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직론

조직론

장인봉 (지은이)
윤성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00원 -5% 0원
1,30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1,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직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직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925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조직론 및 조직관리에 대해 내용을 간결하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고, 각 장마다 생각할 문제와 개요를 정리해 실었으며, 그 개요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연구와 연구 문제를 제시했다.

목차

제1편 조직이론 19

제1장 현대 사회와 조직: 조직의 의의와 유형· ·····························21

제1절 현대 사회와 조직················································22

1. 인간생활과 조직 / 22

2. 조직론의 시각 / 24

제2절 조직의 본질· ··················································26

1. 조직의 개념 / 27

2. 현대 조직의 특성과 주요 용어 / 29

3.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 / 32

제3절 조직의 형성과 관리· ·············································35

1. 조직의 형성 및 구성 요소 / 35

2. 조직과 관리 / 37

3. 조직의 관리전략 / 38

제2장 조직이론의 변천과 분류: 패러다임· ·······························43

제1절 조직이론이란 무엇인가············································44

1. 조직이론의 전개 / 44

2. 행정의 조직 맥락 / 45

제2절 고전적 조직이론· ···············································47

1. 과학적 관리론 / 47

2. 행정관리론 / 49

3. 관료제론 / 50

제3절 신고전적 조직이론···············································52

1. 인간관계론 / 52

2. 의사결정론 / 54

제4절 현대적 조직이론· ···············································57

1. 후기 인간관계론 / 58

2. 체제이론 / 59

3. 상황적응이론 / 62

4. 거시조직이론 / 64

5. 무정부적 조직이론 / 65

제3장 조직과 환경···············································70

제1절 조직의 변화· ··················································71

1. 조직 변화의 개념 / 71

2. 환경 변화에의 적응 / 72

제2절 조직환경이란 무엇인가?···········································73

1. 조직환경의 개념과 논의의 필요성 / 73

2. 환경의 불확실성과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 75

제3절 조직과 환경에 관한 이론: 거시조직이론· ·······························76

1. 거시조직이론이란? / 76

2. 조직군생태학이론(인구생태이론) / 77

3. 자원의존이론 / 78

4. 전략적 선택이론 / 79

5. 공동체생태학이론 / 79

6. 제도화이론 / 80

7. 조직경제학 / 81

8. 거시조직이론의 종합 / 82

제4절 조직구조와 환경 간의 상호관계· ·····································83

1.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83

2. 환경과 조직의 변화 / 87

3. 환경과 조직의 복잡성 / 92

4. 환경의 조직에 대한 영향 / 93

5. 조직의 환경에 대한 영향 / 94

제5절 환경에 대한 전략적 관리···········································95

1. 전략적 관리의 기본 방향 / 94

2. 환경에 대한 직접 관리전략 / 96

3. 연결전략 / 97



제2편 조직관리 103

제4장 동기부여···············································105

제1절 동기부여의 기본 과정과 이론 구분· ··································106

제2절 동기부여이론 : 내용이론·········································108

1. 머슬로의 욕구단계설 / 108

2. 앨더퍼의 ERG이론 / 111

3. 허즈버그의 욕구충족요인 이원론 / 113

4. 맥그리거의 X·Y이론 / 115

5. 맥클랜드의 성취동기이론 / 117

제3절 동기부여이론 : 과정이론·········································120

1. 공정성이론 / 120

2. 기대이론 / 122

3.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 126

제4절 실무적 동기부여 방안···········································128

1. 실무적 동기부여 방안의 의의 / 128

2. 실무적 동기부여 방안의 실제 / 129

제5장 리더십· ················································136

제1절 리더십의 의의·················································137

1. 리더십 연구의 개관 / 137

2. 리더십의 개념과 관련 용어 / 138

3. 리더의 역할과 기능 / 141

4. 리더십의 구성 요소 / 142

제2절 리더십이론···················································144

1. 리더십이론의 개괄 / 144

2. 특성(자질)론 / 146

3. 행태이론 / 148

4. 상황이론 / 155

제3절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현대적 리더십 유형· ························163

1.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시각 / 164

2. 현대적 리더십 유형 / 170

제4절 현대적 리더의 기본 요건·········································174

1. 리더의 인격 요소 / 174

2. 리더의 지식 요소 / 175

3. 리더의 행동 요소 / 176

제6장 의사전달과 행정PR·········································179

제1절 의사전달의 의의· ··············································180

1. 의사전달의 개념 / 180

2. 의사전달의 구성 요소와 과정 / 181

3. 의사전달의 기능 / 183

제2절 의사전달의 네트워크와 유형· ······································185

1. 의사전달의 네트워크 / 185

2. 의사전달의 유형 / 186

제3절 의사전달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190

1. 의사전달의 장애 요인 / 190

2. 장애 요인의 극복 방안 / 193

제4절 행정PR· ····················································195

1. 행정PR의 의미 / 195

2. 행정PR의 필요성과 과정 / 196

3. 행정PR의 모형과 방법 / 198

4. 행정PR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 201

제7장 조직 목표· ··············································208

제1절 조직 목표의 의의와 유형··········································209

1. 조직 목표의 정의 / 209

2. 조직 목표의 기능 / 210

3. 조직 목표의 유형 / 211

제2절 조직 목표의 변동···············································215

1. 목표 변동의 원인 / 215

2. 목표 변동의 유형 / 217

제3절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의 통합과 목표관리· ·····························219

1.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의 관계 / 220

2.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의 통합모형 / 221

3. 목표관리 / 222

제4절 조직 목표의 달성 : 효과성· ·······································227

1. 조직효과성의 개념 / 227

2. 조직효과성에 대한 접근 방법 / 228

제8장 조직구조···············································233

제1절 조직구조와 기본 변수············································234

1. 공식화 / 234

2. 집권화와 분권화 / 235

3. 복잡성 / 238

4. 기본적 변수의 통합 / 241

제2절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243

1. 조직 규모 / 243

2. 조직기술 / 245

3. 조직환경 / 247

제3절 조직구조의 설계· ··············································248

1. 조직설계의 과제 / 248

2. 기계적 조직과 유기적 조직 / 251

3. 조직설계의 기본 구조 / 253

제4절 조직구조의 유형· ··············································254

1. 조직유형론 / 255

2. 단순구조 / 259

3. 기계적 관료구조 / 261

4. 전문적 관료구조 / 263

5. 사업부제 구조 / 264

6. 애드호크라시 / 267

7. 가상조직 / 272

제9장 조직문화···············································276

제1절 조직문화의 의의· ··············································277

1. 조직문화론의 등장 배경 / 277

2. 조직문화의 개념 / 278

3. 조직문화의 기능 / 279

제2절 조직문화의 유형· ··············································280

1. 상반된 문화 유형 / 281

2. 퀸의 경쟁가치 모형 / 282

3. 딜과 케네디의 유형 / 284

4. 오우치의 Z이론 / 286

제3절 조직문화의 관리 및 개발전략······································287

1. 조직문화 관리 및 개발의 필요성 / 288

2. 새로운 조직문화의 개발 절차 / 289

3. 조직문화 개발전략 / 289

제4절 우리나라의 행정조직문화· ········································291

1. 우리나라 행정조직문화의 특징과 문제점 / 292

2. 우리나라 행정조직문화의 혁신전략 / 296



제3편 조직혁신 301

제10장 NGO · ················································303

제1절 NGO란 무엇인가?· ·············································304

1. NGO의 개념 / 304

2. NGO의 유사 개념 / 305

저자소개

장인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