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은퇴설계
· ISBN : 9791189324094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5-04-30
책 소개
목차
01. 생애주기의 연장과 생애주기 단계
생애주기와 생애주기 단계의 구분
생애주기는 계속 연장되고 있다
생애주기 연장은 인생 후반기 연장이다
생애주기 8단계를 9단계로 변경 필요
02. 생애설계란 무엇인가?
대부분 사람은 인생의 꿈을 가지고 있다
생애설계는 인생의 꿈을 이루기 위한 계획이다
생애설계는 인생길 안내 내비게이션이다
03. 생애설계는 왜 필요한가?
생애설계가 개인에게 필요한 이유
생애설계가 가족과 사회에 필요한 이유
04. 생애설계 1단계: 인생의 꿈 확립(확인)
인생의 꿈은 무엇을 말하는가?
인생의 꿈은 성격과 적성에 맞아야 바람직하다
인생의 꿈이 불명확하면 단기목표에 매달리기 쉽다
인생의 꿈이 확립되지 않아도 생애설계를 시작할 수 있다
<인생의 꿈 확립 연습>
05. 생애설계 2단계: 생애목표 설정
생애목표는 무엇을 말하는가?
생애목표는 대부분 생애주기 단계 과업에 해당된다
생애목표 설정(서술) 5원칙: SMART 원칙
생애목표 구분과 설정
생애목표 설정 예시
인생의 꿈과 연계된 생애목표 설정의 예시
<생애목표 설정 연습>
06. 생애설계 3단계: 목표달성을 위한 시간관리 계획수립과 실천
시간관리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시간관리 계획은 시간사용 우선순위 결정원칙에 따라야 한다
시간관리 계획은 1년 단위로 수립/실천한다
시간관리 도구
시간관리는 생애설계 실천에도 효과가 크다
시간관리는 훈련을 통해 습관화되어야 한다
인생의 꿈-생애목표 설정-시간관리 계획 수립/실천의 연계 예시
생애설계의 실천 전략
<목표달성 위한 시간관리 계획 수립/실천 연습>
생애설계 이해를 돕는 권장도서
<부록>
1. 생애설계 의식 및 행동 진단지
2. 나의 생애설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생의 꿈 확립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일화>
인생의 꿈(생애사명)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함을 일깨워주는 일화를 2019년 4월 29일자 조
선일보 임보운 기자의 <기자의 시각: 취업이 종착역인 사회>이라는 칼럼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대학을 졸업하고 열심히 취업준비 중인 A군이 미국 월가(Wall Street)를 다녀온 이야기다.
A군은 미국 월가에서 동갑내기 한 미국인 대학생을 만나 “곧 졸업인데 취업준비는 잘 되는
가?”라고 물었다. 미국 대학생의 답은 “취업해서 내가 가진 호기심과 문제의식을 어떻게 회
사에 접목할지 계획을 짜고 있다.”고 했다. A군은 동문서답 같아 이런저런 겉도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답답해서 “그런데, 취업이 안 되면 어쩌려고?”라고 쐐기를 박듯 물었다. 하지만 미
국 대학생이 되물은 것은 “이런 고민 없이 덜컥 취업이 되면 어쩌려고?”였다. 또 다른 명문
대 재학 중인 B군이 영국 대학을 방문한 후 소감에서 “내 주변 친구들은 대기업 인·적성시험에 대비해 ‘접은 종이에 구멍을 뚫고 펼쳤을 때 어떤 모양일까’라는 문제를 풀고 있을 때,
런던의 대학생들은 ‘각자의 호기심을 세상에 어떻게 내놓을지’를 고민하고 있더군요.”라고
했다. 취업을 인생의 결승선이라 생각하는 우리나라 대학생들과 인생의 출발선이라 생각
하는 미국과 영국 대학생들과 경쟁하면 누가 이길까?
이 일화에서 외국 대학생이 말하는 호기심이나 문제의식은 직업·경력 영역의 ‘인생의 꿈“
이라 할 수 있다. 왜 취업을 해야 하는지? 왜 OO회사에 취업하려는 지에 대한 이유나 목적
에 대한 확고한 생각 없이 일단 취업하고 보자는 데 all-in하는 것(인생의 꿈도 모른 채 단기
목표에만 매달림)은 인생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 그 취업이 자신의 꿈을 이루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취업은 인생의 출발선이라는 입장은 인생의 꿈에 근거한 취업이라 할
수 있지만, 취업이 인생의 결승선이라는 입장은 인생의 꿈도 장기목표도 없이 단기목표에
만 매달린 취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 대학생들이 계획하는 인생과 외국 대학생이 계획
하는 인생 중 어느 쪽이 더 의미 있는 것이 될 수 있을까?
이 이야기는 한국사회 많은 젊은이들이 처한 삶의 슬픈 현실을 말해주는 것일 수도 있다.
한국사회 젊은이들은 이 같은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밖에는 없는가? 인생의 꿈을 확
립하고 그 꿈을 실현하는 데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는 ‘취업이 출발선인 인생’을 계획할 수
없는지 심각하게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