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89589318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6-1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 6
Ⅰ. 머리말 ・ 14
1. 연구 목적 및 방법 ・ 14
2. 연구사 ・ 20
1) 시대별 연구 동향 ・ 20
2) 한강유역 고대 기와 연구의 흐름 ・ 36
Ⅱ. 유적 및 유물 분석 ・ 40
1. 신라기와의 역사적 성격 ・ 40
1) 한강유역의 역사적 배경 ・ 40
2) 신라의 기와 사용과 한강유역 진출 ・ 42
3) 신라기와 출토 유적의 성격 ・ 46
2. 신라유적 현황 ・ 48
1) 한강유역 유적(관방유적을 중심으로) ・ 48
2) 분석 대상 유적 ・ 54
3. 유물 분석 기준 ・ 63
1) 외면 무늬 ・ 67
2) 두드림판 크기 ・ 68
3) 두드림 방법 ・ 68
4) 측면 분할 방법 ・ 69
5) 보조 속성 ・ 70
Ⅲ. 형식 분류 ・ 78
1. 속성 분석 ・ 78
2. 유형 분류 ・ 95
1) 속성 분석 결과 ・ 96
2) 분석 결과 분포 및 형식 ・ 98
3) 순서 배열 ・ 111
Ⅳ. 비교 분석 ・ 124
1. 토기(굽다리접시와 뚜껑을 중심으로) ・ 124
1) 제 1기 : 6세기 중반~7세기 전반 ・ 125
2) 제 2기 : 7세기 중반~7세기 후반 ・ 128
3) 제 3기 : 8세기 전반~8세기 후반 ・ 131
4) 제 4기 : 9세기 전반~9세기 후반 ・ 132
5) 제 5기 : 10세기 전반 ・ 133
2. 글자기와 ・ 134
1) 포천 반월산성 ・ 134
2) 인천 계양산성 ・ 138
3. 기타 유적과의 비교 ・ 142
1) 이천 설성산성 ・ 142
2) 이천 설봉산성 ・ 144
3) 연천 호로고루 ・ 147
4) 파주 덕진산성 ・ 149
5) 서울 아차산성 ・ 151
Ⅴ. 한강유역 신라기와의 편년 ・ 158
1. 제 1기 : 6세기 중반 ~ 7세기 전반 ・ 158
2. 제 2기 : 7세기 중반 ~ 7세기 후반 ・ 159
3. 제 3기 : 8세기 전반 ~ 8세기 후반 ・ 160
4. 제 4기 : 9세기 전반 ~ 9세기 후반 ・ 160
5. 제 5기 : 10세기 전반 ・ 161
Ⅵ. 맺음말 ・ 172
참고문헌 ・ 176
Abstract ・ 190
전문 용어집 ・ 194
찾아보기 ・ 1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