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969206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월
1896년·1962년 1월 1일 : 새로운 설날과 서기 사용
2007년 1월 2일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첫 출근
1930년 1월 3일 : 이육사, 시 첫 발표
1951년 1월 4일 : 1·4 후퇴와 이산가족
1982년 1월 5일 : 야간 통행금지 해제
1996년 1월 6일 : 가수 김광석 사망
2008년 1월 7일 : 이천 냉동 물류 창고 화재 사고
1932년 1월 8일 : 이봉창 의거
1968년 1월 9일 : ‘난중일기’ 절도범 검거
1987년 1월 10일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2019년 1월 11일 :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1950년 1월 12일 : 애치슨 선언과 애치슨 라인
1903년 1월 13일 : 우리나라 최초의 하와이 이민자들
1987년 1월 14일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46년 1월 15일 :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
1948년 1월 16일 : 우리나라 최초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1992년 1월 17일 : 성폭행 계부 살해 사건
1952년 1월 18일 :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발표
1967년 1월 19일 : 당포함 피격 사건
1997년 1월 20일 : 무기 징역수 신창원 탈옥
1968년 1월 21일 : 1·21사태
1990년 1월 22일 : 3당 합당, 민주자유당 탄생
1997년 1월 23일 : 한보 사태의 서막, 한보철강 부도
1998년 1월 24일 : 발해 1300호 좌초
1886년 1월 25일 : ‘한성주보’ 창간
2001년 1월 26일 : 일본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 사고
1959년 1월 27일 : 판문점 취재 중 북한 기자 귀순
2003년 1월 28일 : 이종욱, WHO 사무총장 당선
1906년 1월 29일 : 세계열강에 보낸 고종의 밀서
1948년 1월 30일 : 태극기와 KOREA, 올림픽 무대 등장
1996년 1월 31일 :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발표
2월
1906년 2월 1일 : 통감부 설치
1972년 2월 2일 : ‘불량 만화 근절’ 대대적 신문 보도
1942년 2월 3일 : 일본 조세이 탄광 수몰 사고
1959년 2월 4일 : 여적 필화 사건
1982년 2월 5일 : 제주도 C-123 수송기 추락 사건
1967년 2월 6일 : 미군, 베트남에 고엽제 살포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창당
1987년 2월 8일 : 탈북 김만철 일가 서울 도착
2004년 2월 9일 : 탈북민의 북한 배우자 상대 이혼 소송 판결
2008년 2월 10일 : 국보 1호 숭례문 방화 사건
1896년 2월 11일 : 아관파천
1997년 2월 12일 : 주체사상 이론가 황장엽 망명 요청
1999년 2월 13일 : 영화 ‘쉬리’ 개봉
1910년 2월 14일 : 안중근 의사 사형 선고
1997년 2월 15일 : 이한영 피살 사건
1945년 2월 16일 : 윤동주 옥사
1992년 2월 17일 : 뉴 키즈 온 더 블록 공연장 압사 사고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4년 2월 19일 : 영화 ‘실미도’ 천만 관객 돌파
1963년 2월 20일 : 육군 ROTC 1기생 임관식
1936년 2월 21일 : 신채호 옥사
1974년 2월 22일 : 통영 해군 예인정YTL 침몰 사고
1904년 2월 23일 : 한일의정서 체결
1983년 2월 24일 : 88서울올림픽 마스코트 대상물 호랑이 선정
1983년 2월 25일 : 북한 이웅평 상위 귀순
2010년 2월 26일 : 김연아, 동계올림픽 금메달
2007년 2월 27일 : 윤장호 병장, 자살 폭탄 테러로 전사
1960년 2월 28일 : 대구 2·28민주운동
[번외 편] 2월 29일 : 윤년의 비밀
3월
1919년 3월 1일 : 3·1운동
2005년 3월 2일 : ‘호주제 폐지’ 민법 개정안 국회 통과
2003년 3월 3일 : 삼겹살 데이 등장
2001년 3월 4일 : 홍제동 주택 화재 사고
2015년 3월 5일 : 한국야구위원회, ‘최우석 룰’ 발표
1883년 3월 6일 : 태극기, 국기로 제정·공포
1951년 3월 7일 : 6·3·3·4, 봄 신학기 학제 확정
1990년 3월 8일 : 한필성, 한필화 남매 상봉
1993년 3월 9일 :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 북송 발표
2017년 3월 10일 : 박근혜 대통령 탄핵
1954년 3월 11일 : 소설 ‘자유부인’ 논쟁
1990년 3월 12일 : 강호동, 최연소 천하장사 등극
1974년 3월 13일 : 우리나라 최초의 스트리킹
1991년 3월 14일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1960년 3월 15일 : 3·15 부정 선거와 3·15의거
1994년 3월 16일 : 국내 생수 판매 허용
1969년 3월 17일 : ‘별이 빛나는 밤에’ 첫 방송
2010년 3월 18일 : 카카오톡 출시
1999년 3월 19일 : 서울시, 토큰 사용 폐지 발표
1923년 3월 20일 : 아동 잡지 ‘어린이’ 창간
1954년 3월 21일 : 대한민국 표준시 변경
1992년 3월 22일 : 군 부재자 투표 부정 폭로 사건
1908년 3월 23일 : 스티븐스 저격 사건
1951년 3월 24일 : 맥아더, 중공군에 최후통첩
1925년 3월 25일 :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탄핵 호외 발행
2010년 3월 26일 : 천안함 피격 사건
1982년 3월 27일 : 한국 프로야구 리그 출범
1993년 3월 28일 :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2001년 3월 29일 : 인천국제공항 개항
1965년 3월 30일 : 무즙 파동
2018년 3월 31일 : ‘무한도전’ 종방
해시태그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형제복지원은 1975년, 부랑자 단속을 위한 내무부 훈령 410호에 의해 개설된 부랑자 강제수용소로 3,000명이 넘는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용 시설이었다. 부산 시내의 노숙자와 행려병자, 고아 등을 닥치는 대로 수용했고, 이후 인원이 부족하자 주민등록증 미소지자 등 일반 시민을 납치해 수용했다. 인원이 많을수록 국가 지원금은 많아졌고, 형제복지원은 매년 약 20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았다. 1987년 2월 3일,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조사단은 수용자의 70% 이상이 수용 부적격자인 일반인이었다고 발표했다.
- 1987년 1월 10일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중에서
졸업식에는 가족은 물론이고 유엔군사령부와 중립국감독위원회의 각국 장교 수십 명이 참석한다. 언제나 졸업생보다 군인의 수가 훨씬 더 많다. 졸업식이 열리는 작은 무대의 양옆에는 영화에서나 보던 까만 선글라스를 낀 JSA 경비대대 군인들이 권총을 찬 채 부동자세로 정면을 응시한다. 각양각색의 군복을 입은 다양한 국가의 군인들은 졸업생들에게 기념품을 선물한다. 이 작은 졸업식에 행정자치부 장관이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이곳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비무장지대 안에 있는 학교, ‘대성동초등학교’이다.
- 1987년 1월 11일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