석 결과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가. 결론
나. 향후 연구과제
2) 자율주행차 분야 특허 동향
(1) 서론
(2) 자율주행차량 보안 기술 개요
(3) 법적 규제 및 무역 규제 현황
(4) 자율주행차 보안 특허 동향 분석
(5) 주요기업별 핵심기술 분석
(6) 결론
3) 자율주행차 통신 보안 표준화 현황
(1) 서론
(2) 차량통신 보안 국제표준화 현황
가. 차량통신 국제표준화 현황
나. ITU-T SG17의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동향
다. TTA PG504의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현황
(3) 결론
3) 중심-주변 모델 기반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주요 기술 분야 발굴
(1) 서론
(2) 데이터
(3) 분석 방법
가. Keyword Network Construction
나. Core-periphery Model
다. Technology Discovery Analysis
(4) 분석 결과
가. Core-periphery Model Evaluation
나.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주요 기술 발굴
다.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동향 분석: Time Evolving on Core-Periphery
(5) 결론
4) 자율주행 차량의 eHMI 정보 전달 유형이 보행자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1) 서론
(2) 선행연구
가. 색상에 따른 eHMI 효과
나. 명시적 신호에 따른 eHMI 효과
다. 조명과 애니메이션 패턴에 따른 eHMI 효과
라. 암묵적 의사소통 신호
마. 평가 도구 및 측정 방법
(3) 방법론
가. 실험 참여자
나. 처치물 및 실험 설계
다. 측정 도구
(4) 결과
(5) 토의 및 결론
5)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교통사고 가능성 예측 모델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딥러닝 기반 교통사고 가능성 예측 연구
나. YOLO(You Only Look Once)
다. 액체 신경망(Liquid Neural Network, LNN)
(3) 전체 시스템 구조
(4) 제안하는 교통사고 가능성 판단 모델
가. 블랙박스 영상 내 객체 탐지를 위한 YOLO
나. 두 신경망 사이의 원활한 데이터 이동을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
다. 교통사고 가능성 판단을 위한 액체 신경망
(5) 제안하는 교통사고 가능성 예측 모델의 성능평가
가. 실험 데이터셋 및 성능평가 지표
나. 성능평가를 통한 최적의 모델 구성 및 하이퍼파라미터 설정
다. 제안하는 모델의 데이터 처리 및 교통사고 가능성 예측 시간
라. 기존 연구와의 성능 비교
(6) 결론 및 향후 연구

II편 친환경자동차
1장. 친환경자동차 산업 현황
1. 개요
1) 일반적 개념
(1) 개념
(2)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1) 대표적 분류기준
(2)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 동향
(1) 주요국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EU
라.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2)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1) 산업특징 및 구조
(2) 국내 산업생태계
(3)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4) 주요 업체 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1) 기술개발 동향
(2) 정부 R&D 투자동향1)
가. 지원 현황 일반
나.중소기업 지원 현황
다.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1)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2) 중소기업 대응전략
3. 품목 로드맵
1) 전략품목 조정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장. 친환경자동차 시스템별 산업 현황
1. 배터리 시스템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2. 전력변환 시스템
1) 개념 및 필요성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열관리 시스템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나. 로드맵 기획
4.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일반적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장.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1. 배터리 시스템
1) 전기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구조물에 대한 압축 거동 해석
(1) 서론
(2) 본론
가. Model
나. Property
다. Battery pack case 구조물에 대한 압축 해석
(3) 결론
2) 시뮬링크 및 심스케이프를 활용한 공랭식 배터리 냉각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1) 서론
(2) 시뮬링크 열해석 모델링
(3) 시뮬레이션 결과
(4) 결론
3) 리튬이온배터리시스템 SOC 정확도 향상을 위한 충전 및 방전 OCV 적용 연구
(1) 서론
(2) 본론
가. 충전 및 방전 OCV Table
나. 충전 후 휴지 구간 미소 방전 시험
다. 충전 후 휴지 구간 미소 방전 결과 적용 방안
(3) 결론
2. 전력변환 시스템
1) PCB 코팅액 도포 시 비산 및 튐에 의한 커넥터 접촉 불량 품질 문제 분석
(1) 서론
(2) 코팅액에 의한 커넥터 접촉 불량 문제
(3) 코팅액에 의한 커넥터 접촉 불량 문제 원인 분석
가. 코팅액 비산에 의한 커넥터 접촉 불량
(4) 결론
2) 비대칭형 CLLC 양방향 컨버터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TDA 기반 분석 기법
(1) 서론
(2) CLLC 양방향 컨버터 TDA 기반 분석 방법
가. CLLC 양방향 컨버터 등가 회로 분석
나. CLLC 양방향 컨버터 동작 모드 경계 조건 분류
다. 제안한 기법과 PSIM 시뮬레이션 비교
(3) 결론
3) 넓은 출력 전압 범위를 갖는 전기자동차 초급속 충전용 3상 인터리브드 LLC 공진형 컨버터 설계
(1) 서 론
(2) 3상 인터리브드 LLC 공진형 컨버터
가. LLC 공진형 컨버터 토폴로지 선정
나. 시스템 동작 모드
(3) 3상 인터리브드 LLC 컨버터 설계
(4) 시뮬레이션 검증
(5) 결 론
4) 전기차 고전압 DC-DC 컨버터 ZVS 동작에 따른 EMI 노이즈 저감 설계
(1) 서론
(2) LLC 공진형 DC-DC 컨버터
(3) ZVS 동작에 따른 전자파 CE 노이즈 분석
(4)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전자파 최적 설계
가. 동작 주파수 영향성 분석
나. 필터 커패시터 영향성 분석
(5) 결론
5) NPC 구조의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를 적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30kW급 파워모듈 개발
(1) 서론
가.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의 회로 구성
나.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의 동작
다. 버스트 모드(Burst Mode)의 구성 및 동작
(3) 시뮬레이션
(4) 결론
6)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예열 온도 최적화 연구
(1) 서론
(2) 본론
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저온특성
나. 리튬이온 배터리 예열 기술
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온도별 방전 용량
(3) 결론
1) 실험설계법 기반 액침냉각식 리튬이온배터리의 열 관리 최적화
(1) 서론
(2) 연구 방법
가. ANSYS FLUENT 시뮬레이션
(a) 3D 모델링
(b) 배터리 모듈 설계
나. 최적화
(3) 연구 결과
가. 시뮬레이션 결과
나. 최적화 분석 결과
(4) 최적 조건 도출
(5) 결론
2) 전기자동차 수냉식 원통형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의셀 간 온도 균일도 향상을 위한 최적설계
(1) 서론
(2) 배터리 모듈의 냉각 해석 및 최적설계
(3) 결론
3) 21700 배터리 액침 냉각 시스템의 열전달 특성 분석 및 적용 가능성 평가
(1) 서론
(2) 실험 방법
(3) 결론
4) 고출력 방전 조건에서 원통형 배터리 액침냉각 시스템 성능 분석
(1) 서론
(2) 실험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 100kW급 전기자동차 급속충전장치에서 3상 4선식 지그재그 필터의 적용에 관한 연구
(1) 서론
(2) 3상 4선식 지그재그 필터가 적용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장치
(3) 실험 결과
(4) 결론
2) 전기자동차용 고효율/대용량 무선 충전 시스템을 위한다상 무선 충전 패드 설계 및 검증
(1) 서론
(2) 고효율/대용량 WPT를 위한 다상 무선 충전 패드 제안 및 최적 형상 선정
(3) 최적 선정 패드 형상에 대한주요 성능 분석
가. Type 5 패드의 오정렬에 따른 결합 특성 분석
나. 상용 CP와의 결합 성능 비교 분석
(4) 실제 차량 탑재를 고려한최적 패드 크기 선정
(5) 최적 선정된 패드의 우수성 및패드 제작을 통한 성능 검증
가. 선행 연구와의 비교를 통한 Type 5 패드의 우수성 검증
나. Type 5 패드 제작 및 성능 검증
(6) 결론
3) MCS/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DC전력량계 개발
(1) 서론
(2) 본론
가. MCS급 전기차
나. 전기차 충전기 전력량계 회로 설계
다. 전류 측정 가능한 Shunt 설계 및 측정 저항 설계
라. 데이터 로깅 및 통신 모듈
마.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전력량계 성능 테스트
(3) 결론
4) 전기차 충전기의 계량의 디지털 측정 전환
(1) 서론
(2) 본론
가. 법정계량기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
나. 디지털 계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
다. 디지털 계량기 도입에 따른 법적 및 기술적 요구사항
라. 디지털 계량기 도입 사례 연구
마. 전기차 충전기에서의 디지털 계량 시스템 활용
(3) 결론
5) 전기차 양방향 충방전 사이버보안 국외 표준 동향
(1) 서론
(2) 본론
가. 충전기 사이버보안 국제 표준
(a) IEC 62443 표준 시리즈
나. 충전기 사이버보안 미국 표준
(a) NIST IR 8425 표준
다. 충전기 사이버보안 유럽연합 표준
(a) ETSI EN 303 645 표준 시리즈
(b) ETSI 18031 표준 시리즈
(3) 결론
5.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1) 국내 수소 인프라 설비의 안전관리 시스템 평가
(1) 서론
가. 연구 목적 및 의의
나. 연구 범위 및 방법
(2) 국내 수소 사용 설비 안전 평가 현황
가. 국내 수소 사용 설비 법적 체계 및 요구사항
나. 국내 수소 사용 설비 법적 체계 및 요구사항
다. 국내 수소 사용 설비 위험성 평가 시스템
라. 국내의 수소사용설비 운영과 안전사고 사례
(3) 해외 수소 안전 평가 체계 분석: 일본, 독일, 미국, 호주의 수소 안전관리 사례 비교
가. 일본의 수소 안전 평가 및 관리 시스템연구배경
(a) 일본의 수소 경제 정책과 법·제도적 안전 기준제목
(b) 정량적·정성적 안전 평가 기법 적용
(c)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기반 안전 관리
나. 독일의 수소 안전 평가 및 관리 시스템
(a) 독일의 수소 경제 정책과 법·제도적 안전 기준
(b) 정량적·정성적 안전 평가 기법 적용
(c)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기반 안전 관리
다. 미국의 수소 안전 평가 및 관리 시스템
(a) 미국의 수소 경제 정책과 법·제도적 안전 기준
(b) 정량적·정성적 안전 평가 기법 적용
(c)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기반 안전 관리
라. 호주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소 안전 관리 시스템
(4) 국내외 수소 안전 평가 체계 비교 및 개선방향 도출
가. 국내 수소법 및 KGS 코드 비교를 통한 보완 사항 도출
(a) 국내 수소 안전 관련 법 체계 개요
(b) KGS 코드 개요 및 문제점
(c) 국내외 수소 안전 평가 체계 비교
(d) 국내 수소 안전 평가 체계 개선 방향
(5) 결론
2) LSTM 기반 수소충전소 고장진단 모델 개발
(1) 서론
(2) 이론 및 실험
가. Long Short-Term Memory
나. 고장진단 모델
(3) 결론
3) 수소전기차 내압용기 안전성 강화를 위한 안전 벨류 체인 연구
(1) 서론
(2) 수소전기차 보급정책
가. 내연기관의 수소전기차 전환
나. 국내외 수소 정책
(a) 국내 수소 정책
(b) 국외 수소 정책중국
(3) 수소전기차 안전 벨류 체인 구축
가. 수소 생태계 안전 벨류 체인 구축
나. 안전 벨류 체인 구축 목적
다. 단계별 안전 벨류 체인
(a) 협업체계 구성 및 운영
(b) 용기 안전관리 단계
(c) 수소용기 장착단계
(d) 수소차 운행단계
(e) 수소용기 폐기단계
(4) 안전 벨류 체인 확대 운영
가. 전문가 협의체를 통한 안전 벨류 체인 확대
나. 안전 벨류 체인 활성화
(5) 결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