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제의 오늘 : 대한민국 편 1

어제의 오늘 : 대한민국 편 1

안중용 (지은이)
비빔북스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850원 -10% 2,500원
820원
16,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어제의 오늘 : 대한민국 편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제의 오늘 : 대한민국 편 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969206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가장 쉽고 가장 가까운, 하지만 당신이 몰랐던 어제의 이야기. '어제의 오늘' 시리즈는 1월 1일을 시작으로 윤일인 2월 29일을 포함, 12월 31일까지 하루에 하나씩 총 366개의 이야기로 구성된다. 날짜에만 순서가 있을 뿐, 해당 날짜의 연도는 이어지지 않는다.

목차

들어가며

1월
1896년·1962년 1월 1일 : 새로운 설날과 서기 사용
2007년 1월 2일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첫 출근
1930년 1월 3일 : 이육사, 시 첫 발표
1951년 1월 4일 : 1·4 후퇴와 이산가족
1982년 1월 5일 : 야간 통행금지 해제
1996년 1월 6일 : 가수 김광석 사망
2008년 1월 7일 : 이천 냉동 물류 창고 화재 사고
1932년 1월 8일 : 이봉창 의거
1968년 1월 9일 : ‘난중일기’ 절도범 검거
1987년 1월 10일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2019년 1월 11일 :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1950년 1월 12일 : 애치슨 선언과 애치슨 라인
1903년 1월 13일 : 우리나라 최초의 하와이 이민자들
1987년 1월 14일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46년 1월 15일 :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
1948년 1월 16일 : 우리나라 최초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1992년 1월 17일 : 성폭행 계부 살해 사건
1952년 1월 18일 :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발표
1967년 1월 19일 : 당포함 피격 사건
1997년 1월 20일 : 무기 징역수 신창원 탈옥
1968년 1월 21일 : 1·21사태
1990년 1월 22일 : 3당 합당, 민주자유당 탄생
1997년 1월 23일 : 한보 사태의 서막, 한보철강 부도
1998년 1월 24일 : 발해 1300호 좌초
1886년 1월 25일 : ‘한성주보’ 창간
2001년 1월 26일 : 일본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 사고
1959년 1월 27일 : 판문점 취재 중 북한 기자 귀순
2003년 1월 28일 : 이종욱, WHO 사무총장 당선
1906년 1월 29일 : 세계열강에 보낸 고종의 밀서
1948년 1월 30일 : 태극기와 KOREA, 올림픽 무대 등장
1996년 1월 31일 :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발표

2월
1906년 2월 1일 : 통감부 설치
1972년 2월 2일 : ‘불량 만화 근절’ 대대적 신문 보도
1942년 2월 3일 : 일본 조세이 탄광 수몰 사고
1959년 2월 4일 : 여적 필화 사건
1982년 2월 5일 : 제주도 C-123 수송기 추락 사건
1967년 2월 6일 : 미군, 베트남에 고엽제 살포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창당
1987년 2월 8일 : 탈북 김만철 일가 서울 도착
2004년 2월 9일 : 탈북민의 북한 배우자 상대 이혼 소송 판결
2008년 2월 10일 : 국보 1호 숭례문 방화 사건
1896년 2월 11일 : 아관파천
1997년 2월 12일 : 주체사상 이론가 황장엽 망명 요청
1999년 2월 13일 : 영화 ‘쉬리’ 개봉
1910년 2월 14일 : 안중근 의사 사형 선고
1997년 2월 15일 : 이한영 피살 사건
1945년 2월 16일 : 윤동주 옥사
1992년 2월 17일 : 뉴 키즈 온 더 블록 공연장 압사 사고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4년 2월 19일 : 영화 ‘실미도’ 천만 관객 돌파
1963년 2월 20일 : 육군 ROTC 1기생 임관식
1936년 2월 21일 : 신채호 옥사
1974년 2월 22일 : 통영 해군 예인정YTL 침몰 사고
1904년 2월 23일 : 한일의정서 체결
1983년 2월 24일 : 88서울올림픽 마스코트 대상물 호랑이 선정
1983년 2월 25일 : 북한 이웅평 상위 귀순
2010년 2월 26일 : 김연아, 동계올림픽 금메달
2007년 2월 27일 : 윤장호 병장, 자살 폭탄 테러로 전사
1960년 2월 28일 : 대구 2·28민주운동
[번외 편] 2월 29일 : 윤년의 비밀

3월
1919년 3월 1일 : 3·1운동
2005년 3월 2일 : ‘호주제 폐지’ 민법 개정안 국회 통과
2003년 3월 3일 : 삼겹살 데이 등장
2001년 3월 4일 : 홍제동 주택 화재 사고
2015년 3월 5일 : 한국야구위원회, ‘최우석 룰’ 발표
1883년 3월 6일 : 태극기, 국기로 제정·공포
1951년 3월 7일 : 6·3·3·4, 봄 신학기 학제 확정
1990년 3월 8일 : 한필성, 한필화 남매 상봉
1993년 3월 9일 :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 북송 발표
2017년 3월 10일 : 박근혜 대통령 탄핵
1954년 3월 11일 : 소설 ‘자유부인’ 논쟁
1990년 3월 12일 : 강호동, 최연소 천하장사 등극
1974년 3월 13일 : 우리나라 최초의 스트리킹
1991년 3월 14일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1960년 3월 15일 : 3·15 부정 선거와 3·15의거
1994년 3월 16일 : 국내 생수 판매 허용
1969년 3월 17일 : ‘별이 빛나는 밤에’ 첫 방송
2010년 3월 18일 : 카카오톡 출시
1999년 3월 19일 : 서울시, 토큰 사용 폐지 발표
1923년 3월 20일 : 아동 잡지 ‘어린이’ 창간
1954년 3월 21일 : 대한민국 표준시 변경
1992년 3월 22일 : 군 부재자 투표 부정 폭로 사건
1908년 3월 23일 : 스티븐스 저격 사건
1951년 3월 24일 : 맥아더, 중공군에 최후통첩
1925년 3월 25일 :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탄핵 호외 발행
2010년 3월 26일 : 천안함 피격 사건
1982년 3월 27일 : 한국 프로야구 리그 출범
1993년 3월 28일 :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2001년 3월 29일 : 인천국제공항 개항
1965년 3월 30일 : 무즙 파동
2018년 3월 31일 : ‘무한도전’ 종방

해시태그 찾아보기

저자소개

안중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산 밑 서울예전에서 광고창작을 전공하고, 광고 기획사를 거쳐 진선출판사에서 15년간 근무했다. 역사로서가 아닌,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과 상식의 관점으로 《어제의 오늘》을 시작했다. 그 안에서, 오늘을 위해 희생·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고마움과 우리가 잊고 있던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사람은, 사람으로 행복해진다고 믿으며 오늘을 살아간다.
펼치기

책속에서



형제복지원은 1975년, 부랑자 단속을 위한 내무부 훈령 410호에 의해 개설된 부랑자 강제수용소로 3,000명이 넘는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용 시설이었다. 부산 시내의 노숙자와 행려병자, 고아 등을 닥치는 대로 수용했고, 이후 인원이 부족하자 주민등록증 미소지자 등 일반 시민을 납치해 수용했다. 인원이 많을수록 국가 지원금은 많아졌고, 형제복지원은 매년 약 20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았다. 1987년 2월 3일,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조사단은 수용자의 70% 이상이 수용 부적격자인 일반인이었다고 발표했다.
- 1987년 1월 10일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중에서


졸업식에는 가족은 물론이고 유엔군사령부와 중립국감독위원회의 각국 장교 수십 명이 참석한다. 언제나 졸업생보다 군인의 수가 훨씬 더 많다. 졸업식이 열리는 작은 무대의 양옆에는 영화에서나 보던 까만 선글라스를 낀 JSA 경비대대 군인들이 권총을 찬 채 부동자세로 정면을 응시한다. 각양각색의 군복을 입은 다양한 국가의 군인들은 졸업생들에게 기념품을 선물한다. 이 작은 졸업식에 행정자치부 장관이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이곳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비무장지대 안에 있는 학교, ‘대성동초등학교’이다.
- 1987년 1월 11일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692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