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9643812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철학의 개념 1
제1절 철학의 정의와 분류 3
01. 철학의 정의(Definition of Philosophy) 3
02. 철학과 관련 학문 8
03. 철학적 접근법 10
04. 철학의 시대적 변천사(History of Philosophy) 17
05. 철학자에 대한 심리적 분석(Psychological Analysis of Philosophers) 23
제2장
고대 그리스 자연주의 철학 33
제2절 전기와 후기 자연주의 철학 35
가. 전기 자연주의 철학(Early Natural Philosophy) 35
01. 밀레토스 학파(Milesian School of Natural Philosophy) 36
02. 엘레아학파(Eleatics) 45
03. 피타고라스 학파(Pythagoreanism) 48
나. 후기 자연주의 철학(Late Natural Philosophy) 51
01. 엠페도클레스의 4뿌리 우주론(Four-Root Theory of Universe) 51
02. 아낙사고라스의 종자론(Spermism) 53
03.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Atomism) 56
제3장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 59
제3절 고대 그리스 인간중심 철학 61
01. 소크라테스의 인간중심철학(Humanistic Philosophy) 61
02. 플라톤의 형이상학적 이원론(Metaphysical Dualism) 66
03. 아리스토텔레스의 일원론적 실체론(Monistic Realism) 75
04. 소크라테스 후기 철학(Post-Socratic Philosophy) 82
제4장
중세철학(Philosophy of Middle Age) 87
제4절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Patristic & Scholastic Philosophy) 89
가. 중세 초기 교부철학 89
01. 중세의 역사와 문화(History and Culture of Middle Age) 89
02.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부철학 92
03. 교부철학(Patristic Philosophy) 93
나. 중세 후기 스콜라 철학(Late Scholasticism) 97
01.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 97
02. 스콜라 철학 99
제5장
근세철학(Modern Philosophy) 109
제5절 영국의 경험론(British Empiricism) 111
01. 근대 사회와 문화 111
02. 영국 경험주의의 개요 114
03. 베이컨의 실험적 경험주의(Bacon’s Experimental Empiricism) 116
04. 로크의 경험주의 122
05. 버클리의 주관적 관념론(Subjective Idealism) 128
06. 흄의 극단적 회의론(Radical Skepticism) 133
제6절 대륙의 합리론(Rationalism of European Continent) 138
01. 개요 138
02. 데카르트의 합리론(Descartes’ Rationalism) 139
03. 스피노자의 무신론적 범신론(Pantheism) 148
04. 라이프니츠의 단자론(Monadology) 152
제7절 독일의 관념론(German Idealism) 159
01. 개요 159
02.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Transcendentalism) 160
03. 헤겔의 절대적 관념론 174
제6장
현대 유럽 철학 183
제8절 생의 철학과 실존주의(Life Philosophy & Existentialism) 185
01. 현대 유럽사회와 문화 185
02. 쇼펜하우어의 생의 철학(Philosophy of Life) 188
03. 실존주의(Existentialism) 197
제9절 현대 영미 분석철학 211
01. 개요 211
02. 분석철학의 정의와 분류 212
03. 비트겐슈타인의 분석철학 224
제10절 현대 미국 실용주의(Pragmatism in Modern America) 232
01. 개요 232
02. 퍼스의 실험주의(Experimentalism) 233
03. 제임스의 실용주의(Pragmatism) 239
04. 듀이의 도구주의(Instrumentalism) 244
제7장
한국 철학 249
제11절 불교철학 251
01. 개요 251
02. 인도의 불교사상 254
03. 중국의 불교 사상 265
04. 한국의 불교 272
제12절 유교사상(Confucianism) 285
01. 개요 285
02. 주자학(朱子學) 287
03. 한국의 성리학 293
가. 고려시대 성리학 297
01. 개요 297
02. 안향의 성리학 297
나. 조선시대 성리학 300
01. 개요 300
02. 이황의 주리론 300
03. 이이의 주기론 305
04. 퇴고논쟁(退高論爭) 310
05. 율우논쟁(栗牛論爭) 312
06. 호락논쟁(湖洛論爭) 313
참고문헌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