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8979722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4-10-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가장 많이 먹고, 싸게 먹고, 멀리서 가져다 먹는 시대에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들
1장 굶주림과의 투쟁, 식량에서 산업이 되기까지
열매가 맺지 않으면 죽는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
트랙터의 탄생, 생존 농업에서 상업 농업으로
거름의 생태경제학
질소를 땅에 넣자 기아에서 벗어나다, 비료의 등장
현대 농업의 질적 성장, 진화론과 유전학의 탄생
우장춘 박사가 한국에 남긴 축복
인류의 굶주림을 해결한 녹색혁명의 핵심, 왜성 유전자
2장 치열하게 돌아가는 글로벌 식량 산업
세계 식량의 패권을 쥔 글로벌 기업 이야기
곡물 기업들이 금융회사를 운영하는 이유, 선물거래
농업과 금융을 함께 발전시킨 선물거래 시장
세계 최초의 선물 시장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현대 선물거래소의 원형, 시카고 상품거래소
CIA를 능가하는 글로벌 식량 기업들의 첩보전
식량 생태계를 바꾸는 식량 기업들의 인수전
ABCD 패권에 균열을 내는 신생 농업 기업들
한국이 곡물을 비싸게 수입하는 이유, 곡물 엘리베이터
소수 기업들이 독식 중인 글로벌 종자 시장
3장 왜 어떤 나라는 풍족하고 어떤 나라는 굶주리는가
미국은 어떻게 농업 최강대국이 되었나
미국의 두 번째로 큰 행정부처가 농무부인 까닭
좋은 땅에 좋은 일들이 더해지는 미국
미국이 전후 유럽을 지원하며 바뀐 힘의 균형
하나의 국가처럼 움직이는 유럽 농업의 힘, CAP
농업 없는 나라 싱가포르에 닥친 위기
식량 안보는 생존이다, 싱가포르의 뼈저린 각성
아프리카는 왜 여전히 굶주리는가
배고픈 아프리카는 왜 식량 대신 커피를 재배할까
4장 한국 농업의 숨가쁜 발전사
선진국 필리핀과 최빈곤국 한국은 어떻게 달랐나
한강의 기적을 만든 농업정책 이야기
통일벼의 탄생
통일벼의 진정한 성과는 쌀이 아닌 시스템
농업정책이 전국에 뿌리내리기까지
우리가 농사를 짓지 않을 때 벌어지는 일
농업의 구조를 나눠 보면 블루오션이 쏟아진다
5장 왜 농업 선진국은 원예산업에 집중하는가
감자로 읽는 세계사
감자로 촉발된 아일랜드의 비극
유럽 플로리스트는 네덜란드 꽃을 새벽배송으로 받는다
케냐에서 키운 ‘네덜란드 꽃’은 전 세계로 수출된다
한국 딸기의 달콤한 성장
뉴질랜드의 제스프리처럼 조직화가 필요한 한국 딸기
6장 투뿔한우와 삼겹살, 치킨의 경제학
우리 땅에 식용만을 위한 소가 길러지기까지
인류는 어떻게 소에 기생하며 살았는가
투뿔 한우가 탄생하기까지한우, 육우, 젖소, 같은 소인데 뭐가 다를까?
축산 농가가 국제 정세에 민감한 이유
요즘 소는 컴퓨터가 키운다
소는 왜 신이 내린 선물일까
돼지를 잘 기르는 노하우
돼지고기가 민심인 중국, 그리고 미국과의 기싸움
식량전에 대배하는 중국의 전략, 돼지 아파트
왜 한국의 닭 맛은 똑같을까? 양계 산업 이야기
프랑스의 닭은 스토리로 경쟁한다
인류와 닭의 이야기
7장 현대 농업은 연구 전쟁, 종자부터 GMO, 농약, 유기농까지
식물에서 작물로 동물에서 가축으로, 품종개량 이야기
품종 개발, 버리기 위해 연구한다
인간의 욕망이 낳은 스타 품종의 함정
포마토에서 GMO까지 품종개량 기술의 발전
우리는 오래전부터 GMO를 먹어왔다
유기농업이 탄생하기까지
한국의 유기농업 이야기
유기농은 정말 좋은 걸까?
미래 환경을 보존하는 유기농법
인류에게 농약이 없었다면
엄격하게 관리되는 한국의 농약 사용 제도
8장 모두가 토지 보상을 꿈꾸는 시대의 농지 이야기
‘비님 오시는 날’ 비와 물을 다루는 법
정조가 사비를 털어 만든 저수지
태종이 모내기를 금지한 이유
농사 지을 땅을 지키는 유럽의 농지 정책
잘게 쪼개지고 건물이 들어서는 한국의 농지
9장 다시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글로벌 식량 산업
위기에 처한 해피타임
현실이 되고 있는 기술 비관론자들의 경고
팜유와 맞바꾼 지구의 허파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 세 개가 필요하다
딸기가 자라는 모습을 데이터화할 수 있다면
데이터로 농업계의 구글을 지향하는 존디어
몬산토의 종자와 농약 패키지 사업 성공, 그 이후
식량 위기가 닥치면 인간은 뭘 먹고 살까?
빌게이츠도 투자한 대체육 산업, 가능성은?
대장암 환자를 위한 고기, 알레르기 없는 땅콩잼
한국이 미래 식재료 개발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도시에서 농사를 짓는다면
농업 선진국 미국이 도시 농업에 투자하는 이유
농업은 공업만큼 에너지를 소비한다
프랑스 와이너리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이유
농사도 짓고 에너지도 생산하는 N잡 농업 시대
10장 우리가 모르는 K-농업의 잠재력
우리만 모르는 K-식품 산업의 잠재력
제로섬 산업에서 플러스섬 산업으로, 바이오 산업
실명을 막는 쌀, 상추에서 추출한 수면보조제
삶을 바꾸는 푸드테크 혁명은 진행 중
커피믹스, 불닭볶음면을 잇는 히트상품 개발을 위하여
종자를 수출하면 농약과 농기계도 함께 팔린다
한국 농업을 지켜줄 세 가지 지속 가능성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한국 농업의 모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대 농업은 그다지 목가적(牧歌的)이지 않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거대하고 조밀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의 합에 가깝다. 그리고 그 안에는 자본의 탐욕과 국제 정치 논리, 기아와 미식 사이의 원초적 욕망이 들끓는다.
흔히 식량을 수출하는 국가가 많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지구상에서 반도체를 수출하는 나라가 우리나라와 미국, 대만 등 몇 곳 되지 않는 것과 똑같다. 충분한 물량의 식량을 수출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과 호주, 러시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캐나다, 인도 등 몇 나라 되지 않는다. 수입하는 나라는 훨씬 많다. 그리고 양과 종류는 다르지만 식량을 전혀 수출하지 않는 나라는 거의 없다. _프롤로그 중에서
최근 농업과 농촌을 다루는 방송들은 대부분 예능이나 먹방으로 농업, 농촌을 희화화하거나 도시의 삶과는 동떨어진 제3의 공간으로 분리해 보여준다. 농업 농촌이 도시나 2, 3차 산업과 연결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며칠 놀러 가는 공간 정도로 이격된 것이다. 하지만 농업과 농촌 공간은 희화화하거나 분리된 공간이 되어서는 안 된다. 도시와 농촌, 농업과 제조업은 긴밀하게 연결된 한 몸이며 그래야 우리가 살아갈 수 있다. 농업은 산업인 동시에 기반이다. 반도체나 자동차처럼 산업의 성격도 있는 동시에 국방이나 의료처럼 사회를 지탱하는 기반의 성격도 있다. 농업 전체를 해외에 의존해서도 안 되고 그렇게 할 수도 없다. 농업의 많은 문제는 다른 산업과는 달리 철학과 선택의 문제로 귀결된다. 보통의 기업들처럼 매출이 선(善)인 산업과는 다르다.
_ 프롤로그 중에서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과학기술 중에서 10억 명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은 농업과학기술이 거의 유일하다. 우리의 인식과 달리 농업과학기술의 연구 과정과 결과물들의 기술적 복잡성과 난이도는 달 탐사나 반도체 산업에 뒤지지 않는다. 이런 면에서 20세기에는 반도체, 정보통신, 자동차 등 엄청난 과학적 업적이 쏟아져 나왔지만, 수십억 인류를 굶주림에서 해방시킨 농업기술은 인간이 만든 가장 위대한 기술로 칭송받을 자격이 있다.
_1장 굶주림과의 투쟁, 식량에서 산업이 되기까지



















