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89586690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영화 속에 등장하는 건축에 담긴 의미
건축, 감독의 의도를 반영하다
부유함과 가난함을 드러내다│기생충
부와 권력을 모두 가진 공학자의 집│아이언맨
재벌이 사는 특별한 공간│시크릿 가든
섹슈얼 심벌로서의 건물│원초적 본능 2
보수적인 시대상을 담은 주택│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도시의 상징이 된 건축물│인터내셔널
공간, 인물의 관계를 이어주다
10년의 간극을 이어주는 건물│건축학 개론
우주와 인간을 연결하다│콘택트
가족이 함께 사는 보금자리│우리집
코로나19로 건물에 갇히다│뤼마니테 8번지
불만족스러운 일상에서 벗어날 피난처│파어웨이
폭력이 이루어지는 공간│더 글로리
스타일, 다양한 건축 양식들과 마주하다
동화 속 중세의 아름다움│도깨비
영화로 보는 유럽의 전원│풍경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프랑스의 역사가 담긴 루브르 박물관│다빈치코드
영국 브루탈리즘 건축│1984 & 시계태엽 오렌지
그리스 부흥 양식 주택│우리 집에 유령이 산다
간단명료의 끝, 미니멀리즘 건축│마당이 있는 집
국가를 대표하는 건축물│6 언더그라운드
에필로그 | 우리는 영화 속에서 무엇을 발견하는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주인공 아버지가 아들이 처음 부잣집에 들어갈 때 말한 “넌 계획이 있구나.”라는 대사와 홍수가 난 후 아버지의 “무계획이 계획이다.”라는 대사는 가난한 공간과 부자의 공간을 말해주기도 한다. 잘 정돈된 공간에는 계획이 있다. 반면, 지하 공간은 계획대로 공간을 사용할 수가 없어 물건들이 어지럽게 널브러져 있다. 도시는 절대 이렇게 무계획적으로 만들어져선 안 된다. 가난한 자와 가난하지 않은 자 모두에게 공평해야 하는 것이 바로 도시 공간이다.
이 영화의 제목은 <우리집>이다. 그냥 집이 아니고 ‘우리’ 집이다. 여기서 집이란 무엇인가 생각하게 된다. 바닥이 있고 벽에 둘러쳐져 있으며 지붕이 얹혀 있으면 공간이 생기고 그 안에 사람이 살면 주거 공간으로서의 집이 된다. 이는 단지 집에 대한 물리적인 해석이다. ‘집’이라는 단어 앞에는 수식어가 붙을 수 있는데 아름다운 집, 큰 집, 작은 집, 언덕에 있는 집, 찌그러진 집, 돌 집 등…. 이러한 묘사는 물리적인 그리고 형태적인 부분에서 나오는 형용사이다. 반면 행복한 집, 시끄러운집, 사랑이 넘치는 집, 훌륭한 사람이 사는 집 등의 묘사는 그곳에 사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